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지역 의료진 모여 아시아 정신질환 환자의 치료 결과 향상을 위한 최신지견 공유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조기 최적화된 치료 전략 및 일상생활기능 회복의 중요성 논의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 www.pfizer.co.kr)이 3월 4~5일 양일간 ‘제5회 아태지역 CNS 서밋(ACNS: Asia-Pacific Central Nervous system Summit)’을 개최했다. ACNS 서밋은 화이자제약 주최로 정신건강의학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들과 아태지역 전문의들이 모여 최신지견을 공유하는 국제적 규모의 학술행사다.
‘환자 맞춤 치료 및 치료 결과의 향상(Personalizing Care, Improving Patient Outcomes)’을 주제로 열린 이번 서밋에는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8개국에서 160여 명의 의료진들이 참석한 가운데, 보다 효과적인 우울증 치료 방안 모색 및 자살 예방을 위한 논의가 진행됐다.
행사 첫 날 ‘관해 이상의 치료 결과 향상’을 주제로 한 키노트 세션에서 순천향대 부천병원 정한용 교수가 좌장을 맡아 ▲주요우울장애 및 불안장애로 인한 질병부담 진단(고대 안산병원 한창수 교수) ▲주요우울장애에서 기능 회복의 중요성(사우스플로리다대 데이비드 시안 교수) ▲조기 최적화된 주요우울장애 치료(캐나다 캘거리대 토바 울루보카 교수)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양일에 걸쳐 주요우울장애 및 불안장애에 대한 최신 치료전략과 실제 임상 경험, 자살 문제에 대한 문화/지역적 접근, 우울증 치료에 있어 디지털 기술의 발전 등 다양한 세션이 다뤄졌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최적화된 주요 우울장애 조기 치료 (Early Optimized MDD Treatment)에 대한 전략과 환자들의 일상생활 기능 회복에 관한 주제가 큰 관심을 받았다.
우울증 조기 치료 전략에 대해 발표한 토바 울루보카 교수는 “현재까지 우울증 약물 치료는 최소 용량으로 시작해 환자 경과에 따라 서서히 증량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어왔지만 이는 낮은 관해율, 일상생활기능 회복 실패, 높은 재발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빠른 진단 및 치료가 시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2-4주 내 용량 증가 후 치료반응 평가와 내성 모니터링을 통해 6-8주간 동일 치료제 지속 여부 결정 등 보다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 전략이 적용되어야 한다1”고 말했다.
일상생활 기능 회복의 중요성에 대해 발표한 데이비드 시안 교수는 “기능장애는 주요우울장애 환자들의 약 97%가 경험해봤을 정도로 심각하고 팽배한 상황 ”이라고 말하며, “지속적인 일상생활 기능 개선 측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감정적 증상이 치료된 후에도 지속될 수 있는 잔류형 기능 장애를 확인하거나 재발을 예측할 수 있다”고 전했다.
행사 둘째 날에는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문제를 주제로 각국별 자살 현황과 효율적인 대처 방안이 논의됐다.
아시아 지역의 우울증 현황과 자살 예방에 대해 발표한 삼성서울병원 홍진표 교수는 “아시아 국가 간에도 경제 및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라 자살률에 큰 차이를 보이며 특히 가족의 지지도, 종교 유형, 연령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자살률이 높은 한국에서는 2011년 이후 치명적 자살 방법 접근성을 차단하는 정책을 펴서 자살 수단으로 악용되는 농약 규제와 보관함 보급 사업, 번개탄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자살이 자주 발생하는 지하철역이나 한강 다리에서 접근성을 제한하는 설비 설치 등 범국가적 차원의 노력을 진행해 최근 자살률이 꾸준히 감소하는 결실을 맺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화이자제약 화이자 에센셜 헬스(Pfizer Essential Health: PEH) 사업 부문 대표 김선아 부사장은 “화이자는 다양한 정신질환 치료제를 제공하며 해당 분야에서 의료계의 신뢰를 축적해왔다”며 “앞으로도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치료 옵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학계의 활발한 정보 교류를 통해 정신질환 환자들이 최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화이자제약은 항우울제 프리스틱(성분명: 데스벤라팍신숙신산염일수화물) 외에도 졸로푸트(성분명: 설트랄린염산염)와 이펙사(성분명: 벤라팍신), 정신분열증 치료제 젤독스(성분명: 지프라시돈), 불안장애 치료제 자낙스(성분명: 알프라졸람)를 보유하고 있다.
References
1 Habert J, et al. Functional Recover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Focus on Early Optimized Treatment. Prim Care Companion CNS Disord. 2016;18(5):doi:10.4088/PCC.15r01926.
2 Ghio L, et al. Duration of untreated depression influences clinical outcomes and disability. J Affect Disord. 2015;175:224-228.
3 Romera I, et al. Early vs. conventional switching of antidepressants in patients with MDD and moderate to severe pain: A double-blind randomized study. J Affect Disord. 2012:143;47-55.
4 Gormley N, et al. First admissions for depression: is the ‘no-treatment interval’ a critical predictor of time to remission? J Affect Disord. 1999;54:49-54.
5 Kennedy SH., et al. Canadian Network for Mood and Anxiety Treatments (CANMAT) 2016 Clinic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Section 3. Pharmacological Treatments. Can J Psychiatry. 2016;61(9):540-560
6 Kessler RC, et al. The epidemiolog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NCS-R). JAMA. 2003;289:3095-3105.
7 Greer TL, et al. Defining and measuring functional recovery from depression. CNS Drugs. 2010;24:267-284
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PA; 2013
9 Chen, et al. Suicide in Asi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Epidemiol Rev. 2012;34:129-44
10 Jordans., et al. Suicide in South Asia: a scoping review. BMC Psychiatry 2014;14:358
11 Hong, Jin Pyo. (2017). Regional perspectives on the assessment and prevention of suicide., Presentation slide at 5th ACNS Sum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