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환자인 경우 올바른 양압기 치료가 중요
코로나19가 진정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한자리로 줄어들었던 감염자는 다시 30명대로 늘고 있고, 세계적으로도 환자가 600만명을 넘어섰고, 사망자도 40만명을 바라보고 있다. 사망률을 높인 원인은 65세 이상, 만성 폐질환, 중증 천식, 수면무호흡증, 심각한 심혈관 질환, 체질량지수(BMI)가 40 이상인 중증 비만, 당뇨병, 만성 신장 질환, 간 질환 등이다. CDC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가 있는 환자의 사망률은 6~10.5% 이며, 건강한 환자의 경우 0.9% 였다.
이에 코로나에 영향을 주는 기저질환 중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핀란드 투르쿠 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이 코로나19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팀은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 중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만성 염증, 저산소 혈증, 산화 스트레스, 및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 (RAAS)이 안지오텐신-전환 효소 2 (ACE2)에 영향을 미쳐 코로나19의 위험 증가 된다 하였다. ACE2는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 2 (SARS-CoV-2)가 숙주 세포로 진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용체이다. 수면무호흡은 RAAS 및 ACE2 발현의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그 외 수면무호흡증이 직접적으로 산소포화도를 떨어뜨려 위험도를 더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잠을 자도 깊은 잠 3단계 잠이 15% 이상 되어야 면역력이 유지 된다”며 “코로나 바이러스가 점차 확산되면서 예방법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데 생체리듬이 깨져 체내기능이 저하되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약화돼 바이러스에 더욱 취약한 만큼 평소 건강한 수면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장애가 의심된다면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원장은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된다면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고 양압기 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특히, 60세 이상 이면서 중등도(시간당 15~30회)에서 중증의 무호흡(시간당 30회 이상)이 있다면 꼭 빠른 치료를 해야 한다. 심장 사망의 위험이 무척 높기 때문이다. 당뇨·고혈압·흡연·콜레스테롤지수가 높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라면 수면질환을 더욱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수면무호흡증 환자 코로나19 예방 수칙 ]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는 코로나19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표준 지침 외에도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들은 몇 가지 추가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한다.
1. 충분한 수면을 취하십시오
연구에 따르면 수면은 면역 체계를 강하게 유지하고 질병과 싸우는데 중요하다. 적절한 수면은 또한 몸이 질병에서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이 아니라 양질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올바른 양압기 치료
수면무호흡증이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에 양압기치료를 통한 효과적인 증상 관리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건강을 유지하고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적극적인 양압기치료가 필요하다. 실제로 National Medicine of Medicine 의 연구에 따르면 양압기 치료를 하면 실제로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의 영향을 받는 일부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3. 좋은 위생습관
양압기 사용자는 코, 입 또는 눈을 통해 병원체가 몸에 들어가지 않도록 얼굴을 만지지 않아야 한다. 집안에서 손을 올바르게 씻고 자주 접촉하는 표면을 소독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계 보건기구 (WHO) 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구부러진 팔꿈치나 조직으로 입과 코를 가리는 것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이 호흡기 위생을 실천하도록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