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2 (금)

  • 맑음동두천 9.6℃
  • 구름많음강릉 9.5℃
  • 맑음서울 10.2℃
  • 맑음대전 11.3℃
  • 맑음대구 14.4℃
  • 맑음울산 12.7℃
  • 맑음광주 12.4℃
  • 맑음부산 15.1℃
  • 맑음고창 10.5℃
  • 구름많음제주 14.5℃
  • 맑음강화 8.8℃
  • 맑음보은 10.2℃
  • 맑음금산 11.6℃
  • 맑음강진군 12.9℃
  • 맑음경주시 13.3℃
  • 맑음거제 11.2℃
기상청 제공

medical advice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우지 마세요! ‘척추통증’

명확한 진단과 적절한 단계적 치료법 필요해







서울에 거주중인 50대의 P모씨, 10년 전부터 조금씩 허리통증과 함께 왼쪽 다리쪽으로 저림 증상이 있었으나 정도가 심하지 않아 파스나 찜질등의 민간요법으로 통증을 완화시키고 있었다. 하지만 증상은 더욱 심해졌고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 받은 결과, 척추의 추간판 돌출에 의한 척추 신경의 압박이 원인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요통은 인류가 직립보행을 시작한 이후 ‘현대인 병’이라고 불릴 만큼 흔한 통증이다. 특히 P씨의 경우와 같은 추간판에 의한 신경압박은 현대인에게 가장 흔한 요통의 원인 중 하나이다. 가장 흔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치료방법을 찾지 못해 계속해서 고통을 안고 살아가는 경우도 많다. 또한 불필요한 수술이나 부적절한 치료를 받아 부작용에 이르는 사례도 적지 않다. 
  
실제로 P씨의 경우 먼저 약물요법과 함께 경막외 신경치료주사를 시행 받았으나, 일시적인 효과뿐 다시 재발을 반복하여 요추 유합술을 시행 받았다. 수술만 받으면 지긋한 통증에서 벗어날 것으로 생각했던 P씨는 긴 회복 기간 및 재활 기간의 필요성을 듣고도 수술을 받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수술 후 반년이 지나자 P씨의 통증은 똑같은 양상으로 다시 시작되었고, 오히려 왼쪽 다리의 힘이 빠지고 감각이 떨어지는 증상도 나타났다. 이에 MRI를 다시 촬영하게 되었는데, 디스크 돌출에 의한 신경압박이 그 원인임을 진단 받았고 이에 대한 재수술을 시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앞선 수술로 인해 이미 유착이 심하고 접근이 어려워져 수술이 어려웠으며, 결과적으로 재수술 뒤에도 증상은 조금도 좋아지지 않았다. P씨는 두 번의 수술 뒤에도 걷지 못하고 휠체어를 타고 지내야하는 처지가 되었다.
  
낙담한 P씨는 혹여나 하는 마음에 마취통증의학과 진료를 보게 되었는데, 본인과 같이 척추 후방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경막외강 전방으로 접근할 수 있는 내시경 시술이 효과적일 수도 있다는 설명을 듣고, 이를 믿어보기로 했다. 시술은 한 시간 남짓, P씨는 수술이 끝난 직후 바로 통증이 감소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으며 다음날 바로 퇴원하였다.
  
놀라운 것은 시술 전 통증은 감소하더라도 신경은 이미 손상되어 감각이 돌아오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을 들었던 P씨에게 신기한 일이 일어났다. 하루가 지날수록 감각이 없어 남의 다리 같았던 왼쪽 다리에 감각이 돌아오고 힘이 돌아오기 시작한 것이다. 시술 다음날부터 휠체어 없이 생활이 가능했던 P씨는 이제 일상생활에 거의 지장이 없게 되었으며, 재발을 막기 위해 운동도 시작하기로 했다.
  
사례의 P씨와 같은 추간판에 의한 신경압박은 가장 흔한 요통 및 하지통증의 원인 중 하나이다. 이런 경우 약물치료와 함께 보존적인 물리치료 등을 먼저 시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효과가 없는 경우 바로 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이 있다. 신경의 압박이 심하여 감각 이상과 운동 기능의 소실이 있는 경우, 더 이상의 신경 변성이 일어나기 이전에 빨리 수술을 받는 것이 추천되나, 대부분의 경우 시술로 호전을 볼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 신경의 압박이 일어나면 심한 경우 오히려 감각이상이나 운동기능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오히려 가볍게 신경이 자극되는 정도일 때 더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심한 경우 무조건 수술을 하는 것이 추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수술은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신경의 압박을 확실하게 해결해 줄 수 있지만, 그를 위해 주변 정상 조직의 손상을 많이 가져올 수 밖에 없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그에 따른 퇴행성 변화의 가속이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P씨와 같이 일단 수술을 하게 되면 주변 조직의 유착 및 해부학적 구조의 변형으로 인해 재발이나 척추의 새로운 질환이 생겼을 때, 시술이나 수술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척추 질환의 경우 먼저 비수술적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좋은데, 비수술적 치료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중 가장 간단한 치료부터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예를 들어 신경이 자극을 받는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주사치료를 통해 자극받는 신경의 염증을 가라앉히고, 화학적인 감압을 통해 치료를 도모할 수 있다. 미세한 바늘을 삽입하여 화학적인 변화를 통해 치료를 도모하는 방법으로 가장 부작용이 미미하고 간편한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효과가 없는 경우 바로 수술을 권하는 경우가 있는데, 주사치료 이외에도 시술적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주사치료를 권하는 것은 치료 목적 외에도 통증을 일으키는 가장 주된 원인이 어디인지를 찾는 중요한 진단적 목적도 있다. 따라서 주사치료를 했을 때, 그날 당일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 통증을 유발하는 다른 원인 부위를 찾아볼 필요가 있다. 만약, 영상학적 진단과 주사치료를 통해 통증의 원인이 특정 신경의 압박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주사치료를 통해 지속적인 효과를 못 보는 경우에는 좀 더 효과적인 감압을 시행할 수 있는 시술을 해볼 수 있다. 이에는 특수 카테터를 병변이 있는 부위까지 진입시켜 약을 직접 전달하는 신경성형술이나 좁아진 곳을 풍선으로 확장시키는 방법, 추간공으로 진입하여 인대를 제거하거나, 내시경을 꼬리뼈 혹은 추간공으로 진입시켜 레이저나 기계적으로 감압 하는 방법 등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러한 방법 들은 정확한 원인에 대한 진단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 가장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효과를 높이는 방법이다. 아무리 좋은 시술 방법이라도 정확한 원인에 대한 파악 없이 시행하는 것은 치료 효과는 없이 부작용만 초래할 수도 있다.
  
옛날 속담에 ‘빈대 잡으려다 초가 삼간 태운다’는 말이 있다. 빈대를 잡으려면 살충제를 써서 빈대를 박멸하고 생활환경 개선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한다. 살충제로 해결이 안 되는 경우 전문 업체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집을 다 태우는 것은 빈대는 확실히 박멸할 수 있어도 잃을 것이 너무 많다. 척추 질환의 경우도 가능한 간단한 방법부터 시작해서 원인만 제거 한 후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재발을 막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도움말: 마취통증의학과 고재철 교수

관련기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