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3.2℃
  • 맑음강릉 26.0℃
  • 맑음서울 21.7℃
  • 맑음대전 23.5℃
  • 맑음대구 21.6℃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1.5℃
  • 맑음부산 20.0℃
  • 맑음고창 21.6℃
  • 구름많음제주 18.8℃
  • 맑음강화 19.7℃
  • 맑음보은 21.5℃
  • 맑음금산 23.8℃
  • 맑음강진군 20.6℃
  • 맑음경주시 24.4℃
  • 맑음거제 20.6℃
기상청 제공

학술

목디스크, 목 뒤로 수술하면 효과 크고 휴유증 적어[첨부파일 참조]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 받은 목디스크 환자 87% “통증 크게 줄어”

흉터, 관절 움직임 제한 등의 후유증도 적어


경추수핵탈출증(목디스크) 환자에게서 최소침습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이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정천기, 김치헌 교수팀과 경북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성주경, 김경태 교수팀은 이 같은 결과를 국제 저명 학술지인 ‘European spine Journal’ 최신호에 발표했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수팀은 목디스크 환자 22명에게 내시경을 이용한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을 시행했으며, 경북대학교병원 교수팀은 동일환 질환과 수의 환자에게 튜브 및 현미경을 이용한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을 시행했다. 그리고 2년간 경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전체 환자 44명 중 38명(87%)이 목과 팔의 통증이 현저히 줄었다고 답했다. 

내시경 수술을 받은 환자는 통증 척도(VAS)의 평균점수가 수술 전에는 목(5.7), 팔(6.4)이었으나, 수술 2년 후에는 목(0.8), 팔(0.9)로 크게 줄었다. 

튜브 현미경 수술을 받은 환자도 VAS가 수술 전 목(7.3), 팔(7.7)에서 수술 후 목(1.0), 팔(1.0)로 크게 줄었다.

VAS(Visual Analog Scale)는 0-10 범위 점수로 통증을 평가하는 척도다. 0은 통증이 전혀 없는 상태고 10은 통증이 참을 수 없을 만큼 심한 상태다. 

또한, 수술 후 40%의 환자에게서 목의 전굴(목이 앞으로 굽은 상태, 거북목이라고 부름)이 호전됐다. 전굴이 악화된 환자는 한명도 없었다. 

목디스크는 목의 신경을 눌러 환자가 목을 제대로 펴지 못하게 한다. 환자는 통증을 피하기 위해 목을 앞으로 굽히는데 이 과정에서 전굴이 생긴다. 수술로 디스크를 제거하면 목의 전굴도 자연스럽게 호전된다.

기존의 목디스크 수술법은 목 앞을 절개해 신경을 누르는 디스크 전체를 제거하고 목 관절을 고정하는 방법이다. 목 앞쪽에 3cm 정도 흉터가 남고 목 관절의 고정으로 인해 목 움직임이 제한된다. 장기적으로 인접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는 문제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공디스크를 삽입하기도 하지만 인공디스크는 시간이 지나면 기능이 상실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연구팀이 시행한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은 목 뒤를 최소한으로 절개한 후 내시경이나 현미경을 이용해 신경을 누르는 디스크 조각만을 제거한다. 흉터가 목 뒤라 잘 보이지 않고 기존의 디스크를 그대로 두기 때문에 목 움직임의 제한이 없으며 인접 관절의 퇴행성 변화도 줄일 수 있다.



정천기 교수는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은 기존 수술법의 문제점인 목 운동의 제한, 긴 재활기간 등의 단점을 보완하는 수술이다. 단 디스크의 위치와 척수 압박 정도에 따라 수술이 제한될 수 있으니 수술 경험이 많은 전문가와의 상담이 꼭 필요하다” 고 말했다.


[보충설명]

 내시경을 이용한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 : 목 뒤 0.8mm를 절개하고 내시경을 넣어 신경을 누르고 있는 디스크 조각을 제거하는 수술. 

튜브 및 현미경을 이용한 후방접근 디스크제거술 : 목 뒤 2cm를 절개하고 작은 튜브(가이드)를 넣은 후 점점 큰 튜브로 교체해가며 수술 부위를 확보한 후 현미경을 이용해 신경을 누르고 있는 디스크 조각을 제거하는 수술.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