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2 (목)

  • 맑음동두천 2.0℃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3.6℃
  • 맑음대전 5.0℃
  • 맑음대구 7.0℃
  • 맑음울산 6.5℃
  • 맑음광주 6.2℃
  • 맑음부산 8.2℃
  • 맑음고창 5.1℃
  • 구름조금제주 10.6℃
  • 맑음강화 2.7℃
  • 맑음보은 3.4℃
  • 맑음금산 3.9℃
  • 맑음강진군 6.8℃
  • 맑음경주시 6.9℃
  • 맑음거제 7.2℃
기상청 제공

학술

한국인의 어금니 신경관, 비아시아인에 비해 변이 많아

‘International Endodontic Journal’에 게재

신경관 단면이 'C(씨)' 인 비율 40%로 월등히 높아, 다른 형태 변이도 발견
신경 치료 전 신경관의 정확한 해부학적 형태 파악이 효과적 치료에 도움 



충치나 외상 등에 의해 치아 내부의 신경 조직이 손상되거나 감염이 일어난 경우 신경 치료가 필요한데, 이 때 치아의 신경관의 해부학적 형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인 제2대구치(아래쪽 두번째 어금니)는 신경관 단면이 영어 ‘C(씨)’자 형태인 C-형 신경관 비율이 비아시아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한국인에 대한 신경관 형태 연구가 부족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신경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대목동병원 치과 보존과 김예미 교수팀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이대목동병원 치과에서 치료 목적으로 촬영된 콘빔씨티(CBCT) 영상을 이용해 960명의 제2대구치 신경관 형태를 분석했다.   

그 결과 364명(40%)에서 C-형 신경관 형태를 보여 비아시아인의 유병률인 6.20%보다 월등히 높았다. 또한 여성(47%)이 남성(32%)에 비해 C-형 신경관 형태를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예미 교수는 “한국인에서 나타나는 C-형 신경관 형태의 비율은 비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다.”면서 “특히, C-형 신경관에서 독립된 근심설측 치근을 가진 경우가 0.05%, 아주 드문 O(오)-형 신경관 형태가 0.1%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국인은 변이가 많고 매우 드문 형태의 신경관을 가진 환자들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신경 치료 전 정확한 해부학적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김예미 교수팀의 이번 논문은 치과보존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International Endodontic Journal’에 게재되었으며, 지난 2월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