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사망률 1위인 폐암은 조기에 발견해도 재발 방지를 위해 폐를 크게 절제(폐의 20~25%)했었다. 그러나 초기 폐암에 있어서는 폐를 작게 절제(폐의 5~10%)해도 생존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강창현 교수 연구팀은 05년부터 13년까지 서울대병원에서 흉강경 수술을 받은 초기 폐암 환자 중 폐엽절제술(폐의 20~25% 절제)을 받은 환자 94명과 구역절제술(폐의 5~10% 절제)을 받은 환자 94명을 비교 분석했다. 폐는 5개의 폐엽으로 구성되는데, 오른쪽 폐는 3개(우상엽, 우중엽, 우하엽), 왼쪽 폐는 2개(좌상엽, 좌하엽)로 나뉜다. 각 엽들은 해부학적으로 각각 2~6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암이 존재하는 폐엽 전체를 떼어내면 폐엽절제술, 폐엽 내에서 암이 존재하는 한 구역만 떼어내면 구역절제술이라 한다. 그 결과, 흉강경 폐엽절제술 환자의 3년 생존율은 96%로 흉강경 구역절제술 환자의 94%와 차이가 없었다. 연구진에 의하면 폐암 수술 환자의 3년 생존율이 90%를 넘는 것은 세계적인 결과라고 한다.연구팀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흉강경 폐엽절제술 환자의 폐 기능은 11% 감소한 반면 흉강경 구역절제술은 8.9%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산하 제약개발연구회(연구회장 박희범)는 국내 보험정책 및 약가제도에 대한 규정 등을 최신 내용으로 수재한 핸드북인 'KPPR(Korea Pharmaceutical Pricing Regulations) 2015'를 발간했다.'KPPR 2015'는 보험정책 및 약가제도가 상반기에 전면 개정됨에 따라 2015 CRP 핸드북에 수록하지 못한 51개의 보험정책 및 약가제도에 대한 관련 규정을 최신 업데이트하여 수록하였고, 이중 7개의 주요 규정은 세계화의 추세에 맞추어 영문화하여 수록하였다.박희범 연구회장은 "이번 KPPR 2015 자료집 발간이 보험정책 및 약가제도 개선을 위한 가이드로서 관련 분야 종사자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또한 외국의 많은 관련자에게도 한국의 제도와 정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KPPR(Korea Pharmaceutical Pricing Regulations) 2015'는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제약개발연구회 홈페이지(http://www.pac.re.kr)에서 직접 주문이 가능하며, 구입 관련 문의는 연구회 사무국(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조시형 대리, 02-525-3106)로 하면 된다.
항암표적치료제는 암환자에게 구세주인 것처럼 인식되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정확히’ 겨냥하는 정도에 따라 약물의 가치가 달라진다.방영주·임석아 교수팀의 올라파립 임상은 ATM단백질이라는 바이오마커와 표적치료의 성공여부를 확인하였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방영주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3상 임상(GOLD TRIAL)이 아시아 4개국 한국, 일본, 중국, 대만에서 개시되고 10월까지 임상참여환자를 확정한다”고 전했다.ATM(Ataxia telangiectasia mutated)단백질은 암세포 중 20% 가량이 소실된 양상을 나타내었고 실제 임상 디자인에서 ATM low군을 따로 분류해서 올라파립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암환자 중에 ATM소실이 현저한 경우는 올라파립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하여 온라인 JCO지에 예일대 교수 논평과 함께 게재되었다.암세포라고 하는 것은 돌연변이의 귀재라서 그 특징을 차근차근 찾아내는 것이 연구자들의 가장 큰 숙제라고 할 수 있는데 세계 최초로 ATM단백질이 바이오마커임을 밝혀낸 것이다.방교수팀의 무진행생존기간에 대한 그래프는 환자수가 작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듯 하다. 그러나 전체생존율에
경구용 항암제가 바쁜 일반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가운데 경구용 난소암 치료제가 위암에도 탁월한 효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방영주·임석아교수팀이 이끈 임상시험 결과다. 이 연구는 17일자로 미국ASCO학회지인 JCO에 게재되었는데, 린파자(성분명:올라파립)로 알려진 이 약물은 이미 한국에서도 시판 중이다.이번 연구는 린파자의 적응증이 위암으로 확대될 높은 가능성을 보여주며 파프(PARP)에 작용하여 단백질발현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이라 치료 옵션의 추가라는 면에서 의의가 크다. poly ADP-ribose polymerase에 작용하여 손상된 유전자의 복구를 억제하는 이 약물은 궁극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게 된다. 암세포 특유의 유전적 요인에 매칭하는 표적치료제들이 속속 개발되는 가운데 한국인 사망 원인 1위인 위암치료제 옵션이 추가되어 환자들 입장에서는 좀 더 다양한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게 된다. 연구팀은 전이가 있는 위암 환자 123명을 올라파립, 파클리탁셀 병용치료군 61명(이하 병용치료군)과 파클리탁셀 단독치료군 62명(이하 단독치료군)으로 무작위 배정한 후, 치료효과를 분석했다.그 결과 병용치료군은 단독치료군에 비해 사망
올해 상반기 현재 국내 제약업계 평균 부채비율은 58.1%로 조사됐다. 전년동기대비(54.8%) 3.3%p 늘어났지만, 대체로 건전한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는 상태이다. 팜스코어의 이번 분석은 단일법인 기준이다.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경남제약이었다. 166억 자본 대비 329억 부채로 대략 198.3%의 부채비율로 조사됐다.부채비율 순위 2위는 LG생명과학(172.4%), 3위 JW중외제약(167.7%), 4위 서울제약(148.8%), 5위 삼성제약(141.0%) 순이었다.부채비율 Top5 제약사 가운데, LG생명과학, 서울제약, 삼성제약은 올들어 부채 규모가 더욱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삼아제약(8.7%), 휴메딕스(9.2%), 부광약품(12.3%), DHP코리아(13.7%), 신일제약(14.1%) 등 5개 제약사는 부채비율이 가장 낮았다.보유자산 상위 5위권에 있는 대형 제약사 중 부채비율이 가장 낮은 제약사는 유한양행이었다. 유한양행의 자본은 1조2395억원, 부채는 2660억원으로 부채비율이 21.5%였다. 반면, 동아ST의 부채비율은 112.9%로 보유자산 상위 5개 기업 중 가장 높았다.분석대상 55개 제약사 중 부채비율이 100% 이하
메드트로닉와 보스턴사이언티픽 등의 외자사가 적극 개발해 왔던 신장신경차단술에 대해 정부차원의 투자로 국내 의료기기법인이 설립된다. 20일 한독에 따르면 “복지부 및 산업은행이 100억원을 출연하여 설립되는 의료기기 신설법인을 통해 국산 신장신경차단기기인 디넥스(DENEX™)개발을 가속화하여 유럽, 중국 시장까지 뻗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의료기기 신설법인’이 개발하는 ‘디넥스’는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고혈압을 신장과 중추신경 사이의 전달계인 교감신경을 제어하는 고주파카테터다. 디넥스는 서혜부를 절개하여 신장 동맥에 삽입되는데 나선형으로 투여되는 고주파 전기시그널로 신장 동맥 주변의 신경세포를 파괴하고 신경다발을 절제하는 게 핵심기전이다. 난치성 고혈압은 3제 이상의 고혈압 치료제를 병용 투여해도 수축기 혈압이 140mmg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로 전체 고혈압 환자의 12~15%를 차지하고 있다.고혈압은 심장 및 신장질환, 뇌혈관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심부전증, 만성신부전증, 당뇨, 심장질환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디넥스의 차후 적응증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신장신경차단술은 메드트로닉스의 심플리시티, 보스턴사이언티픽의 베식스 등 외자사 제품들도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박중신 교수가 미국에서 발간된 산과 마취학 의학 교과서「Chestnut's 산과 마취학; 원리와 진료 제5판」(Chestnut's Obstetric Anesthesia; Principles and Practice, the 5th edi)를 공동 집필했다.박 교수는 마취과 의사들에게 산과 분야의 원리를 소개하는 ‘산전 태아 평가 및 치료(Antepartum Fetal Assessment and Therapy)’ 챕터를 맡아 △ 고위험 산모의 산전 관리 △ 저위험 산모의 산전 관리 △ 주산기(신생아를 분만한 전후 기간) 초음파 검사와 태아 염색체 이상 선별 검사 및 진단 △ 태아수종 △ 지연 임신 △ 자궁 내 태아 사망 △ 태아 치료 등을 이해하기 쉽게 기술했다.책은 산과 마취학의 역사, 산모 태아 신생아의 평가 및 치료 등 기초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의 마취, 진통과 합병증 등 임상 진료 분야까지 산과 마취학의 모든 분야를 다룬다.책에는 산과 마취학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다양한 사진이 담겨 임상 현장에서 산과 마취를 담당하고 있는 의사 뿐 아니라 이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기초 과학자들에게도 훌륭한 길라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흉부외과 선경 교수(57, 사진)가 12월 29일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오송첨단의료재단)이사장에 취임했다. 임기는 3년이다. 오송첨단의료재단은 지난 2월과 6월 두 차례에 3년 임기의 이사장 후보자 공모에 나섰으나, 후보자들이 보건복지부의 인사 검증 절차를 통과하지 못했다.선경 교수는 지난 10월 3차 공모에서 임원추천위원회의 엄격한 심사와 면접을 거쳐 보건복지부에 추천된 3명의 후보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으며 새 사령탑으로 최종 낙점 됐다.선 교수의 취임으로 오송 첨단의료재단의 진용이 온전히 갖춰지게 됐다. 재단의 4개 센터 중 한동안 공석이었던 실험동물센터장과 임상시험 신약생산센터장도 최근 채워지는 등 첨단 의료산업 성장이 더욱 속도를 내게 됐다.선경 교수가 이끌 재단은 첨단제품 개발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 의료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투자의 최적지를 조성해 국가 신성장 동력을 주도하기 위한 기구다.선경 교수 취임으로 재단은 첨단 의료제품 연구개발 기반 조성과 제품 개발, 연구소 유치, 산학연관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 등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한편, 선경 교수는 고대의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경영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