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3.2℃
  • 맑음강릉 26.0℃
  • 맑음서울 21.7℃
  • 맑음대전 23.5℃
  • 맑음대구 21.6℃
  • 맑음울산 23.3℃
  • 맑음광주 21.5℃
  • 맑음부산 20.0℃
  • 맑음고창 21.6℃
  • 구름많음제주 18.8℃
  • 맑음강화 19.7℃
  • 맑음보은 21.5℃
  • 맑음금산 23.8℃
  • 맑음강진군 20.6℃
  • 맑음경주시 24.4℃
  • 맑음거제 20.6℃
기상청 제공

THE CULTURE

[사진전] 나, 나를 심다

한미사진미술관, 6월 13일 ─ 8월 15일

나, 나를 심다

2015 젊은 작가 지원전 I


Self-Portrait, Archival Pigment print, 101.6ⅹ76.2cm, 2013 ⓒ안준

김인숙

안준

장태원

2015. 6.13 ─ 8.15



김인숙, 안준, 장태원  연간 기획 ‘젊은 작가 지원전’에 선정


님에게 드리는 편지:letter to you, Digital C-print, Photo slide video, 4min, 6 letters, 가변설치, 2004 ⓒ김인숙
한미사진미술관은 한국사진계 다음세대의 지속적인 후원자 및 중추적 조력자가 되고자 하는 방향성에 맞추어 2012년부터 국내외에 거주하는 30~40대 한국작가들의 포트폴리오를 접수 받아 역량 있고 창의성이 돋보이는 이들의 작품을 밀도 있게 검토 해 왔다. 

내부 심사를 통해 선정된 이들은 전시와 함께 전시 연계 도록 출판의 기회를 가지고, 전시 향후에도 국내외 타 기관과의 연계 등 지속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게 교류활동을 계속해나갈 미술관의 연간 기획프로젝트다. 

2015년 드디어, ‘젊은 작가 지원 전시’ 2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그 첫 번째 전시인 《나, 나를 심다》 을 통해 역량 있는 신진작가 김인숙, 안준, 장태원, 3인의 작업을 소개한다.


작가 스스로와 마주한 그 사적인 이야기 탐구, 자화상 작업 전시


Self-portrait, Inkjet print, 113ⅹ90cm, 2010 ⓒ장태원
《나, 나를 심다》의 주제는 ‘자화상 Self-Portrait’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젊고 참신한 작업으로 주목 받아온 세 명의 작가가 지난 몇 년 간 혹은 현재까지 작업의 주제로 다뤄 온 그들만의 자화상 작업을 모아 소개한다. 사진을 찍는 과정 자체가 스스로에 대해 알아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지만, 작가가 카메라 뒤가 아닌 앞에 마주하고 선 자화상은 실재하는 ‘나’와 대면하고 적극적으로 그 내적인 탐구과정을 진척시킨 작업이다. 

세 작가는 현존하는 ‘나’를 이해하기 위해 카메라에 이들이 생각하고 그려온 또 다른 ‘나’를 담아낸다. 어쩌면 일시적일 수도, 아득한 환상에 지날 수도 있는 ‘나’는 지속적으로 실존하는 ‘나’와 만나 대입되고 납득되는 과정을 경험한다. 자화상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현실 속의 ‘나’와 작가들이 그린 ‘나’는 끊임없이 교차하고 부딪히며 그 사이를 좁혀 나가게 된다.

이번 전시는 누구보다 젊은 작가들이야말로 이 주제를 가장 치열하게 고민하고 사진에 녹여냈을 것이란 추측 하에 기획되었고, 카메라 앞에 선 세 작가가 자신과 더불어 사진에 대해 깊이 고민한 흔적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몸을 이용해 사진의 재료라 할 수 있는 빛과 그림자를 공부하고(장태원), 사진 매체 자체의 속성에 대해 이해해가며(안준), 사진이 가진 가능성을 실험한다.(김인숙) 이처럼 세 작가의 작업 속에는‘나’ 알아가는 과정과 사진을 이해해가는 과정이 자연스레 함께 녹아 있다.


역량 있는 젊은 작가들의 발언장인 포트폴리오 함께 전시

이번 전시에서는 실제 작업과 더불어 작가들의 포트폴리오가 전시된다.

작가들에겐 자신의 얼굴이자 작업 그 자체와도 같은 포트폴리오는 가장 효과적인 작업의 발언 장이며, 독자들과 심도 있는 소통을 위한 창구이다. 이처럼 중요한 위상을 지닌 포트폴리오가 지난 수십 년간 사진과 동고동락하며 어떠한 개념적인, 방법론적인 변화를 가졌는지 그 현황을 세 작가를 통해 엿보고자 전시를 구성하였다. 젊고 역량 있는 한국작가들의 포트폴리오는 한국사진의 다음세대를 짊어질 이들의 가치관을 반영한 거울과도 같기에 그것을 살펴보는 자체로도 의미를 가지며 그들과 더불어 앞으로의 한국사진계를 기대해본다.


김인숙


The real wedding ceremony: 리얼웨딩(가제), Actors #2, Digital C-print, 118ⅹ168cm, 2010 ⓒ김인숙
1978년 일본 오사카 출생, 현재 서울에서 활동

2005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회화과 사진영상전공 졸업
2002  VISUAL ARTS COLLEGE OSAKA 사진과 졸업
2000  OSAKA SHOIN WOMEN'S UNIVERSITY 의상과 졸업

개인전
2002
2014 《벚나무의 시간표- Retelling Tales of the Cherry Blossoms》, Mio Photo Award Prime, 오사카, 일본
2013 《벚나무의 시간표- Retelling Tales of the Cherry Blossoms》, Canonplex Gallery, 서울
2008 《사이에서: between two Koreas and Japan》, 갤러리 이룸, 서울
     《sweet hours》,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07 《sweet hours》, caf~窓 수카라Suッkara, 서울
2005 《sweet hours》, 아트스페이스 휴烋, 서울
2004 《님에게 드리는 편지》, Studio Earka, 오사카, 일본
2002 《Chang~窓 唱 蒼~》, Studio Earka, 오사카, 일본
     《Chang》, Beats Gallery, 오사카, 일본

그 외 다수의 단체전


수상
2014 KAP(코리안 아티스트 프로젝트) 2014 참여작가 선정, 한국사립미술관협회
2013 Mio Photo Award, 우수작가, 카사하라 미치코 선정, 일본
2012 대구사진비엔날레 <포트폴리오리뷰 encounter'12> 우수작가 선정
2011 서울사진축제 <포토리뷰> 우수작가 선정
2004 제 6회 사진비평상 우수상
2003 Konica FOTO PREMIO ~24명의 신진작가들~입선, 일본

레지던시 프로그램
2015 오래된 집 재생프로젝트 10기 입주
2014-2015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10기 입주
2014 국제교환입주작가 Residency Studio by the Cultural Office of the City of Dusseldorf, 독일
2013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지역연계프로젝트 작가 선정




안준


Self-Portrait, Pigment print, 152.4ⅹ101.6cm, 2008 ⓒ안준
2013 Hongik University, Completion, doctoral program in Photography
2012 Parsons-The New School for Design. MFA in Photography, with Honors
2007-2009 Pratt Institute. Graduate study in Photography
2006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BA in Art History

Solo Exhibitions
2015 On the Edge of Time, Mandarin Oriental Hotel, Hong Kong
2014 Self-Portrait, Christophe Guye Gallery, Zurich, Switzerland
2013 New Heights, Kips Gallery, New York, NY, USA
AHAF13’, Special Exhibition, Mandarin Oriental Hotel, Hong Kong
2012 Self-Portrait, Anna Nova Gallery, St. Petersburg, Russia
Invisible; Belt 2012 Competition Winner’

그외 다수의 단체전


Awards/Honors
2013 Asian Artist to Watch in 2013, South China Morning Post, Hong Kong
nes To Watch, British Journal of Photography, UK
2012 International Photography Award (Honorable Mention, Fine Art-Others Category)
Belt 2012 (Photography), Korea
New Caledonia Traveling Grant, New Caledonia Tourism Board/Kumsan Gallery
2011 2011 Graduate Directory, Wallpaper* Magazine, UK
Hong Kong in my Mind Exhibition Traveling Grant, Hong Kong Tourism Board
Departmental Scholarship, Parsons-The New School for Design, USA
2009~2011 Deans Scholarship, Parsons-The New School for Design, USA



장태원

A man with no shadow, Duratrans, Aluminum light box, 84ⅹ106.7cm, 2010 ⓒ장태원
1976년 서울 출생, 현재 서울과 뉴욕에서 거주, 작업 중

2006 콜롬비아 대학교, 시각 예술 전공 석사 , 뉴욕
2001 중앙 대학교, 사진 학과, 학사


개인전
2014《Stained Ground》LAMP Lab, 서울
2012《Showcase》류화랑, 서울
2011《Generic Landscapes》일우스페이스, 서울
2010《New Work》두산 갤러리, 서울 / 뉴욕
2009《Collusion》가나아트 뉴욕, 뉴욕
2007《Ooze》가나아트 뉴욕, 뉴욕

그 외 다수의 단체전


수상경력
2015, American Photography 31, AI-AP
2012, 제2회 세코사진상, 세코그룹
2010 일우사진상, 일우재단, 한진그룹
2006, LeRoy and Janet Neiman Fellowship, Columbia University
2006, Kramarsky and Schafer Scholarship, Columbia University
2004, Jack Goodman Award, New York University


레지던시
2015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