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2 (금)

  • 맑음동두천 6.5℃
  • 구름조금강릉 9.8℃
  • 맑음서울 6.1℃
  • 맑음대전 8.8℃
  • 맑음대구 10.0℃
  • 맑음울산 10.5℃
  • 맑음광주 10.9℃
  • 맑음부산 12.1℃
  • 구름조금고창 10.3℃
  • 구름조금제주 14.9℃
  • 맑음강화 6.5℃
  • 맑음보은 8.2℃
  • 맑음금산 9.3℃
  • 구름조금강진군 12.9℃
  • 맑음경주시 10.3℃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저박사, 그람음성균 새 치료대안으로 조명”

대한화학요법학회∙대한감염학회 춘계학술대회서 ‘그람음성균 최신 치료지견’ 발표
4월 12일 서울 메이필드호텔

유럽 감염학자 마테오 바세티, 카바페넴 내성 발생 위험을 줄이는 대체 항생제 사용 시급성 강조
해외 가이드라인, 복잡성 복강내 감염의 새 치료옵션으로 ‘저박사’ 권고 



대한화학요법학회∙대한감염학회가 4월 12일 서울 메이필드호텔(서울시 강서구)에서 개최한 ‘2018 춘계학술대회’의 첫 세션에서 그람음성균 감염병의 새 치료지견 및 MSD의 신규 항생제, 저박사(성분명 세프톨로잔-타조박탐)의 임상적 유용성이 소개되었다.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으로 인한 복잡성 요로감염과 복잡성 복강내 감염의 새 치료옵션: 세프톨로잔-타조박탐 복합제를 중심으로> 주제의 심포지엄 에서 감염병 석학인 이탈리아 우디네대학교 감염내과 마테오 바세티 교수(Matteo Bassetti, MD, PhD)가 ▲ ESBL(extended-spectrum beta lactam) 항생제 내성 증가 와 카바페넴 내성 발생으로 인한 대체 항생제 확보의 시급성과 ▲카바페넴 내성 발생 위험 감소를 위한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의 새 치료옵션으로서 저박사의 가치를 제시했다. 바세티 교수는 이탈리아 감염학회 부회장 및 유럽 임상미생물감염병협회 중환자연구회장을 맡고 있다.


국내 녹농균 카바페넴 내성률 OECD에서 두 번째, 치료옵션 확보는 세계적 문제

녹농균, 장내세균을 비롯해 그람음성균에 대한 내성 증가와 제한적인 치료옵션 문제가 세계적으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새 항생제 확보가 가장 시급한 병원균 3종으로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 △카바페넴 및 3세대 세팔로스포린 내성 장내세균 △카바페넴 내성 아시넥토박터 바우마니균을 꼽았다.  한국의 항생제 내성률은 OECD 국가 중 상위권인데, 그 중 녹농균의 카바페넴 내성률은 30.6%로 그리스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2010~2013년 국내 요로감염환자에서 분리된 ESBL 생성 폐렴막대균 55.6%, 대장균 29.3%에 달했다. 



바세티 교수는 녹농균, ESBL 생성 그람음성균 내성률 감소를 위한 카바페넴 대체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ESBL생성 그람음성균 증가로 치료제인 카바페넴 사용이 계속 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카바페넴 내성균주가 출현하고 있다”며 사용 가능한 치료 옵션을 보유하여 현재로서 ESBL생성 그람음성균에 대한 치료의 보루로 여겨지는 카바페넴을 반드시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신 연구결과들을 인용해 신규 항생제 및 개발 중인 항생제가 카바페넴을 대체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바페넴과 비열등성입증한 저박사, 복잡성 복강내감염•복잡성 요로감염 치료 대안

이 세션에서 항생제 내성 그람음성균 치료의 새 대안인 저박사의 유용성도 제시되었다. 저박사는 ESBL 생성 장내세균, 다제내성 녹농균 등 그람음성균에 대한 광범위한 효능을 입증했으며,  카바페넴계 항생제인 메로페넴과 유사한 수준의 임상적 완치율을 확인했다. 복잡성 복강내 감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mITT 군 대상) 저박사(메트로니다졸 병용)의 치료율은 83.0%(n=323/389), 메로페넴의 치료율은 87.3%(n=364/417)로 유사한 효능을 입증했다(weighted difference, −4.2%; 95% CI, −8.91 to 0.54).  

저박사는 특히 녹농균 치료에 있어 메로페넴(79.1%)보다 더 높은 91.7%의 감수성을 보여 카바페넴의 대체 가능성을 보였다.  

바세티 교수는 “녹농균은 내성이 매우 발현되기 쉬우며7 “현재 녹농균에 대한 경험적 병용요법의 백본(backbone)으로 카바페넴계 항생제 및 세프타지딤을 사용하지만, 향후 저박사가 이를 대체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환자•사회적 질병부담 고려한 최적 항생제 사용 중요 



미국외과감염학회는 이미 저박사와 메트로니다졸 병용 요법을 성인 복강내감염 환자의 경험적 치료제로 권고했다(Grade 2-A).  세계응급수술학회는 ESBL 생성균 감염 위험이 있는 중환자에서 카바페넴을 사용을 줄이기 위한 경험적 치료제로 저박사를 사용하거나, ESBL 생성 장내세균 혹은 다제내성 녹농균이 분리된 환자의 표적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바세티 교수는 “저박사는 다제내성 녹농균, ESBL 생성균과 같은 그람음성균으로 인한 복잡성 요로감염, 복잡성 복강내 감염에 대해 경험적 치료제로 적합하다7”며, “심각성이 높은 복강내 감염이라면 저박사와 메트로니다졸의 병용 요법을 기존 치료제의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부적절한 항생제 치료는 사망률을 높이는 한편, 광범위한 항생제의 무차별적인 사용은 새 항생제의 개발가능성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치료옵션을 고갈시키기 때문에 현재와 미래의 환자를 모두 고려한 최적의 항생제 선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박사는 항녹농균 효과와 ESBL 생성 장내세균에 효과를 보이는 새로운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세프톨로잔과 입증된 베타락탐 분해효소 저해제인 타조박탐의 복합 항생제로,  미국 FDA의 항생제 개발 지원법 하에 ‘감염질환인증제품’으로 지정되었다.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2014년, 2015년 승인 후 사용 중이며 한국에서는 2017년 4월 복잡성 복강내 감염 및 복잡성 요로 감염에 대한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완료하였고, 2018년 5월경 비급여 출시 예정이다. 


#  Satellite 심포지엄 I (MSD 후원): New therapeutic options for the treatment of resistant gram-negative organisms with cUTI and cIAI: focus on Ceftolozane/Tazobactam
$  MITT: microbiological intent-to treat
*  Study design: 다국가, 전향적,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시험으로 18세 이상의 복잡성 복강내 감염 환자 993명을 대상으로 함. 4-14일 동안 메트로니다졸(500mg)과 병용하여 매 8시간마다 정맥투여한 저박사(1.5g)와 메로페넴(1g을 매 8시간마다 정맥 투여)을 비교함.
1차 종료점: MITT 군(n=806)의 시험약 최초 투여로부터 24~32일 후인 TOC 방문에서의 지표감염의 징후 및 증상이 완전히 해소되거나 유의하게 개선(임상적 완치율)되었는지 관찰함.

References
1  Kang CI. Therapeutic strategy for the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gram-negative bacterial infections. J Korean Med Assoc 2011; 54(3): 325-331
2  Kang CI. Antimicrobial therapy for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resistant gram-negative bacteria. Korean J Med 2015; 88(5): 502-508 
3   WHO. Global priority list o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to guide research,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new antibiotics. 7 February 2017
4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국제 항생제 내성 감시체계' 참여로 항생제 내성균 관리 강화 앞장서. Available at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0429> Accessed Apr 09. 2018
5   Jean SS, Coombs G, Ling T, et al. Epidemiology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of pathogens causing urinary tract infections in the Asia-Pacific region: Results from the Study for Monitoring Antimicrobial Resistance Trends (SMART), 2010-2013. Int J Antimicrob Agents. 2016;47(4):328-34.
6  Bassetti M et al. Preventive and therapeutic strategi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highly resistant bacteria. Intensive Care Med 2015;41:776-795
7  Bassetti M et al. Patient specific risk stratification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possible treatment strategies in gram-negative bacterial infections. Expert Review of Anti-infective Therapy 2017;15(1):55-65
8  Solomkin et al. Ceftolozane/Tazobactam Plus Metronidazole for Complicated Intra-abdominal Infections in an Era of Multidrug Resistance: Results From a Randomized, Double-Blind, Phase 3 Trial (ASPECT-cIAI). Clin Infect Dis. 2015;60(10):1462-71.
9  Pfaller MA, et al. Ceftolozane/tazobactam activity against drug-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nd Pseudomonas aeruginosa causing urinary tract and intraabdominal infections in Europe: report from an antimicrobial surveillance programme (2012-15). J Antimicrob Chemother. 2017; 72(5):1386-1395.
10  Mazuski et al. The Surgical Infection Society Revised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Intra-Abdominal Infection. Surgical Infections 2017; 18(1): 1-76
11  Sartelli et al. Management of Intra-Abdominal Infections: Recommendations by the WSES 2016 Consensus Conference. World Journal of Emergency Surgery 2017; 12:22
12  Massimo Sartelli et al. Antimicrobials: a global alliance for optimizing their rational use in intra-abdominal infections (AGORA). World Journal of Emergency Surgery 2016;11:33.  
13 Cluck D. et al. Ceftolozane-tazobactam: A new-generation cephalosporin. Am J Health-Syst Pharm 2015; 72(24): 2135-2146 
14  ZERBAXA 허가사항, 식품의약품안전처

관련기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