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는 암생존자 창업 사회적기업 ㈜박피디와황배우와 협력하여 암생존자의 일자리 창출 및 암환자 돌봄을 위한 병원 동행 서비스‘함께가는 병원’의 개소식을 8월 21일 11시 국립암센터에서 개최하였다. ‘2024 사회환경문제 해결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진행되는‘함께가는 병원’은 경기도사회적경제원으로부터 사업비를 지원받아 운영되며, 동행 매니저가 거동이 불편하거나 보호자의 돌봄이 필요한 암환자의 이동을 원활히 하고 내원 시 진료, 접수 및 약제 수령 등을 도와 환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그 간‘함께가는 병원’은 암생존자 병원 동행 매니저 양성을 위해 국립암센터의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하여 전문 교육을 실시하였고, 매니저 양성 교육을 받은 암생존자 전문인력은 암 환자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국립암센터 서홍관 원장은 “암을 극복한 동행 매니저가 암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타 의료기관의 서비스와 차별화 되어 있다.”고 평가하며 “이번 사업으로 1인 가구와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암환자까지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함께가는 병원’은 국립암센터를 이용하는 환자라면 누구라도 신청 가능하다
●중국 신약 발굴 플랫폼 기업 ‘히트젠’과 공동 연구 계약 맺고 계열 내 최초 신약 후보물질 발굴 본격화 ●높은 항암 효과 기대되는 신규 타깃의 표적항암제로 항암 포트폴리오 강화 목표 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KQ288330)는 중국의신약 발굴 플랫폼 보유 기업'히트젠(HitGen)'과 공동 연구 계약을맺고 신규 타깃의 계열 내 최초 표적항암제연구개발에 착수한다고 22일 밝혔다. 히트젠은 독자적인 ‘DNA암호화 라이브러리(DNA-Encoded librarytechnology, 이하 DEL)' 기반의 후보물질스크리닝 플랫폼을 바탕으로,표적항암제와 같은 저분자화합물 및 다양한 모달리티(치료접근법)에 대한 솔루션을제공하는 업체이다. 특히,1.2조 개 이상의 저분자화합물을 보유한 라이브러리를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선별 처리함으로서기업들이 최적의 신약 후보물질을도출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있다. 회사는 아직 공개되지않은 타깃을 공략하는 신규 항암제후보물질을 통해 기존 상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인산화효소 억제제(EGFR TKI) 계열 폐암치료제중심의 항암 포트폴리오를 보다 견고히할 계획이다. 다양한 암종에서높은 항암 효과가 기대되는신규 표적항
●부산지역 기반 건강기능식품 창업교육 IT 전문기업 설립되다 건강기능식품 전문브랜드 유통과 셀러 교육을 전문으로 설립된 청담비앤티와 건강기능식품 제조 중견기업인 신비바이오가 전략적 업무제휴를 체결했다.부산 수영구의 청담비앤티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업무제휴식에는 신비바이오 이강원 대표와 청담비앤티 김인섭 대표, 류제민 이사, 김용석 이사가 참석했다.이번 전략적 제휴의 주요 목적은 신비바이오 제품의 총판계약과 신비바이오가 개발한 건강기능식품 인공지능 견적시스템의 공동사용, 건강기능식품 판매전문 컨설턴트(Health Food Consultant) 양성 교육사업, 친환경 패키지디자인 연구개발, 글로벌 건강기능제품 연구개발 및 수출업무 협력이다. 제휴를 통해 양사 간 업무 영역 및 사업 역량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자신의 고향인 부산에 건강기능식품 전문기업을 설립한 청담비앤티 김인섭 대표는 신비바이오의 임원 출신으로, 이강원 대표와 30년간 군 선후배 사이로 다양한 사업을 함께한 경험을 갖고 있다.또한 김인섭 대표는 현 용인대학교 미디어디자인학과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 출신으로 쌍용화재 마케팅실, 흥국금융그룹 브랜드전략실에 근
●10년째 지속된 후원으로 학대 피해 아동 지원 및 교육 프로그램 지원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킷 탕)은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회장 이배근,이하 협회)에 21일 2천만 원의 기부금을 전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한국로슈진단은 2015년부터 10년째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 아동 지원을 위해 지속적인후원을 이어오고 있다. 이번 기부금은 전 세계 로슈 그룹 임직원들이 참여하는 자선걷기 행사인 '어린이를 위한 걷기대회(Roche Children’s Walk)'에서 모금된 직원 성금에 따른 회사 차원의 별도 매칭 펀드로 조성되었다. 전달된 기부금은 학대 피해 아동들을 위한 돌봄 시설인 그룹홈 운영 및 보호사양성 사업을 지원하고, 부모의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한국로슈진단은 지난해에도 동일한 금액을 기부해 서울, 성남, 울산, 마산 등협회에서 운영 중인 그룹홈 5개소를 후원했다. 해당 기부로그룹홈에서 보호 중인 총 1,126 명의 학대 피해 아동들이 심리치료 및 교육을 지원받았다. 또한, 신학기를 맞아 각 그룹홈에 컴퓨터와 태블릿 등의 학습용 전자기기를기부한 바 있다. 킷 탕 한국로슈진단 대표이사는 "아이들의밝은 미래를 지키는 일은 우리 모두
●코로나19로 멈췄던 의료 봉사 재개… 무의촌 대상 봉사에 힘 보태고자 의약품후원 ●어르신선호도 높은 ‘케토크린’ 등 파스와 함께 활용도 높은 벌레 물림 치료제, 해열·진통 소염제 등 포함 ●응급의약품도구하기 힘든 농촌지역, 파스 및 밴드 등 큰 인기… “앞으로도의료 환경 개선에 보탬이 될 것” ▶신신제약, 생명경외클럽 무의촌 의료 봉사에 파스 등 의약품 후원 신신제약은 자사 사회공헌활동 브랜드 ‘신신 H2O Life’의 일환으로 의료 연합 봉사 동아리 생명경외클럽의무의촌 봉사 활동에 의약품을 후원했다고 22일 밝혔다. 생명경외클럽은 1958년슈바이처 박사의 생명경외사상을 이념으로 창립된 봉사 동아리로, 코로나19로인해 잠정 중단했던 의료 봉사 활동을 올해 재개했다. 신신제약은 생명경외클럽의 사명감과 무의촌을 대상으로하는 활동 이념에 공감하며 이번 봉사 활동에 힘을 보탰다. 8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진행된 봉사 활동은 무의촌인 충북 괴산군 불정면 인근 주민을 대상으로 진료와 예방, 보건교육 등이 전개됐다. 서울대학교를 포함한 10개 대학 의료진과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의과, 한의과, 치과뿐만아니라, 건강검진 및 수의과 진료도 마련됐다. 신신제약은 어르신들
차 의과학대학교(총장 차원태)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2차년도 성과평가’에서 교육혁신 성과 부문 최우수 등급인 S등급을 획득했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은 대학이 자율혁신을 통해 체질을 개선하고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미래 인재를 양성하도록 돕는 사업으로, 수도권 51개교를 포함해 총 117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평가에서 차 의과학대학교는 최우수 S 등급을 획득해 대학 발전을 위한 사업비를 지원받게 됐다. 차 의과학대학교는 전공 구분 없이 신입생을 선발하는 미래융합대학의 무전공통합선발(전공자유선택제) 학사제도와 미래 의과학 인재를 양성하는 학사 구조 개편을 높게 인정받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알맞게 융·복합 창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모듈형 교육과정 등을 개발했고, '전공 상담 DAY’ 등의 행사를 열며 학생들의 적응을 돕고 진로를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학생들의 선택권을 넓혔다고 평가받는 미래융합대학(간호대학·약학대학 제외)은 신입생이 전공을 선택하지 않고 1년간 진로를 탐색한 뒤 2학년 진학 시 학부·인원·성적에 관계없이 전공을 최대 2개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차 의과학대는 지원받은 사업비를
●ACIP, 18~64세 SOT 수혜자에서 aIIV3등 고면역원성 독감 백신 접종 권고 ●면역억제 요법이 인플루엔자 백신의 예방 효과감소시킬 수 있어 면역 증강된 백신 접종 필요 글로벌백신기업 CSL시퀴러스(CSL Seqirus)는 자사의 어쥬번트인플루엔자 백신(aIIV)이 고형장기이식(SOT, Solid OrganTransplantation)을 받은 18-64세 성인을 대상으로 접종될 수 있도록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산하 미국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가 권고를확대했다고 밝혔다.[i] ACIP의 이번 결정은 고형장기이식을 받은 수혜자에서 인플루엔자 합병증의 높은 위험성을 바탕으로 한다. 고형장기이식 수혜자는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하며, 독감으로인한 증상이 더 심각할 수 있다.[ii],[iii]SOT 수혜자의 22-49%에서 폐렴을 포함한 하기도 질환은 발생하며, 독감에 걸린 SOT 수혜자의69%가 입원하고, 그 중 11%는 중환자실에입원, 8%는 인공호흡기(mechanical ventilation)를필요로 하며 30일 이내 사망은 3%에 이른다.2,3 앞서ACIP는 SOT 수혜자에서 보다 효과적인 인플루엔자의 예방을 위해 고형장기이식을 받은지
●한층 업그레이드된특허 기술 기반, 탈모치료용 세포치료제 개발 앞당겨 ●지방유래줄기세포의 세포은행 이용, 탈모치료용 세포치료제를 제조 및 임상 시험을 진행 계획 건강기능식품 전문 기업 ㈜프롬바이오(심태진 대표이사)는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하여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모유두세포로 분화시키는 신규 조성물에 대한 2건의 특허 등록을 마쳤다고 19일 밝혔다. 프롬바이오는 지난 2023년 5월모로니사이드(Morroniside)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모유두세포로 분화시키는기술에 관한 원특허 출원 및 등록을 완료한 바 있다. 등록된 원출원을 바탕으로 분할 출원된 특허가 같은해 10월에 등록되어 모유두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대한 권리를 확보했다. 프롬바이오에 따르면 이번에 취득한 특허의 핵심은 기존 모로니사이드를 포함하는 특허 조성물에 수용화 매스틱검 단독 혹은 복합물 등을 포함시켜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모유두세포로 분화시키는 2가지 신규 조성물을완성했다. 특히 수용화 매스틱 검 복합물이 포함된 신규 조성물은 기존 조성물보다 모유두세포로의 분화율을높인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