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조스파타®’ 건강보험 급여 적용

아스텔라스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 치료제

국내 최초로 허가 받은 FLT3 변이 양성 재발 또는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 치료제 조스파타®
건강 보험 급여 적용으로 환자의 치료 접근성 개선


한국아스텔라스제약(대표 마커스 웨버)은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조스파타®(Xospata®, 성분명: 길테리티닙)가 3월 1일부터 FLT3 변이 양성인 재발 또는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환자 치료에서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다고 밝혔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은 혈액 또는 골수 속에서 종양세포가 나타나는 혈액암의 일종으로, 전체 백혈병 환자의 56%가량을 차지한다.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는 고강도 항암화학요법이 중심이 되며 60~80%의 완전관해율을 보인다. 하지만, 완전관해에 도달한 50%의 환자가 재발을 경험하며, FLT3 변이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높은 재발 위험과 낮은 생존율을 보인다., FLT3 돌연변이는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약 30%에서 관찰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조스파타®는 재발/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경우 구제 항암화학요법 대비 유의한 전체생존기간(OS) 연장과 높은 재관해율을 입증하며 FLT3 변이 양성인 재발 및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한 데 이어, 이번 보험 급여를 통해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까지 대폭 개선할 수 있게 됐다.

조스파타®의 보험 급여 적용은 국제 가이드라인 및 3상 임상연구 ADMIRAL10에 근거해 이뤄졌다. ADMIRA 연구 결과, 조스파타®군의 전체생존기간(OS) 중앙값은 9.3개월로, 대조군 5.6개월에 비해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HR=0.64; 95% CI: 0.49–0.83; p-값<0.001).10 완전관해(CR) 또는 부분적 혈액학적 회복을 동반한 완전관해(CRh) 도달 비율 또한 대조군 대비 두 배가량 높았다(34.0% vs. 15.3%/Risk difference, 18.6%p; 95% CI: 9.8–27.4).10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김희제 교수는 "그동안 FLT3 변이 양성 재발 또는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은 기존 항암화학요법으로 효과를 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치료 예후가 좋지 않아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번 급여 적용으로 보다 많은 환자들이 조스파타®의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항암사업부 총 책임(Oncology BUD) 김진희 이사는 “이번 조스파타® 급여를 통해 제한적인 치료 환경에 놓여있던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의 치료 문턱을 크게 낮추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국내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의 치료 환경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스파타®는 FLT3 변이 양성인 재발 또는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이 1일 1회 경구 복용할 수 있는 국내 최초로 허가된 단독요법 치료제로1,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에서 Category 1으로 권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2020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11



조스파타®에 대하여

조스파타®는 길테리티닙 성분의 FLT3 티로신키나제억제제(tyrosine kinases inhibitor)다. FLT3 변이 양성인 재발 또는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 성인 환자 치료를 위한 단일 요법으로 2018년 미국 FDA와 일본 후생노동성, 2019년 유럽의약품청(EMA), 2020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다.11

조스파타®는 아스텔라스제약과 코토부키제약이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됐으며, 양사는 조스파타®의 개발, 생산 및 상용화에 대한 전세계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 아스텔라스는 현재 다양한 FLT3 변이 양성인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조스파타® 임상 시험에 투자하고 있다. 진행중인 조스파타® 임상시험의 상세 정보는 http://www.clinicaltrials.gov에서 확인할 수 있다.

ADMIRAL(2215-CL-0301)임상에 대하여10ADMIRAL은 FLT3 변이 양성인 재발 또는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조스파타® 및 구제 항암화학요법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한 공개, 다기관, 무작위 3상 임상시험이다. 임상시험에 등록된 적격 환자 371명을 2:1로 무작위 배정해 각각 조스파타® (1일 1회 120mg)와 구제 항암화학요법을 투여했다.

임상시험 결과, 1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전체생존기간(OS) 중앙값은 조스파타® 투여군이 9.3개월, 구제화학요법 투여군이 5.6개월로, 조스파타® 투여 시 구제화학요법 투여 대비 전체생존기간이 의미있게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HR=0.64; 95% CI: 0.49–0.83; p-값<0.001). 또한, 조스파타® 투여군은 구제 항암요법투여군 대비 완전관해(CR)* 또는 부분적 혈액학적 회복을 동반한 완전관해(CRh)** 도달 환자 비율이 더 높았다(34% vs. 15.3%/Risk difference, 18.6%p; 95% CI: 9.8–27.4).

이번 연구에서는 2차 유효성 평가 변수로 완전 관해율과 무사건 생존기간(event-free survival)도 함께 분석됐다. 조스파타® 투여군의 완전 관해율은 21.1%로, 구제 항암화학요법 투여군의 10.5% 대비 약 2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isk difference, 10.6%p; 95% CI: 2.8–18.4). 또한, 조스파타® 투여군은 구제 항암화학요법 대비 무사건 생존기간(event-free survival)이 더 길었다(2.8개월 vs 0.7개월/Risk difference, HR=0.79; 95% CI: 0.58 to 1.09). 

이상반응과 관련해, 조스파타® 투여군에서 3등급 이상의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발열성호중구감소증(45.9%), 빈혈(40.7%), 혈소판감소증(22.8%)이었다. 조스파타®는 치료기간에 맞게 조정된 분석에서 구제 항암화학요법군 대비 3등급 이상의 이상반응 및 중대한 이상반응 발생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등급 이상의 노출 보정(exposure-adjusted) 이상반응 발생률은 조스파타® 투여군에서 환자년(patient-year) 당 19.34건, 구제 항암화학요법군에서 42.44건으로 나타났다. 

*CR은 절대 호중구 수가 ≥1.0 x 109/L, 혈소판 수가 ≥100 x 109/L, 골수 내 아세포 감별 수치가 <5%이고 적혈구 및 혈소판 수혈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골수외 백혈병의 증거가 없는 상태로 정의됐다. 
**CRh는 CR로 분류될 수는 없지만 골수 아세포가<5%, 절대 호중구 수가 ≥0.5 x 109/L, 혈소판 수가 ≥50 x 109/L이고 혈액학적 부분 회복을 보이면서 골수외 백혈병의 증거가 없는 상태로 정의됐다.


한국아스텔라스제약에 대하여

한국아스텔라스제약㈜은 환자와 건강한 삶을 지향하는 이에게 최대의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 향상을 도모하는 글로벌 제약기업이다. 현재 국내에 하루날디(전립선비대증), 베시케어(과민성 방광) 등 국민들의 삶의 질(Quality Of Life) 향상에 공헌하는 치료제를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 엑스탄디(전립선암), 조스파타(급성골수성백혈병) 등 항암제 분야에서 혁신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References
1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등 정보 검색 (효능효과: FLT3 검색). Accessed on Mar 2, 2022.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고 제2022-38호, Released on Feb 25 2022, Available at: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30023010000&brdScnBltNo=4&brdBltNo=45605&pageIndex=1#none  Accessed Feb 25 2022
3  국가암정보센터>내가 알고 싶은 암>암의 종류>전체암 보기>급성골수성백혈병>정의 및 종류,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3509&menu_seq=3513, Accessed Feb 15 2022
4  약학정보원. 이슈&트랜드. 백혈병(Leukemia) (2). Available at.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B%B0%B1%ED%98%88%EB%B3%91(Leukemia)%20(2).pdf
5  국가암정보센터>내가 알고 싶은 암>암의 종류>전체암 보기>급성골수성백혈병>치료방법,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3509&menu_seq=3525 Accessed Feb 15 2022
6  Megías-Vericat, J.E. et al. Salvage regimens using conventional chemotherapy agents for relapsed/refractory adult AML patien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n Hematol 97, 1115–1153 (2018).
7  Whitman SP, et al. FLT3 internal tandem duplication associates with adverse outcome and gene- and microRNA-expression signatures in patients 60 years of age or older with primary cytogenetically normal acute myeloid leukemia: a Cancer and Leukemia Group B study. Blood 2010;116(18):3622-6.
8  Whitman SP, et al. Absence of the wild-type allele predicts poor prognosis in adult de novo acute myeloid leukemia with normal cytogenetics and the internal tandem duplication of FLT3: a cancer and leukemia group B study. Cancer Res 2001;61(19):7233-9.
9  M Larrosa-Garcia et al. FLT3 Inhibitors in Acute Myeloid Leukemia: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 2017 Jun; 16(6): 991–1001.
10  AE, Martinelli G, Cortes JE, et al. Gilteritinib or Chemotherapy for Relapsed or Refractory FLT3-Mutated AML. N Engl J Med 2019;381:1728-40
11  의약품안전나라>의약품 등 제품정보 검색>조스파타정.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2001574, Accessed Feb 15 2022
12  NCCN Guidelines Version 3. 2021. Acute Myeloid Leukemia (Age ‑18years)
13  U.S. FDA Approval Package- XOSPATA® (gilteritinib) Approval Letter(s).2018
14  Astellas Press Release_Xospata approved in Japan. 21, September, 2018
15  European Medicines Agency. Xospata. Available at: https://www.ema.europa.eu/en/medicines/human/EPAR/xospata#authorisation-details-section, Accessed Feb 15 2022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