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인 젊은 여성 위암의 비밀! 5세 이하에서 생기는 위암은 진단이 늦어져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우리나라에서 심각한 암보건문제다. 젊은 나이에 생기는 위암은 특이하게도 여성에 많고, 조직학적으로는 장형보다 미만형이 훨씬 많은데, 왜 그런지에 대한 유전자 수준의 원인 규명은 그 간 알려지지 않았다. 국립암센터(원장 이강현) 위암센터(연구책임자, 김학균)는 국제학계에 그 간 보고된 바로는 사상 최대규모로 미만형 위암검체에 대한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미국소화기학회지 (Gastroenterology (IF=18.18, JCR 분야 1위)) 온라인판에 2017년 5월 15일 발표하여, 이같은 문제에 대해 유전체수준의 해답을 제시하였다. 젊은 나이에 생기는 한국인 미만형 위암에서는 미만형 위암 원인 유전자 중 RHOA 유전자 이상은 상대적으로 드물고 CDH1 (E-cadherin) 유전자 이상이 흔한 특징을 보이고 있고, 이로써 젊은 나이에 생기는 위암이 여성에 많고 미만형이 흔하며 임상적 진행이 빠른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 결과 밝혀졌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치료표적분자로 가능한 미만형 위암의 유전체이상을 체계적으로 밝혀, 국내외
아주대병원 간센터 조성원․조효정․김보현 교수팀“환자 정보와 계산식으로 쉽게 예측 가능, 실제 진료 시 적용 기대 ”- 간경변증 환자의 간 내 결절이 간암으로 진행할 지 예측하기 힘든 경우 많아- 간경변증 간 내 결절의 장기간 추적 관찰 데이터 분석으로 간암 진행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는 임상 모델을 구축- 개발한 임상 모델 적용하면 간경변증 환자의 간 내 결절을 고위험군, 중간위험군, 저위험군으로 분류 가능- 간암 고위험 군인 간경변증 환자 진료 현장에서 의사 결정에 객관적 근거 제시염증으로 간이 섬유화되는 간경변증을 앓는 환자에서 혈액이나 CT검사 등 비교적 간단한 정보로 간암 진행 위험 정도를 예측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간경변증 환자의 건강관리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아주대병원 간센터 조성원 교수팀(소화기내과 조성원․조효정 교수, 영상의학과 김보현 교수)이 진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경변증 환자의 간 내 결절 악성도 예측 임상 모델’을 구축했고, 이 내용이 국제 저명 학술지인 미국소화기학회지(Am J Gastroenterol, IF=10.384) 최신호에 실렸다. 간경변증 환자는 간암 발생 고위험군이기 때문에 6개월마다 초음파나 CT 검사로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