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8.4℃
  • 구름조금강릉 19.8℃
  • 구름조금서울 10.7℃
  • 맑음대전 10.0℃
  • 구름많음대구 11.7℃
  • 맑음울산 12.0℃
  • 맑음광주 10.6℃
  • 맑음부산 13.5℃
  • 맑음고창 13.6℃
  • 맑음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12.6℃
  • 맑음보은 6.1℃
  • 맑음금산 7.3℃
  • 맑음강진군 8.3℃
  • 맑음경주시 9.4℃
  • 맑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아시아 태평양 다발골수종 에듀케이션 아카데미 2019’ 개최

7월 19일-20일,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

- 아시아 태평양 의료 전문가와 세계적인 석학이 함께 다발골수종 환자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의학적 지견과 다양한 치료 사례 나눠
- 암젠의 디지털 헬스케어 리딩 전략에 기반해 최첨단 홀로그램 기술 구현으로 한국, 대만, 호주 3개국이 동시 소통해…지역적 한계 없이 모든 다발골수종 환자군에서 최적화된 치료법에 대한 다양하고 생생한 토론 이어져



암젠코리아(대표: 노상경)는 국내외 다발골수종 전문 의료진을 대상으로 다발골수종에 대한 최신 의학적 지견과 글로벌 치료 트렌드를 공유하는 ‘아시아 태평양 다발골수종 에듀케이션 아카데미(Asia-Pacific Multiple myeloma EducaTion Academy, META) 2019’를 7월 19일, 20일 양일간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우수 치료 사례 공유를 통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다발골수종 관리 개선’이라는 주제로, 환자 맞춤형 치료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구체적인 치료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다발골수종의 효과적인 질병 관리 전략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다발골수종 치료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는 ‘빠른 진단’과 합병증 관리, 재발의 주요 원인인 ‘미세잔존질환(Minimal Residual Disease, MRD)’ 반응 감소 등 주요 치료 목표와 관련된 내용도 활발하게 공유됐다. 



행사 첫날인 19일에는 국내 다발골수종 전문가들이 참석해 한국의 치료 현황을 되짚어보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연자로 참여한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김기현 교수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혈액내과 김진석 교수가 차례로 국내 다발골수종 진단 한계점과 치료 패러다임 변화 과정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암젠 아태지역 메디컬 디렉터인 줄리아 리(Julia Li) 박사가 새로운 다발골수종 치료 옵션에 대한 전망을 설명했다.

다음날 한국을 비롯해 태국, 싱가포르, 호주 등 아시아 태평양 각지의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진행된 프로그램 중 일부 세션에서는 최첨단 홀로그램 기술이 사용돼 눈길을 끌었다. 한국에서 강연을 진행한 세계적인 석학 멜레티오스 디모풀러스(Meletios Dimopoulos) 교수와 조셉 미카엘(Joseph Mikhael) 교수 그리고 올라 랜드그렌(Ola Landgren) 교수의 모습이 홀로그램으로 구현돼 대만, 호주에 생생하게 송출됐다. 

이들은 ‘다발골수종 환자를 위한 치료의 최적화 전략’에 대한 토론 세션에서 다발골수종 치료에 있어 ‘1차 재발(first relapse) 환자군’, ‘2차 이후 재발(late relapse) 환자군’, 그리고 ‘고위험(high risk) 환자군’의 효과적인 치료 전략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 태평양 참석자들은 실제 치료 사례에 대한 다양한 실제 임상 경험을 전달하고 최적화된 치료법에 대한 논의를 나눴다. 특히, 홀로그램 기술을 통해 실현된 3개국 간 실시간 토론은 심포지엄의 참여도와 현장감을 크게 높였다.



이번 ‘아시아 태평양 다발골수종 에듀케이션 아카데미 2019’를 개최한 암젠 아시아태평양 의학부 총괄 부회장 빅토리아 엘리건트 박사는 “세계적으로 다발골수종 환자가 증가하는 데다 치료 옵션도 다양해지고 있어 각 환자별 특징을 활용한 맞춤 치료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때문에 환자 관리 및 우수한 치료 사례를 개선하기 위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생생한 목소리와 다양한 치료 사례들을 공유하는 자리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번 암젠의 다발골수종 메디컬 아카데미를 통해 한국 뿐 아니라 대만,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주요 국가 의료진이 최신 치료 지견과 까다로운 처방 케이스에 대해 다양하게 소통할 수 있어 매우 뜻 깊었다. 처음으로 홀로그램 기술을 활용한 심포지엄을 개최해 각 국가 의료진들이 한 자리에 모인 듯한 현장감을 느끼며 더욱 활발하게 토론을 이어갈 수 있어 의미가 컸다”고 말했다.

암젠코리아 노상경 대표는 “암젠의 아시아 태평양 다발골수종 에듀케이션 아카데미를 통해 진단과 치료가 까다로운 다발골수종 치료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더불어 세계적인 석학들이 모여 다발골수종 치료 패러다임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특히 홀로그램이라는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통해 세계 의료 전문가들이 공간, 시간적 제한 없이 생생한 토론을 이어갈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암젠은 다발골수종 치료 연구를 리딩하는 기업으로서 앞으로도 국내 및 해외 의료 전문가들이 전세계 최신 의학 정보를 쉽고 빠르게 나눌 수 있도록 디지털 헬스케어 실용화를 선도해 나가는 데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바이오테크놀로지 리딩 기업 암젠은 2015년 11월 다발골수종 치료제 키프롤리스™ (성분명: 카르필조밉)에 대한 국내 허가*를 받았으며, 2018년 2월 급여 허가를 획득했다.  키프롤리스™는 암세포에서 프로테아좀을 억제해 세포 내 이상 단백질의 과도한 축적을 유도해 암세포의 사멸을 유발하는 프로테아좀 억제제로, 이전에 한 가지 이상의 치료를 받은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의 치료에서 레날리도마이드+덱사메타손과 병용하는 3제 병용요법(KRd) 또는 덱사메타손과 병용하는 2제 병용요법(Kd)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다.2  키프롤리스™는 대규모 글로벌 3상 임상시험인 ASPIRE 임상 결과 키프롤리스+레날리도마이드+덱사메타손(KRd) 요법군에서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 26.3개월을 보였다.  아울러 키프롤리스+덱사메타손(Kd) 요법의 임상적 유효성을 평가한 ENDEAVOR 임상시험을 통해 18.7개월의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을 보이는 등 다발골수종 치료에서 유의미한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한 다양한 임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 키프롤리스는 2015년 11월 희귀의약품으로서 시판 허가를 받았으며, 이후 2017년 3월 희귀의약품 지정 해제와 함께 신규 품목 허가를 받았다.




암젠(Amgen)에 대하여

암젠은 혁신 치료제를 발견, 개발, 제작 및 공급함으로써 심각한 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을 위해 생물학적 가능성을 개발하는데 헌신하고 있다. 이러한 헌신은 질병의 복잡성을 타파하고 인간 생물학의 기초를 이해하기 위해 진보된 인간 유전학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암젠은 많은 의학적 미충족 니즈가 있는 분야에 집중하며 암젠의 전문성을 발휘하여 치료 결과를 개선하고 환자들의 삶을 극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1980년부터 바이오기술의 선구자로 자리잡은 암젠은 독립적인 바이오테크 회사들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였으며 전 세계 수백 만 명의 환자들과 만나고 파격적인 가능성을 지닌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www.amgen.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암젠코리아(Amgen Korea)에 대하여

암젠은 골질환, 심혈관질환, 혈액종양/암, 신장질환, 염증질환, 뇌과학, 바이오시밀러 치료제 등을 포함하는 자사의 임상 파이프라인을 발전시키고 중증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는 국내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제를 공급하기 위해 2015년 11월 암젠코리아를 설립하였다. 앞으로도 암젠코리아는 생명공학 분야의 일원으로, 다양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여 국내 제약 산업 발전에 기여할 예정이다.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 개정고시 전문(2018년 2월 5일 고시). 2018-02-01
2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의약품상세정보>키프롤리스주30밀리그램, 60밀리그램(카르필조밉) (accessed on 2019-07-16)
3  Moreau P, Richardson PG, Cavo M, et al. Proteasome Inhibitors in Multiple Myeloma: 10 Years Later. Blood. 2012; 120(5):947-959.
4  Kyprolis® [package insert]. Thousand Oaks, CA: Amgen; 2015.
5  Stewart KA, Rajkumar VS, Dimopoulos MA, et al., Carfilzomib, Lenalidomide, and Dexamethasone for Relapsed Multiple Myeloma. N Engl J Med. 2015; 372:142-152.
6  Meletios A Dimopoulos, et al., Carfilzomib and dexamethasone versus bortezomib and dexamethasone for patients with relapsed or refractory multiple myeloma (ENDEAVOR): a randomised, phase 3, open-label, multicentre study. Lancet Oncol 2016; 17: 27–38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