2024.03.2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엘리퀴스, 비판막성 심방세동 고령 환자 및 고위험 환자에서 효능 및 안전성 재확인

BMS-화이자, 2017 유럽심장학회(ESC)에서 신규 데이터 발표





심장학 분야 최신지견이 교류되는 2017 유럽심장학회(ESC) 연례 학술대회가 성료된 가운데,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MS)와 화이자가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의 새로운 연구결과를 다수 발표했다. 이번 ESC에서 발표된 리얼월드 데이터는 65세 이상 고령 환자 및 비판막성 심방세동 고위험 환자 등 다양한 하위 그룹에서 엘리퀴스의 효능 및 안전성을 재차 확인했다. 

엘리퀴스,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 와파린 대비 뇌졸중 예방 효과 및 출혈 안전성 확인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MS)와 화이자가 미국 휴마나(Humana)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진행한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 결과, 65세 이상의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 중 엘리퀴스 치료군이 와파린 치료군 대비 뇌졸중/전신 색전증 위험 및 주요 출혈 발생률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관찰적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은 미국 우대보험(Medicare Advantage)에 가입된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 중 휴마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엘리퀴스 또는 와파린에 대한 의약품 청구 내역이 있는 65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해당 연구는 뇌졸중/전신 색전증(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전신 색전증 등)과 주요 출혈(두개골 내 출혈, 위장관 출혈, 기타 주요 출혈 등)의 발생률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와파린 대비 엘리퀴스에서 뇌졸중/전신 색전증 위험(HR:0.65, 95% CI: 0.51 to 0.83, p=0.001) 및 주요 출혈 발생률(HR:0.53, 95% CI: 0.45 to 0.63, p=0.001)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추적 기간은 엘리퀴스는 6.3개월, 와파린은 8.3개월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엘리퀴스의 주요 3상 임상 ARISTOTLE(Apixaban for Reduction In STroke and Other ThromboemboLic Events in Atrial Fibrillation) 연구 결과를 보완한다. 

논문 주저자이자 뉴올리언즈 오슈너 메디컬 센터 교수인 스티븐 다이텔즈와이그(Steven Deitelzweig)는  “비판막성 심방세동은 뇌졸중의 주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높아진다”며 “이번 휴마나 데이터베이스 분석과 같은 리얼월드 데이터는 일상 진료 환경에서 노인 환자 등 특정 하위 그룹을 위한 치료 결정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고 전했다.

BMS 엘리퀴스 개발 수석 크리스토프 쾨넨 부사장(Christoph Koenen, M.D.MBA)은 “65세 이상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는 일반인 대비 뇌졸중 발병 가능성이 3배~5배 가량 높다”며 “지난 10년 간 치료 분야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해당 연령층의 환자 중 상당 수가 여전히 치료를 받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에 발표된 데이터 분석은 BMS-화이자의 글로벌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ACROPOLIS™(Apixaban ExperienCe Through Real-WOrld POpuLatIon Studies: 실제 사용 환자를 통한 아픽사반 경험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ACROPOLIS 데이터 출처에는 환자가 표시되지 않은 의료 기록, 진료 및 의약품 건강보험 청구 데이터, 국가의료데이터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인구 및 지역의 환자 기록을 반영한다.

고위험 심방세동 환자에서도 와파린 대비 우수한 효과 및 안전성 확인
이번 유럽심장학회(ESC)에서 발표된 또 다른 리얼월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엘리퀴스가 비판막성 심방세동 전체 환자군 및 선별된 고위험 환자군 모두에서 뇌졸중과 전신 색전증 위험 및 주요 출혈 발생률이 와파린 대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리얼월드 분석은 미국 옵텀(Optum), 마켓스캔(MarketScan), 파메트릭스(PharMetrics), 휴마나(Humana) 등 4개 대규모 미국 보험 청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엘리퀴스 또는 기타 다른 경구용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데이터는 각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성향점수매칭(PSM: Propensity Score Matching)기법을 적용한 후 취합했다. 고위험군 하위 그룹 선정은 연령, CHA2DS2-VASc 또는 HAS-BLED 점수, 울혈성심부전(CHF), 관상동맥질환(CAD), 말초동맥질환(PAD)에 따라 계층화했다. CHA2DS2-VASc 점수는 심방세동 환자에서의 뇌졸중 위험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며, HAS-BLED 점수는 심방세동 환자에서의 주요 출혈 위험을 측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변수를 기반으로 하위군 분석을 진행한 결과, 교란 인자 조정 후 엘리퀴스가 와파린 대비 뇌졸중과 전신 색전증 위험 및 주요 출혈 발생률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관찰 코호트 분석 결과는 다양한 환자 위험군에 걸쳐 일차 효능 평가변수인 뇌졸중/전신 색전증 위험이 와파린과 전반적으로 일관되게 나타난 주요 3상 ARISTOTLE(Apixaban for Reduction In STroke and Other ThromboemboLic Events in Atrial Fibrillation) 임상을 비롯해 엘리퀴스가 축적해온 증거를 보강한다.  

화이자 글로벌 이노베이티브 헬스 사업부의 의학부 총괄을 맡고 있는 로리 오코너(Rory O'Connor)는 “비판막성 심방세동(NVAF) 관련 뇌졸중 위험 감소에 대한 전세계적인 요구가 지금처럼 컸던 적은 없었으며, BMS-화이자는 광범위한 환자 유형에서 최대한 많은 환자의 뇌졸중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ACROPOLIS 프로그램을 통한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이 환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동반질환, 질환 중증도 요인에 따라 엘리퀴스가 환자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더 수준 높은 통찰력을 갖는데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고 전했다.

이번 분석에서 엘리퀴스는 이들 위험인자에 걸쳐 와파린 대비(38,470명/성향점수매칭) 뇌졸중/전신 색전증 위험 및 주요 출혈 발생률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6개월이었다. 


위험요인

위험요인

뇌졸중/전신색전증

 (발생 횟수; 엘리퀴스 vs. 와파린)

주요 출혈

(발생 횟수; 엘리퀴스 vs. 와파린)

연령

 

·         65 이하 (n=24,411)

 

 

·         65-74 (n=21,325)

 

 

·         75 이상  (n=31,204)

75 vs. 114

(HR: 0.73, 95% CI: 0.54-0.98)

 

103 vs. 141

(HR: 0.80, 95% CI: 0.62-1.03)

 

216 vs. 354

(HR: 0.62, 95% CI: 0.52-0.73)

122 vs. 252

(HR: 0.52, 95% CI: 0.42-0.65)

 

189 vs. 354

(HR: 0.57, 95% CI: 0.48-0.69)

 

442 vs. 697

(HR: 0.65, 95% CI: 0.57-0.73)

HAS-BLED 점수

 

·         3 미만 (n=38,264)

 

 

·         3 이상 (n=38,676)

 

101 vs. 144

(HR: 0.73, 95% CI: 0.56-0.94)

 

293 vs. 465

(HR: 0.65, 95% CI: 0.56-0.75)

210 vs. 366

(HR: 0.59, 95% CI: 0.50-0.70)

 

543 vs. 937

(HR: 0.59, 95% CI: 0.53-0.66)

CHA2DS2-VASc 점수

 

·         0-1 (n=12,770)

 

·         2-3 (n=30,943)

 

·         4 이상 (n=33,227)

18 vs. 21

(HR: 0.84, 95% CI: 0.45-1.58)

 

86 vs. 146

(HR: 0.61, 95% CI: 0.47-0.80)

 

290 vs. 442

(HR: 0.69, 95% CI: 0.59-0.80)

39 vs. 73

(HR: 0.52, 95% CI: 0.35-0.77)

 

216 vs. 434

(HR: 0.51, 95% CI: 0.44-0.61)

 

498 vs. 796

(HR: 0.66, 95% CI: 0.59-0.73)

울혈성심부정

(CHF)

·         있음 (n=18,530)

 

 

·         없음 (n=58,410)

141 vs. 221

(HR: 0.66, 95% CI: 0.54-0.82)

 

253 vs. 388

(HR: 0.67, 95% CI: 0.57-0.79)

299 vs. 511

(HR: 0.61, 95% CI: 0.53-0.70)

 

454 vs. 792

(HR: 0.59, 95% CI: 0.53-0.66)

(관상동맥질환)

CAD

·         있음 (n=30,147)

 

 

·         없음 (n=46,793)

 

210 vs. 298

(HR: 0.71, 95% CI: 0.60-0.85)

 

184 vs. 311

(HR: 0.62, 95% CI: 0.52-0.74)

414 vs. 688

(HR: 0.60, 95% CI: 0.53-0.68)

 

339 vs. 615

(HR: 0.58, 95% CI: 0.51-0.66)

(말초동맥질환)

PAD

·         있음 (n=11,665)

 

 

·         없음 (n=65,275)

95 vs. 176

(HR: 0.61, 95% CI: 0.48-0.78)

 

299 vs. 433

(HR: 0.70, 95% CI: 0.61-0.81)

184 vs. 352

(HR: 0.59, 95% CI: 0.49-0.71)

 

569 vs. 951

(HR: 0.61, 95% CI: 0.55-0.67)



[참고: 연구 방법]
1. 65세 이상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 대상 후향 분석 결과
이번 휴마나 데이터베이스 관찰적 후향 분석에는 엘리퀴스 코호트 외에 2개의 다른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리바록사반과 다비가트란)가 포함되었다. 연구는 최소 1년 동안 경구용 항응고제를 복용하지 않은 65세 이상의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환자는 최소 12개월동안 의료 및 약물 혜택을 포함한 의료보험 등록을 지속해왔어야 한다. 판막성 심질환, 정맥혈전색전증, 일시적 심방세동, 심장수술,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독성장애 진단 또는 임신에 해당하는 환자는 제외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는 의료학술지’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게재된 논문 전문을 참고한다. 

이번 연구는 환자 특징의 균형을 맞추는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MS)을 통해 각각 7,017명이 엘리퀴스 또는 와파린으로 치료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n=14,214명) 미리 정의된 인구통계학 및 임상적 특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해 성향 점수를 생성했다. 엘리퀴스와 와파린으로 치료 받은 환자에서 별도의 일대일 성향점수매칭을 적용해 코호트와 통계학적으로 다르지 않은(p>0.05) 주요 환자 특징이 균형을 잘 이루고 있는지 확인했다. 일차 ICD-9 내원환자 청구 코드를 토대로 뇌졸중/전신색전증 및 주요 출혈의 위험비(HR)는 ICD-9-CM 내원환자 청구 코드를 토대로 콕스 비례위험 모형을 사용했다.

2. 고위험 심방세동 환자 대상 후향 분석 결과
이번 관찰적 후향 분석은 2013년 1월 1일부터 2015년 9월 30일까지 엘리퀴스 또는 와파린 치료를 시작한 18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일대일 성향 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SM)기법을 적용해 연령, 성별, 지역, 기저선 동반질환, 함께 처방된 치료제의 균형을 맞췄다. 베이스라인은 평균 연령 71세, CHA2DS2-VASc 평균 점수 3.0, HAS-BLED 평균 점수2.6점으로 균형을 이루었다. 각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성향점수 매칭 후, 환자별 세부 결과를 취합했다. 콕스 비례 위험 모형을 사용해 각각의 하위 그룹에서 치료 시작 후 1년 이내의 뇌졸중/전신 색전증 및 주요 출혈(입원 환자의 청구 중 첫 번째로 기재된 진단을 사용하여 확인) 위험비율을 추산했다. 치료와 특정 하위 그룹 간 상호작용에 대해 통계적 유의성이 평가되었다.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과 휴마나 데이터베이스 및 고위험 환자 하위 그룹 분석의 한계
리얼월드 데이터는 일상적인 진료 환경에서 치료제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무작위 임상시험 데이터를 잠재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으며 그 예로, 사용된 데이터의 출처 및 유형이 결과와 평가변수의 일반성을 제한할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은 치료제의 효과 및 안전성을 검증하는 단독 증거로 사용될 수 없으며 인과관계가 아닌 연관성만을 평가할 수 있다 , . 이 같은 한계 때문에 관찰적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은 치료제의 효능 및/또는 안전성을 검증하는 단독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 현시점에서 DOAC간의 일대일 직접 비교연구는 아직 실시된 바 없다. 

휴마나 데이터베이스 분석에서는 성향점수매칭을 적용해 다수의 교락 요인을 제어했으나, 잔류 편향 가능성이 존재한다. 작성된 처방전에 대한 청구가 해당 치료제가 처방대로 소비 또는 복용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반의약품으로 처방되었거나 샘플로 제공된 치료제는 청구 데이터에 기록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휴마나 보험 청구 데이터베이스는 주로 미국 남부 및 중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청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연구 결과는 전체 미국 노인 인구로 일반화될 수 없다.  

고위험 환자 하위 그룹 분석에서는 청구 데이터의 성격을 감안하여 진단은 ICD-9-CM 코드를 통해, 약물 처방은 처방 청구를 통해 확인했다. 누락된 값, 코딩 오류, 임상적 정확성 부족은 연구에 편향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데이터셋(dataset)은 계획 단계에서 중복되지 않는 서로 다른 의료 보험이 포함되어 있으나, 다른 데이터셋은 취합 시 중복되는 환자 기록을 포함할 수 있는 고용주 기반의 청구 데이터셋이다. 그러나 이 같이 중복되는 경우는 발표된 0.5%의 추정치에 기반하여  일부에 그쳤을 가능성이 크므로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