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L-C 목표 수치 달성 위한 ‘테이블 컬링 게임’ 및 OX 퀴즈, 
교육 강연 통해 심혈관질환 위험군별 치료목표
제대로 알고 관리할 수 있는 계기 마련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 그룹의 국내 지사인 주식회사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 이하 ‘사노피’)의 당뇨순환기사업부는 9월 ‘콜레스테롤 관리의 달’을 맞아 사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PCSK9 억제제 프랄런트®주와 함께하는 “콜레스테롤 골-인” 행사를 19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9월 4일 ‘콜레스테롤의 날’과 9월 24일 ‘세계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의 날(FH Awareness Day)’ 등 콜레스테롤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9월에 사노피 직원 및 가족들이 본인의 심혈관질환 위험도와 LDL 콜레스테롤(이하 ‘LDL-C’) 목표 수치를 제대로 알고 관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콜레스테롤 목표 수치 달성을 위한 <테이블 컬링> 게임을 비롯해 OX 퀴즈, 교육 강연 등 다양한 이벤트가 마련됐다.
<테이블 컬링> 게임을 통해 임직원들은 본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확인하고, 컬링 푸셔로 콜레스테롤 스톤을 밀어 위험군별 LDL-C 목표 수치(Goal)를 달성하는 이벤트에 참여했다. LDL-C 목표 수치는 심혈관질환 위험도에 따라 저위험군(160mg/dl 미만), 중증도위험군(130mg/dl 미만), 당뇨병, 경동맥질환을 포함한 고위험군(100mg/dl 미만),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초고위험군(70mg/dl 미만) 등 총 4단계로 분류됐다.1 참여 직원들은 관상동맥질환이 있거나 고위험군에 속하는 경우 더욱 철저한 치료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본인의 심혈관질환 위험도에 따라 콜레스테롤 목표 수치를 설정하여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다짐했다.
<콜레스테롤 바로 알기 OX 퀴즈>와 <교육 강연>에서는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LDL-C 조절 중요성’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콜레스테롤 관리와 혈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웰빙(Well-being) 다과를 체험하며 뜻 깊은 시간을 보냈다.
사노피 당뇨순환기사업부를 총괄하는 제레미 대표는, “콜레스테롤 관리 중요성이 강조되는 9월을 맞아 직원들부터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LDL-C 목표 수치 달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실천할 수 있는 계기 마련이 필요하기에 이번 행사를 진행하게 됐다.”며, “올초 PCSK9 억제제 최초로 허가된 새로운 기전의 이상지질혈증 신약 ‘프랄런트®주’2가 향후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이종접합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를 비롯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등 기존의 표준요법으로도 LDL-C가 충분히 조절되지 않는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치료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2”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서 10분마다 1명씩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는 가운데3, 주요 위험인자로 알려진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환자 2명 중 1명(54.5%)이 적절히 치료하지 않고 있으며,4 치료 하더라도 10명 중 1명(15.7%)은 콜레스테롤 목표 수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4 특히 관상동맥질환을 동반하거나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높은 환자일수록 기존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LDL-C 조절이 어려운 실정이다.5
미국 바이오 기업 리제네론과 공동 개발한 프랄런트®주는 국내 최초로 허가 받은 PCSK9 억제제로,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종접합 가족형 및 비가족형), 또는 혼합형 이상지질혈증을 가진 성인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식이요법에 대한 보조요법으로써 적응증을 허가 받았다.2 최대 내약 용량의 스타틴으로 LDL-C가 충분히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서 스타틴 또는 스타틴 및 다른 지질 저하 치료제와 병용하여 사용하거나, 스타틴 불내성 환자에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지질 저하 치료제와 병용하여 사용한다. 2주에 1회 피하주사로 투여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의사가 용량을 조절하여 처방할 수 있도록 유일하게 2가지의 투여 용량(75mg과 150mg)으로 제공되는 PCSK9 억제제다.2
References
1. 2015년 제3판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정위원회. 2015.06
3. 통계청. 2015년 사망원인통계
4.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 주요결과. 2016.
5. 장성옥 외. 한국 성인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과 관리: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16(11):7978-7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