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6.6℃
  • 맑음강릉 16.9℃
  • 구름조금서울 10.0℃
  • 맑음대전 7.9℃
  • 흐림대구 10.4℃
  • 맑음울산 9.5℃
  • 맑음광주 10.5℃
  • 맑음부산 11.8℃
  • 맑음고창 10.2℃
  • 맑음제주 12.5℃
  • 구름많음강화 10.4℃
  • 맑음보은 4.7℃
  • 맑음금산 5.0℃
  • 맑음강진군 6.3℃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9.1℃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보건산업진흥원-아스트라제네카, 제6회 항암연구 지원 프로그램에 오픈 이노베이션 연구 계획안 4건 채택

폐암, 위암, 췌장암, 유방암 등 다양한 암종 치료를 목표로 하는 전임상 단계 연구과제에 대하여 
연구 지원금, 연구 화합물 및 해외 연구자 교류 기회 제공키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과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사장 김상표)는 오픈 이노베이션 확산과 항암연구 분야의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로 6회째 진행하고 있는 ‘항암연구 지원 프로그램’에 올해도 4건의 오픈 이노베이션 연구 계획안을 채택해 후원키로 했다고 밝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아스트라제네카는 국내 사망원인 1위로 꼽히는 암  극복을 목표로 2014년 공동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매년 4건씩 국내 연구진의 항암분야 연구과제를 선정해 지원함으로써 정부의 주요 과제인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에 채택된 4팀의 연구진은 연구지원금과 함께 아스트라제네카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의 일환으로 제공되는 연구 화합물 일부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글로벌 아스트라제네카 R&D 조직 및 파트너 연구자들과의 네트워킹 기회도 제공받을 수 있다. 

올해 선정된 연구과제의 책임자는 서울대학교병원 김학재 교수, 삼성서울병원 홍정용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이상협 교수, 연세대학교병원 김민환 교수 및 연구진이며, 각각 폐암, 위암, 췌장암, 유방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전임상 연구 계획을 제출했다. 채택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 김학재(서울대학교병원): KEAP1 / NFE2L2 유전적 변이로 폐암의 방사선 저항 극복을 위한 DNA-PK(DNA-dependent protein kinase) 타겟팅에 대한 전임상 연구 (Targeting DNA-PK to overcome radio-resistance of lung cancers with KEAP1/NFE2L2 mutations)
- 홍정용(삼성서울병원): DNA 손상 복구 기전 결핍이 있는 전이성 위암 환자의 종합적인 분자 특성(molecular characterization)에 대한 전임상 연구 (Comprehensive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etastatic GC patients with DNA damage repair deficiency)
- 이상협(서울대학교병원): 환자 유래(patient-derived) 췌장암 오가노이드 모델을 이용한 난치성 췌장암에 대한 강력한 항암제 후보의 치료 효과 예측 (Predicting therapeutic efficacy of potent anticancer drug candidates for refractory pancreatic cancer using patient-derived pancreatic cancer organoid model)
- 김민환(연세대학교병원): 약물 저항을 억제하기 위한 유방암 lineage plasticity 타겟팅에 대한 전임상 연구 (Targeting breast cancer lineage plasticity to suppress drug resistance)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관계자는 “한국인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암종의 연구과제를 적극 채택하여 궁극적으로 국내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되는 연구성과들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 진행된 7개의 연구 성과는 유럽임상종양학회(ESMO) 및 미국암연구학회(AACR) 등 유수의 해외 학회에 포스터 발표로 채택되었고, 또 일부 연구는 비임상 연구 결과가 임상 연구까지 확장되는 등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상표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대표이사 사장은 “혁신은 협력을 통해 비로소 이룰 수 있다는 아스트라제네카의 신념이며, 특히 연구 지원의 기회를 찾기 어려운 전임상 단계의 기초연구들을 지속적으로 발굴 및 후원함으로써 중요한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으리라 믿는다”며, “아스트라제네카는 앞으로도 한국 사회의 신뢰받는 파트너로서 산‧학‧연이 함께 협력하여 더 나은 환자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의료 생태계를 만들어 가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하여

1980년 아스트라가 합작회사 형태로 국내 제약시장에 진출한 이래, 1992년과 1997년에 각각 한국아스트라와 한국제네카가 설립됐고, 이후 1998년에 아스트라와 제네카 본사가 합병되면서 1999년 아스트라제네카의 한국 법인인 한국아스트라제네카가 공식 출범했다. 현재 전국 370여 명의 임직원이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 벤처, 의과대학 등과 다양한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의학 연구와 제약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www.astrazeneca.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통계청. 2017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Page7. 2018.09.19 (available at: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bSeq=&aSeq=37071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0, accessed on Jul 2019)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