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0월 5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4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9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수는 24,164명(해외유입 3,296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41명으로 총 21,886명(90.57%)이 격리해제 되어, 현재 1,85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07명이며,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422명(치명률 1.75%)이다.

10월 5일(12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결과 변동 가능
서울 강북구 북서울꿈의교회와 관련하여 10월 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4명*이다.
* (구분) 교인 2명(지표환자 포함), 가족 2명
경기 양평군 건설업 근로자와 관련하여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경기 포천시 내촌면 군부대와 관련하여 10월 4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3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6명*(군인) 이다. 감염원 및 감염경로 등에 대해 민·관·군 합동조사가 진행 중이다.
인천 부평구 지인모임과 관련하여 9월 3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가족 5명(지표환자 포함), 지인 8명 (일자별) 9월30일 1명, 10월1일 4명, 10월2일 6명, 10월3일 1명, 10월4일 1명
부부동반 친인척 모임 관련 10월 2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 (구분) 대전 2명(지표환자 부부), 충남 2명(처가), 울산 3명(누나, 동생, 조카)
전북 익산시 인화동 사무실과 관련하여 자가격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9명이다.
부산 금정구 평강의원 관련하여 자가격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지표환자, 지표환자 가족 1명, 방문자 6명(+1), 종사자 3명, 종사자 가족 2명
10월 5일 0시 기준, 해외 유입 확진자는 9명으로, 검역단계에서 2명이 확인되었고, 입국 후 지역사회에서 자가격리 중 7명이 확인되었으며, 내국인이 7명, 외국인은 2명이다.
해외 유입 확진자 9명의 추정 유입 국가는 중국 외 아시아 3명(우즈베키스탄 1명, 러시아 1명, 시리아 1명), 유럽 4명(폴란드 2명, 아일랜드 1명, 영국 1명,), 아메리카 2명(미국 2명)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1주간 방역 관리 상황 및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주의사항을 당부하였다.
【1주 간격 위험도 평가 지표】

1) 방역망 내 관리 비율 : 신규 확진자 중 자가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사람의 비율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국내 발생 환자는 최근 1주간(9월27일~10월3일) 1일 평균 57.4명으로 직전 1주(9월20일~9월26일, 75.6명)보다 18.1명 감소하였다.
지난 1주간 집단발생 신규 건수는 전주 대비 10건 감소하여 5건이었고, 감염경로 조사 중 비율은 20% 내외로 유지 중이며, 방역망 내 관리비율은 80% 미만으로 나타났다.
해외 유입 환자는 최근 1주간 1일 평균 15.6명이 발생하여, 지난주와 유사하게 10명 내외 수준을 유지하였다.
최근 1주간 감염경로*를 보면 국내 집단발생 104명(20.4%), 선행 확진자 접촉 123명(24.1%), 조사 중 100명(19.6%) 순으로 나타났다.
* 최근 1주간 감염경로별 확진자 발생 현황(9월27일 0시∼ 10월3일 0시까지 신고된 511명 기준)
전파양상을 보면, 수도권, 부산, 경북 포항・경주 중심으로 집단발생이 확인되고 있으며, 의료기관·요양시설, 다중이용시설, 다단계/투자설명회, 교육시설 등 다양한 집단에서 감염 발생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정신병원(다나병원), 정신요양시설(박애원), 노인요양시설은 고령층, 기저질환자가 많고, 감염률, 중증도가 높아, 노출자 코호트 격리 등 감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의료기관(정신․요양병원 등) 및 요양시설은 종사자 마스크 착용 및 손 씻기 철저, 신규 입원·입소자 및 유증상자에 대한 신속한 검사, 실내 환기‧소독, 외부인 방문 금지 등 시설 내 감염관리를 더욱 강화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또한, 유행지역 중심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등의 종사자와 입소자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추석 연휴 기간 종료 후 지역사회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유증상자에 대한 적극적인 검사로 확진자를 조기에 진단하고, 신속한 감염경로 및 접촉자 조사・관리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강조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에서 코로나19 연관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MIS-C, 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사례가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은 2020년 4월 이후 유럽 및 미국에서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보고된 특이사례로, 코로나19 감염 수 주 후 발열, 발진, 다발성 장기기능 손상 등이 나타나는 전신성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연관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의 국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5월 25일부터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 신고사례 7명에 대한 역학조사, 실험실적 검사 및 전문가 회의 결과 2명이 사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현재 두 사례 모두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한 상태다.
첫 번째 사례(11세/남)는 2020년 1월~3월 필리핀 여행력이 있으며, 발열·복통 등으로 4월29일~5월11일 입원치료 후 퇴원한 사례로, 5월25일 신고되어 최초 전문가 사례판정회의(5.31) 결과 코로나19 감염 관련 검사결과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미부합사례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시행된 항체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되어 전문가 사례판정회의(9.28) 결과 최종적으로 사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고,
두 번째 사례(12세/남)는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하여 코로나19에 대해 8월19일~9월1일 입원치료 후 퇴원하였으나, 이후 발열·복통 등으로 다시 9월14일~9월23일 입원치료 후 퇴원한 사례로, 9월 17일 신고되어 역학조사 및 전문가 사례판정회의(9.28) 결과 사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우리나라는 유럽 및 미국* 등지에 비해 코로나19 발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의 발생도 드물게 나타나지만,
* 미국 935명(사망19), 프랑스 79명(사망1), 영국 78명(사망2) 등 보고
앞으로 코로나19 연관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사례에 대한 감시 및 조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마스크착용, 손 씻기, 사회적 거리두기 등 코로나19 예방수칙의 지속적인 준수를 당부하였다.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일일 확진자 현황 (10월 5일 0시 기준, 24,164명)
지역별 확진자 현황 (10월 5일 0시 기준, 24,164명)
[ 확진자 성별·연령별 분포 ]
[ 지난 4주간 주별 연령별 신규환자 발생 현황 ]
[ 사망자 성별·연령별 분포 ]
최근 2주간 (9월 22일 0시~10월 5일 0시까지 신고 된 1,119명) 감염경로 구분
지난 4주간 주별 감염경로별 신규환자 발생 현황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누적발생 310,000명 이상 국가, 아시아·태평양 및 주요감시 국가
(단위: 명)
| 확진자 | 사망자 | 치명률 (%) | 인구10만명당 발생자 수* |
누적 | 신규 | 누적 | 신규 |
미국 | 7,256,234 | 49,465 | 207,366 | 808 | 2.86 | 2204.87 |
인도 | 6,549,373 | 75,829 | 101,782 | 940 | 1.55 | 478.51 |
브라질 | 4,880,523 | 33,431 | 145,388 | 708 | 2.98 | 2297.80 |
러시아 | 1,215,001 | 10,499 | 21,358 | 107 | 1.76 | 844.34 |
콜롬비아 | 841,531 | 6,192 | 26,397 | 201 | 3.14 | 1689.82 |
페루 | 821,564 | 3,267 | 32,609 | 74 | 3.97 | 2497.16 |
스페인** | 789,932 | - | 32,086 | - | 4.06 | 1702.44 |
아르헨티나 | 779,689 | 14,687 | 20,599 | 311 | 2.64 | 1728.80 |
멕시코 | 753,090 | 4,775 | 78,492 | 414 | 10.42 | 569.23 |
남아프리카공화국 | 679,716 | 1,883 | 16,938 | 29 | 2.49 | 1169.91 |
프랑스 | 580,703 | 16,911 | 31,969 | 43 | 5.51 | 886.57 |
영국 | 480,021 | 12,871 | 42,317 | 49 | 8.82 | 716.45 |
칠레 | 468,471 | 1,881 | 12,919 | 52 | 2.76 | 2501.18 |
이란 | 468,119 | 3,523 | 26,746 | 179 | 5.71 | 565.36 |
이라크 | 375,931 | 3,672 | 9,347 | 49 | 2.49 | 930.52 |
방글라데시 | 367,565 | 1,182 | 5,325 | 20 | 1.45 | 227.74 |
사우디아라비아 | 335,997 | 419 | 4,850 | 27 | 1.44 | 985.33 |
터키 | 323,014 | 1,502 | 8,384 | 59 | 2.60 | 389.17 |
이탈리아 | 322,751 | 2,843 | 35,968 | 27 | 11.14 | 545.19 |
필리핀 | 319,330 | 2,652 | 5,678 | 62 | 1.78 | 295.40 |
파키스탄 | 314,616 | 632 | 6,513 | 6 | 2.07 | 153.77 |
인도네시아 | 299,506 | 4,007 | 11,055 | 83 | 3.69 | 111.13 |
카자흐스탄** | 141,484 | - | 2,075 | - | 1.47 | 760.67 |
중국 | 85,470 | 20 | 4,634 | 0 | 5.42 | 6.02 |
일본 | 85,339 | 571 | 1,597 | 7 | 1.87 | 67.25 |
싱가포르 | 57,800 | 6 | 27 | 0 | 0.05 | 979.66 |
우즈베키스탄 | 58,421 | 645 | 479 | 4 | 0.82 | 178.11 |
키르기스스탄 | 47,428 | 244 | 1,066 | 0 | 2.25 | 764.97 |
호주 | 27,121 | 8 | 893 | 3 | 3.29 | 108.05 |
말레이시아 | 12,088 | 317 | 137 | 1 | 1.13 | 37.19 |
태국 | 3,585 | 2 | 59 | 0 | 1.65 | 5.17 |
베트남 | 1,096 | 0 | 35 | 0 | 3.19 | 1.13 |
독일 | 299,237 | 2,279 | 9,529 | 2 | 3.18 | 363.15 |
스웨덴** | 94,283 | - | 5,895 | - | 6.25 | 933.50 |
대한민국 | 24,164 | 73 | 422 | 1 | 1.75 | 46.61 |
* 국가별 총 인구 수: 유엔인구기금(UNFPA) 2019년 기준, 대한민국 2020년 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 금일 발생 현황 통계 업데이트 없음
[자료 도표 질병관리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