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생명과학, 티슈진-C(공식명칭: 인보사InvossaTM) 임상 결과 발표
세계 최초 퇴행성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인보사TM(InvossaTM)의 임상결과
코오롱그룹, 퇴행성관절염치료에 혁신적 플랫폼 제시 눈 앞
코오롱생명과학(대표이사 이우석) 과 Tissuegene Inc. 는 지난 3월 31일부터 4일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제26차 2016년 국제골관절염학회(OARSI) 새틀라이트(Satellite) 런치심포지움에서 세계 최초 퇴행성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인 인보사TM(InvossaTM)의 한국과 미국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국제골관절염학회(OARSI) 심포지움에는 전 세계에서 모인 정형외과 전문의들이 참석한 가운데, 코오롱생명과학CTO (최고기술책임자) 이범섭 박사가 진행한 한국 3상 결과 및 미국 2상 장기임상 결과 발표에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이 모아졌다.
이번 심포지움에서 이박사는 12개월 관찰기간 의 한국 임상 3상을 통해 모든 1차 평가 지수에서 인보사의 통계적 우월성을 확인했으며, 또한 24개월관찰 기간 의 미국 임상 2상 시험결과에서도 ‘관절염의 증상과 기능평가지수’(IKDC )에서 인보사의 통계적 우월성을 확인하였다고 발표했다.
이박사는 특히 한국 임상 3상에서 수행된 바이오마커(biomarker) 분석은 DMOAD (Disease Modifying Osteoarthritis Drug, 퇴행성 관절염의 근본적 치료제) 와 관련된 유의미한 결과들을 보여주었다고 강조했다. 이는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로서는 세계 최초로 임상 3상 단계에서 바이오마커를 통해 DMOAD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서 참석자들의 특별한 관심이 모아졌다.
인보사TM는 사람의 정상 동종연골세포와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성장인자를 가진 세포를 무릎 관절강 내에 주사로 간단히 투여해 퇴행성관절염을 치료하는 유전자치료제이다. 무릎의 절개 없이 간단한 주사요법만으로 시술이 가능하다.
코오롱생명과학 이범섭 박사는 “인보사는 최근의 임상 결과들을 통해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과 안전성을 확립하였으며, 기존 치료법으로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서, 퇴행성관절염의 근본적 치료(DMOAD)를 타겟으로 개발되고 있어 향후 퇴행성관절염 치료의 혁신적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ferences
1 12 Months (2013.11.7~2015.8.31)
2 24 Months (2011.05.18~2014.11.14)
3 IKDC: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ymptom, sports activity and function
> 코오롱생명과학
2000년 4월에 설립되어 2009년 4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코오롱생명과학은 4가지 핵심사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4대 핵심사업으로는 원료의약품(API)과 의약 중간체를 공급하고 있는 의약사업, 향균제 판매에 주력하고 있는 환경소재 사업, 다양한 수처리 제품을 고객사에게 제공하고 있는 워터솔루션사업 그리고 퇴행성관절염 치료제인 ‘티슈진-C(인보사)’를 비롯해 암과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 치료제를 연구∙개발하는 바이오신약 사업이 있다. 코오롱생명과학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회사 공식 홈페이지 www.kolonls.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국제골관절염학회(OARSI)
OARSI는 정형외과분야에서 가장 영향지수가 높은 저널인 <Osteoarthritis and Cartilage(Impact factor:4.6)>를 발행하는 학회로 매년 4월 열리는 학술대회에는 골관절염과 연골재생을 연구하는 전 세계 석학들이 참석해 그동안 연구한 기초 및 임상 시험결과를 발표하고 그 중요성과 의미를 토론한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https://www.oarsi.org 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보사TM
인보사TM(InvossaTM))는 개발코드명 티슈진-C로 알려진 신약의 공식 제품명이며, '혁신적인(Innovative) 관절염치료제'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퇴행성관절염
퇴행성관절염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또한,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질환으로 치료방법으로 통증완화 및 퇴행속도 둔화요법, 인공관절치환수술 등이 있다.
> 퇴행성관절염 유병률
201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에 따르면, 퇴행성관절염환자는 2009년 112만 3,099명에서 2013년 116만 3,241명으로 해마다 4%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성별로는 여성 77만 140명(66%), 남성 39만 3,101명(34%)으로 여성의 유병률이 남성보다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행성관절염은 50대가 4.7%, 60대가 14.0%, 70대가 26.1%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유병률이 높으며 특히 70대 이상 여성의 경유 유병률이 36.1%로 10명 중 3.6명이 퇴행성관절염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