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제 요법 돌루테그라비르+라미부딘, 3제 요법 돌루테그라비르+TDF/FTC과 비교해 높은 효과 유지,치료관련 내성 나타나지 않아 GSK의 글로벌 HIV 전문기업 비브헬스케어는 7월 24일 돌루테그라비르+라미부딘의 2제 요법의 3상임상인 GEMINI 1&2 임상의 96주차 결과를 발표했다.[i] GEMINI 1&2임상에서는 돌루테그라비르+라미부딘의 2제 요법이 돌루테그라비르+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RTI)인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푸마르산염/엠트리시타빈(TDF/FTC) 3제 요법과 비교해 효과의 비열등성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으며, 바이러스학적 실패를 경험한 환자 기준 치료 관련 내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두 임상은 멕시코 시티에서 열린 제 10회 국제에이즈학회 HIV 과학학술대회(IAS 2019)에서 발표됐다. GEMINI 1&2 두 임상 모두에서 2제 요법인 돌루테그라비르+라미부딘 요법은 3제 요법인 돌루테그라비르+TDF/FTC와 비교해 96주차까지 비열등한 효과를 보였다.1 두 임상의 96주차 분석에 따르면 HIV-1 RNA 수치가 50c/mL 미만인 환자 비율은 돌루테그라비르+라미부딘 치료군이 716명 중 616명으로 86%, 돌
- NOAC, ‘WHO 필수 의약품 모델 리스트’에 항응고 치료 위한 필수 의약품으로 첫 등재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대표이사: 스테판 월터)은 항응고제 프라닥사Ⓡ캡슐 (성분명: 다비가트란에텍실레이트)이 지난 7월 9일 개정, 발표된 ‘2019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 필수 의약품 모델 리스트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WHO는 이번 필수 의약품 모델 리스트의 주요 개정 사항 중 하나로 심재성 정맥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의 치료 및 와파린의 대안으로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의 등재를 꼽았으며, 특히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는 와파린과 달리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지 않아 저소득 국가에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경구용 항응고제가 WHO의 필수 의약품 모델 리스트에 등재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지난 2017년 개정, 발표된 리스트에서까지도 에녹사파린, 헤파린나트륨, 와파린 등이 항응고 치료를 위한 필수 의약품으로 등재되어 있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스테판 월터 대표이사는 “새롭게 개정, 발표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윤보현 교수는 지난 7월 26일, 미국 산부인과 학회지(AJOG,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로부터 ‘최다 피인용논문 공로상’(In recognition of highly cited scientific contributions in AJOG)를 수상했다.한국인 산부인과 의사가 논문의 영향력을 가늠하는 '피인용 횟수' 기준으로 이 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산부인과 학회지는 올해 1월, 창간 150주년을 맞아, 1920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 산부인과 학회지에 게재된 4만 여개의 논문 중 인용이 가장 많이 된 100편을 선별하고 분석했다. 이때 선정된 100편의 논문에 이름을 가장 많이 올린 3명의 학자에게 ‘최다 피인용논문 공로상’을 수여했고, 윤보현 교수가 두 명의 미국 내 대학 산부인과 교수와 함께 상을 받았다. 학회지가 선정한 100편의 논문 중에는 윤 교수가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린 논문이 총 6편이었다. 미국 산부인과 학회지는 대부분의 산부인과 연구자가 논문을 게재하고 싶어하는 150년 전통의 최고 학술지이다. 2010년 한 논문에 따르면, 산부인과
-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일하고 싶은 기업으로서 선진화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아 ‘2019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으로 선정돼1- 근로 시간 감축을 통한 근무 환경 개선, 청년 고용을 통한 청년 실업 해소 등 기업 내∙외부로 다양한 노력 인정 받아 암젠코리아(대표: 노상경)는 지속적인 신규 채용, 사내 근무환경 개선 등 일자리 창출 실적과 일자리 질 개선을 위한 기업 문화 활동을 인정받아 7월 25일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19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가 2018년 처음 도입한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은 청년 고용 창출 및 취약계층 대상 일자리 배려 등 고용 창출과 고용의 질 개선 등에 앞장선 기업을 선정해 포상하는 제도다.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 국민 추천 등을 통해 후보기업을 발굴하고, 현장실사와 노사단체 의견조회 등을 거쳐 한국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모든 기업 가운데, 매년 100곳을 선정하고 있다. 특히 올해 선정된 기업 중 글로벌 제약 산업군에서는 암젠코리아가 유일하다*. 암젠코리아는 사내 직원들의 근무 환경 개선 및 일과 개인생활 양립을 위한 다양한 일∙생활 균형(Work-life balan
- HPV 유형에 관계없이 고위험군의 자궁경부 질환을 지속적으로 감소 GSK(한국법인 사장 줄리엔 샘슨)는 자사의 자궁경부암 백신 ‘서바릭스‘가 만 12~13세 여성 청소년의 후향적 집단 연구 결과, 자궁경부암 전암 단계인 자궁경부이형성증(CIN3+) 발병을 89% 감소시켰다고 7월 31일 밝혔다.[1] 이번 연구는 스코틀랜드에서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Human papillomavirus) 백신 국가필수예방접종(NIP,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도입 이후 선별된 만 20~21세 여성 138,69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것으로, 서바릭스는 NIP의 주 목적인 자궁경부암 발병 감소에서 매우 높은 유효성을 보인 백신임을 입증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4월 영국 의학 저널(BMJ: British Medical Journal)에 게재됐다. GSK 백신 학술부의 버나드 후트(Bernard Hoet)는 "HPV 유형에 관계없이 자궁경부 전암성 병변 발병률을 약 90%까지 감소시킨 2가 HPV 백신의 유효성을 입증한 이번 연구는 모든 여성과 의료 전문가들에게 중요한 소식이다. 이와 같은 효과가 없다면, 일부 병변은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되어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병원장 홍승모 몬시뇰)이 최근 인천 및 부천지역에서 최초로 ‘비만대사수술 인증의료기관’ 인증을 획득했다. 전국에서는 5번째다.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에서 운영하는 비만대사수술 인증제는 비만대사수술의 안정성을 최대화하고 적절한 질 관리를 위해 외과의사 및 기관에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다. 인천성모병원 위장관외과 김진조 교수는 앞서 지난해 12월에 개인 인증을 획득했다. 비만대사수술 인증의는 ▲비만수술을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일정 수준 이상의 복강경 수술 경험 ▲비만 환자 관리 및 진료를 위한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 연수강좌 참석 ▲개인 임상 데이터 학회에 기록 등 여러 항목을 충족해야 한다. 비만대사수술 인증의료기관 선정을 위해서는 우선 ‘비만대사수술 협진팀’을 구성해야 한다. 비만대사수술 협진팀에는 ▲비만외과 ▲내분비내과 ▲마취통증의학과 ▲심장혈관(순환기)내과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 등 전문 의료진과 ▲코디네이터 ▲영양사 ▲임상평가원 등의 인력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시설부분에서는 ▲수술실 ▲집중치료실 ▲중환자실 ▲내시경실 ▲중재 방사선실과 병적비만환자 전용 침대 및 휠체어 등을 보유하고, 환자 교육 프로그램과 인증 후 자료 수
- 총 50여 명의 저자 중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참여 이대서울병원(병원장: 편욱범) 신장내과 강덕희 교수가 임상 신장학의 대표적 영문 교과서인 ‘Chronic Kidney Disease(2nd edition, Elsevier)’의 공동 집필진으로 참여했다. 총 50여명의 저자 중 국내에서는 강 교수가 유일하게 참여했다. 75개의 챕터, 총 1,364페이지로 구성된 이번 신장학 교과서는 2019년 8월 27일 정식 출간 예정으로 2016년 첫 번째 판이 출간 후 국제적인 호평을 얻어 이번에 두 번째 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한편, 강덕희 교수는 Chronic Kidney Disease 이외에도 Schrier’s ‘Textbook of Kidney and Urinary Track’, ‘Oxford Textbook of Clinical Nephrology’와 ‘Core Concept in Parenchymal Kidney Disease’ 등 다수의 영문 신장학 교과서를 공동 집필 한 바 있다.
•일시: 9월 4일(수) 9:30 - 18:00 •장소: 그랜드힐튼 컨벤션홀(4F) •교육 범위 Q6A/B: Specification Q1A/D: Stability Test Q5A/B/D: Biopharmaceutical products •참여 연사 Health Canada,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화이자 and more! •일시: 9월 5일(목) 10:00 - 17:50•장소: 그랜드힐튼 에메랄드홀(3F)•교육 범위S3A/B: 독성동태S7A/B: QT/QTc 간격 연장, 안전성약리시험 •참여 연사Health Canada, PMDA,안전성평가연구소, 건양대학교 and more •일시: 9월 5일(목) 9:30 - 18:00•장소: 그랜드힐튼 컨벤션홀(4F)•교육 범위E2A/E2B(R3): Clinical Safety Data ManagementE9: Statistical Principles for Clinical Trials •참여 연사FDA, Dmed, PMDA, MFDS, PVCONan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