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EAMM-2 13개월 추적 연구 결과,
벨란타맙 마포도틴 2.5mg/kg 단독투여로 전체 생존 중앙값 14.9개월,
반응지속기간 중앙값 11개월 확인
DREAMM-6 연구 첫 결과,
벨란타맙 마포도틴과 보테조밉+덱사메타손 병용투여의 ORR 78% 확인
벨란타맙 마포도틴, 기존 보고된 데이터와 안전성 및 내약성 일관성 보임
GSK는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 치료를 위한 GSK의 B세포 성숙화 항원(BCMA) 신약후보물질인 벨란타맙 마포도틴의 단독 및 병용 투여의 잠재력을 추가적으로 조명하는 DREAMM(DRving Excellence in Approaches to Multiple Myeloma) 임상 프로그램의 새로운 데이터를 5월 27일 (본사 기준) 발표했다. 해당 데이터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의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DREAMM-2 연구의 13개월 추적관찰 데이터에서(abstract #8536), 벨란타맙 마포도틴 용량 2.5mg/kg을 3주마다 1회 단독 투여한 치료군의 반응지속기간(DoR) 중앙값은 11개월(95% CI, 4.2–미도달)이었으며, 전체 생존(OS) 중앙값은 14.9개월(95% CI, 9.9–미도달)로 확인되었다.
해당 환자들은 중앙값 7회의 선행 치료 경험이 있으며, 면역조절제인 프로테아좀 억제제와 항-CD38 항체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불내성이 있는 환자군이었다. 전체 반응률(ORR) 또한 6개월 추적 관찰 시점과 일관되게 32%(97명 중 31명)로 나타났다. 이 환자 중 과반수(58%)는 매우 좋은 부분 관해(PR, partial response) 또는 그 이상에 도달했으며, 환자군에는 엄격한 완전관해(sCR, stringent complete response) 2건과 완전 관해(CR, complete response) 5건이 포함되어 있었다. 임상적 혜택을 얻은 환자의 비중(최소 반응 또는 그 이상)은 36%였다 (95% CI, 26.6–46.5).
GSK 종양학 연구개발부 선임부사장(Senior Vice President and Head of Oncology R&D) 악셀 후스(Axel Hoos) 박사는 “ASCO에서 발표된 DREAMM-2 최신 연구 결과를 통해 벨란타맙 마포도틴의 잠재력이 추가로 확인되며, 현 치료법을 사용했음에도 다발골수종이 계속 진행되는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 공격적인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벨란타맙 마포도틴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이런 긍정적인 데이터를 확인하게 되어 고무적이다”라고 말했다.
벨란타맙 마포도틴을 더 길게 사용한 장기간 추적 관찰에서도 새로운 안전성 신호는 발견되지 않았다. 2.5mg/kg 용량으로 치료 받은 환자들에서 가장 흔하게(환자의 10% 이상에서 발생) 보고된 3등급 이상의 이상 사례로는 각막병증 및 각막 상피에서 확인된 변화(46%), 혈소판감소(22%), 빈혈(21%), 림프구 감소(13%), 그리고 호중구감소(11%) 등이 있었다. 시력 검사 중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각막 상피에서 변화가 확인되는 첫 각막병증 사건(MECs)의 경우, 2.5mg/kg 용량 치료군의 77%가 연구 종료 시점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며, 현재까지 영구적인 시력 손실은 보고된 바 없다.
벨란타맙 마포도틴은 현재까지 세계 어느 곳에서도 승인되지 않았다
에모리대학교 윈십 암 센터 최고의학책임자(Chief Medical Officer of the Winship Cancer Institute of Emory University)이자 DREAMM-2 연구 수석연구원(Principal Investigator)인 사가르 로니엘(Sagar Lonial) 박사는 “우리의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면역조절제 치료 이후 상당수의 환자들이 재발을 경험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반응을 보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오래 그 반응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요법이 계속해서 필요하다”며 “DREAMM-2의 최신 연구 결과들은 벨란타맙 마포도틴이 기존의 치료법을 사용함에도 질병이 계속 진행되는 환자들에게 중요한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계속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GSK는 DREAMM-2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벨란타맙 마포도틴의 생물학적 제제 신약 허가 심사 (Biologics License Application, BLA) 및 신약판매허가 신청서(Marketing Authorisation Application)를 제출했으며, 해당 신청서들은 각각 미국 FDA 및 유럽의약품청(EMA)에서 현재 검토가 진행중이다.
1차 이상 치료 후 질병이 불응 또는 재발한 환자를 대상으로 벨란타맙 마포도틴과 보테조밉+덱사메타손 (BorDex) 병용투여를 연구한 DREAMM-6 연구의 초기 결과(abstract #8502) 또한 ASCO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해당 연구에서, 벨란타맙 마포도틴 2.5mg/kg 용량을 3주마다 1회 단독 투여함과 동시에 보테조밉+덱사메타손(BorDex)를 병용투여한 전체 반응률은 78%(18명 중 14명)으로 확인되었으며, 50%는 매우 좋은 부분 관해, 28%는 부분 관해에 도달했다(95% CI, 52.4–93.6). 임상적 혜택을 얻은 환자의 비중(최소 반응 또는 그 이상)은 83%였다(95% CI 58.6–96.4). 반응지속기간의 중앙값은 치료 후 중앙값인 18.2주 시점에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
3등급 이상의 이상 사례로는 각막병증(MECs)(56%)과 혈소판감소증(61%)이 포함되었다. 4등급 각막병증(MECs)의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후스 부사장은 이어, “다발골수종 초기 환자에게 벨란타맙 마포도틴 병용 요법의 잠재력을 시사하는 DREAMM-6의 초기 결과가 고무적으로 나타났다”며 “곧 전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DREAMM-2 연구에 대하여
DREAMM-2 연구는 벨란타맙마포도틴을 연구한 공개라벨임상시험이다. 참여 환자들은 표준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질환이 악화된 진행성다발골수종 환자들로, 벨란타맙마포도틴용 량 2.5mg/kg 또는 3.4mg/kg 치료군으로 무작위 배정되어 3주마다 치료를 받았다. 전체적으로 DREAMM-2 연구에는 인간을 대상으로 벨란타맙마포도틴을 최초로 연구한 임상시험인 DREAMM-1 연구에 참여했던 환자들보다 다발골수종이 더 진행되고, 예후 및 신체상태가 더 악화됐으며, 다수의 치료경험이 있는 환자들이 포함되었다.
DREAMM-6 연구에 대하여
DREAMM-6 연구는 벨란타맙마포도틴의 안전성, 내약성, 유효성을 연구한 공개라벨임상 1/2상 연구로, 1차 이상 치료를 받고 재발 또는 불응한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을 레날리도미드+덱사메타손과 병용(A군) 또는 보테조밉+덱사메타손과의 병용(B군) 투여를 평가했다. 임상의 첫 번째 부분은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과 레날리도미드+덱사메타손또는보테조밉+덱사메타손 병용 투여에서 최대 3개의 용량수준과 2개의 투약일정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는 용량증량시험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선택된 용량수준 및 투약일정으로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과 레날리도미드+덱사메타손 또는 보테조밉+덱사메타손 병용요법의 안전성과 예비적 임상적 활성도를 추가적으로 평가한다.
다발골수종
다발골수종은 미국에서 세 번째로 흔한 혈액암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완치는 어려운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다발골수종은 현재 출시되어있는 치료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B세포성숙화항원 (BCMA)
BCMA의 정상적인 기능은 알려진 두 개의 리간드인 BAFF(B-cell activating factor)와 APRIL(a proliferation-inducing ligand)에서 나오는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혈장세포 생존을 촉진하는 것이다. 이 전달경로는 골수종세포 성장 및 생존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CMA 발현은 세포발달의 후기단계에서 B 세포로 한정된다. BCMA는 골수종환자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발현되며, BCMA 세포막의 발현은 골수종세포주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된다.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에 대한 DREAMM 임상시험프로그램
벨란타맙마포도틴은 비절단성링커(linker)를 통해 세포독성제오리스타틴 F(auristatin F)에 접합되어 있는 인간화항-B세포성숙화항원(BCMA) 단클론항체로 이루어진 항체-약물접합체다. 약물링커기술은 시애틀제네틱스(Seattle Genetics)에서라이센스를 받았으며 단클론항체는 바이오와(BioWa)에서 라이센스받은 기술을 사용해 생산된다.
임상시험명칭 | GSK ID/NCT ID | 진행상황 | 설계 |
DREAMM-1 | 117159/ NCT02064387 | 완료 | 재발성/불응성다발골수종및 BCMA를 발현하는 다른 고도혈액암 환자에서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의 안전성, 약동학, 약력학, 면역원성 및 임상활성도를 조사하기 위한 공개라벨 1상연구 |
DREAMM-2 | 205678/ NCT03525678 | 진행중,환자모집 마감 | 프로테아좀억제제 및 면역조절제에 반응하지 않으며 기존항-CD38 항체치료에 실패한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 2개 용량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한 2상연구 |
DREAMM-3 | 207495/ NCT04162210 | 환자모집중 |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포말리도미드+저용량덱사메타손(Pom/Dex) 대비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공개라벨, 무작위배정 3상연구 |
DREAMM-4 | 205207/ NCT03848845 | 환자모집중 |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을 펨브롤리주맙과 병용투여시 안전성, 임상활성도를 평가하는 단일군 공개라벨 1/2상연구 |
DREAMM-5 | 208887/ NCT04126200 | 환자모집중 | 재발성/불응성다발골수종환자에서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을신약항암제와병용요법으로하는무작위, 공개라벨1/2상플랫폼연구 |
DREAMM-6 | 207497/ NCT03544281 | 환자모집중 |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을 레날리도미드+덱사메타손과병용(A군) 또는 보테조밉+덱사메타손과병용(B군) 투여시 안전성, 내약성, 임상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배정 임상1/2상 연구 |
DREAMM-7 | 207503/ NCT04246047 | 환자모집중 |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보테조밉+덱사메타손 요법을 다라투무맙+보테조밉+덱사메타손 요법과 비교하는 3상연구 |
DREAMM-8 | 207499 | 예정 |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포말리도미드+보테조밉+저용량덱사메타손요법(PVd)과 비교해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포말리도미드+저용량 덱사메타손 병용투여(BPd)의 유효성, 안전성을 평가하는 다기관 공개라벨무작위 3상임상 |
DREAMM-9 | 209664/ NCT04091126 | 환자모집중 | 이식불가 다발골수종 신환자에서 보테조밉+레날리도미드+저용량덱사메타손병용(VRd)과 비교해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VRd 요법에 대한 3상연구 |
DREAMM-10 | 207500 | 예정 |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과신규제제의병용요법을표준치료법(SoC)과비교평가하는임상3상연구 |
ISS / GSK 공동후원연구 | 209418/ NCT03715478 | 환자모집중 | 레날리도미드와 프로테아좀억제제를 포함해 2가지 이상의 기존 치료법을 받은 적 있는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벨란타맙마포도틴(GSK2857916)+포말리도미드+저용량 덱사메타손 요법의 용량점증 및 용량확대 임상 1/2상연구 |
GSK 항암제에 대하여
GSK는 혁신적인 의약품을 통해 환자생존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GSK의 파이프라인은 면역-종양학, 세포치료제, 암후생유전학,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GSK의 목표는 단독 또는 병용요법으로 소분자, 항체, 항체약물접합체 (ADCs), 세포 등을 활용하는 다양한 개발단계의약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새로운 치료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GSK에대하여
GSK (글락소스미스클라인)는 연구개발중심의 세계적인 제약 및 헬스케어기업으로서 인류가 보다 활기차고 건강하게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인류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업과 관련된 정보는 kr.gsk.com또는 www.gsk.com에서 볼 수 있다.
References
1 Estimated number of incident cases worldwide, both sexes, all ages.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gco.iarc.fr/ Published 2020. Accessed May 2020.
2 Nooka A, Kastritis E, Dimopoulos M, Lonial S. Treatment options for relapsed and refractory multiple myeloma. Blood. 2015;125(20):3085-3099. doi:10.1182/blood-2014-11-568923.
3 Trudel S, Lendvai N, Popat R, et al. Antibody–drug conjugate, GSK2857916, in relapsed/refractory multiple myeloma: an update on safety and efficacy from dose expansion phase I study. Blood Cancer Journal. 2019;9(4). doi:10.1038/s41408-019-0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