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심장학회서VOYAGER PAD 임상 결과 발표
· 하지 혈관재생술 후 말초동맥질환(PAD)발생 환자의 뇌졸중 및 심혈관 사망 위험 15% 감소
· 말초동맥질환(PAD)에서 항혈전 치료제 병용 유효성 입증한 유일한 NOAC 기대
· 일반 정형외과 수술 후 에녹사파린 대비 정맥혈전색전증 위험 75% 감소한 PRONOMOS 연구 함께 발표
바이엘은 미국심장학회(ACC) 연례학술대회에서 말초동맥질환자 대상으로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 2.5mg의 죽상동맥혈전 사건 감소 혜택을 재입증한 VOYAGER PAD 연구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VOYAGER PAD 연구는 이전에 실시된 COMPASS 연구의 결과와 더불어 자렐토 2.5mg -아스피린 병용요법이 죽상동맥혈전 사건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는 근거를 다시 한번 보여 줘 주목을 끌었다. 현재 자렐토는 말초동맥질환(peripheral artery disease, PAD)에서 항혈전 치료제 병용의 유효성을 입증한 유일한 NOAC 이기도 하다.
전세계 34개국 6,5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3상 연구에서는 자렐토 2.5mg 1일 2회와 아스피린 100mg 1일1회 병용요법을 아스피린 100mg 단독요법과 비교했다. 연구 결과, 자렐토 2.5mg와 아스피린 병용요법은 하지 혈관재생술 후 최대 10일 내에 말초동맥질환(PAD) 증상을 보인 환자에서 급성 사지 허혈(acute limb ischemia, ALI), 혈관 병인으로 인한 주요 절단, 심장마비, 허혈성 뇌졸중 또는 심혈관 사망의 위험의 상대위험감소율이 15%로 유의하게 낮았다.
급성 사지 허혈의 위험은 아스피린 단독요법 대비 33%로 유의하게 감소했다. 이뿐만 아니라 자렐토 2.5mg-아스피린을 병용투여 받은 환자의 관상동맥 또는 말초 혈전 사건과 관련된 입원은 28%, 사지 혈관재생술 역시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안전성 결과인 TIMI(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기준에 따른 주요 출혈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다만, 2차 안전성 결과에서는 병용요법이 단독요법보다 ISTH(International Society on Thrombosis and Haemostasis)기준 주요 출혈 발생률이 더 높았다.
VOYAGER PAD 연구 집행위원인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혈관연구센터의 마크 보나카(Marc Bonaca) 박사는 “기존 치료제에도 불구하고 혈관재생술을 받는 말초동맥질환 환자 5명 중 1명은 3년 째에 급성 사지 허혈이나 혈관 병인으로 인한 절단, 심장마비, 허혈성 뇌졸중 또는 심혈관 사건으로 인한 사망이 발생한다”며 “VOYAGER PAD 연구 결과 두개내 출혈이나 치명적인 출혈은 증가하지 않고, 고위험 환자들의 심혈관 사건 위험을 줄이는 등 순수 혜택(net benefit)이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2백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진 말초동맥질환은 심혈관 질환과 다른 혈관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더 높다. 그동안 하지 혈관재생술을 받은 말초동맥질환 환자들은 심혈관 또는 사지 사건의 위험이 높은 반면, 지금까지 치료 옵션은 제한적이었다.
한편, 이번 미국심장학회(ACC)에서는 대수술을 제외한 일반 정형외과 수술을 받은 성인 환자 3,604명을 대상으로 자렐토와 에녹사파린 간 정맥혈전색전증(venous thromboembolism, VTE) 위험 감소를 평가한 PRONOMOS 연구도 함께 발표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경미한 정형외과 다리 수술 이후 거동이 어려운 기간 동안 자렐토는 정맥혈전색전증 위험을 에녹사파린 대비 약 75% 낮췄다. 출혈 빈도에서는 자렐토군과 에녹사파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바이엘 제약사업 부문 연구개발 총괄인 외르크 묄러(Joerg Moeller)는 “VOYAGER PAD 연구를 통해 자렐토는 말초동맥질환 환자에서 항혈전 치료제 병용요법의 유효성을 입증한 유일한 NOAC의 입지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함께 발표된 PRONOMOS 연구에 대해 “자렐토는 광범위한 임상 연구를 통해 정맥혈전색전증의 치료와 예방에서 자렐토의 이점을 찾는데 집중해왔고, 정형외과술 환자 대상 RECORD, 소아 환자 포함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PE) 또는 심부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환자 대상 ENSTEIN, 혈전증 관련 암환자 대상 CALLISTO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미국심장학회(ACC)가 세계심장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한 제69차 연례 학술대회의 가상 학술대회에서 레이트-브레이킹 임상시험 세션의 일환으로 발표된 이번 연구들은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동시에 게재되었다.
VOYAGER PAD연구에대하여
VOYAGER PAD 연구는 전세계 34개국 534개센터에서 6,5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임상 3상연구다. 이 연구에서 환자들은 자렐토 1일2회 2.5mg&아스피린 1일 1회 100mg 병용투여군과 아스피린 1일1회 100mg 단독투여군으로 무작위배정되었다. 일차유효성평가변수는 급성사지허혈(ALI), 혈관병인으로 인한 주요절단, 심장마비(심근경색, MI), 허혈성뇌졸중 또는 심혈관사망으로 구성된 복합평가변수였다. 일차안전성평가변수는 심근경색에서의 혈전용해(thrombolysis in myocardial infarction, TIMI) 분류에 따른 주요 출혈이었다.
유효성 결과
일차유효성결과에서 자렐토-아스피린 병용투여는 급성사지허혈(ALI), 혈관병인으로 인한 주요절단, 심근경색(MI), 허혈성뇌졸중 또는 심혈관사망으로 구성된 복합평가변수의 예방에 있어 아스피린 단독투여보다 우월했다(HR 0.85; 95% CI 0.76-0.96; P=0.0043).
개별평가변수항목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급성사지허혈(ALI): HR 0.67 ; 95% CI 0.55-0.82
•혈관병인으로 인한 주요 절단 : HR 0.89; 95% CI 0.68-1.16
•심근경색(MI): HR 0.88 ; 95% CI 0.70-1.12
•허혈성뇌졸중 : HR 0.87; 95% CI 0.63-1.19
•심혈관사망 : HR 1.14; 95% CI 0.93-1.40.
안전성 결과
일차 안전성결과인 TIMI 주요 출혈발생률은 치료군간에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HR 1.43, 95% CI 0.97-2.10). 치명적 출혈증가(HR 1.02; 95% CI 0.33-3.15) 및 두 개내 출혈의 수치적 감소 (HR 0.78; 95% CI 0.38-1.61)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차 안전성결과인 ISTH 주요 출혈발생률은 리바록사반 2.5mg-아스피린에서 아스피린 단독요법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RONOMOS 연구에 대하여
PRONOMOS연구는 글로벌 다기관무작위 이중맹검 연구로 대수술을 제외한 일반정형외과 수술을 받고 2주 이상 혈전예방을 요하는 성인환자 3,604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는 이들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리바록사반과 에녹사파린을 비교했다. 환자 1,809명은 1일 1회 리바록사반 10mg을, 1,795명은 (거동불가정도에 대한) 의학적 판단에 따라 2~12주 동안의 계획된 치료기간에 에녹사파린 4,000 IU를 피하로 투여받았다.
일차 유효성평가변수인 주요 정맥혈전색전증에는 치료기간동안 나타난 증상성 원위부 또는 근위부의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또는 정맥혈전색전증 관련 사망을 모두 반영했다. 유럽병원에서는 일반적으로 대수술을 제외한 일반정형외과 수술후에 저분자량의 헤파린을 혈전예방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에녹사파린을 대조약으로 사용했다.
유효성 결과
일차 유효성평가변수에서 리바록사반은 주요 VTE 예방에서 에녹사파린 대비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VTE가 발생한 환자는 리바록사반 투여군 1,661명중 4명(0.24%), 에녹사파린 투여군 1,640명중 18명(1.10%)이었다(Risk Ratio 0.25; 95% CI 0.09-0.75)).
안전성 결과
일차 안전성평가변수는 출혈빈도였으며 리바록사반 투여군과 에녹사파린 투여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주요 및 비주요 임상관련 출혈 각 1.08%, 1.04% (Risk Ratio 1.04; 95% CI 0.55-2.00)).주요 출혈률은 각각 0.57%, 0.69%이었다.
바이엘에 대하여
바이엘은 생명 과학 영역인 헬스케어와 농업 분야에서 핵심 역량을 지닌 글로벌 기업이다. 바이엘의 제품과 서비스는 세계 인구의 증가와 고령화에 따른 현 시대 주요 과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데 기여함으로써 인류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한다. 바이엘은 지속 가능한 성장의 원칙하에 혁신과 성장을 통한 수익의 극대화 및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며, 바이엘 브랜드는 전 세계적으로 믿음, 신뢰, 그리고 우수성을 상징한다. 2019년 회계연도 기준, 약 104,000 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매출은 435억 유로, 자본 지출은 29억 유로, 그리고 R&D투자는 53 억 유로에 달한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bayer.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