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핏으로 수술한다면 정품 인증서 꼭 확인하세요” 애니메디솔루션(대표 김국배)의 맞춤형 코 수술 솔루션 ‘이노핏’이 정품 인증서 발행을 시작한다고 2월 16일 밝혔다. 코 수술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의 얼굴 구조를 잘 파악해 안전한 수술을 하는 것이다. 보형물 역시 신중하게 선택해야 재수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노핏’은 자체 제작한 가상성형 소프트웨어를 통해 환자의 얼굴 CT 데이터를 분석하고, 코의 높이·폭·길이·곡면·비율 등을 모두 고려해 개인 맞춤형으로 제작된다. 가상성형 소프트웨어로 의료진과 함께 화면을 보며 수술 계획을 논의할 수 있고, 수술 후 모습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인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만큼 보형물이 들뜸 없이 밀착되어 구축 현상이 일어날 위험이 작다. 애니메디솔루션 관계자는 “이처럼 ‘이노핏’의 안정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소비자와의 신뢰도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정품 인증서를 제공하게 되었다”며 “이노핏으로 수술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정품 인증서를 확인하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참고] 애니메디솔루션 소개 애니메디솔루션은 3D 프린팅 및 AI 기술을 활용해 환자 맞춤형 수술 솔루션을 개발·서비스하는
-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손석호 교수, 만35세로 국내 최연소 프록터 선정 서울대병원은 흉부외과 손석호 교수가 좌심실 보조장치인 HeartMate3 삽입 수술의 프록터(proctor)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6번째 프록터이며 최연소다. 프록터의 주도로 향후 HeartMate3 삽입 수술이 확대되면 심장이식이 필요한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 더욱 안전한 옵션이 주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프록터는 신의료기술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해서 다른 의사들에게 환자 상태에 따른 수술 방법이나 적응증 등 수술과 관련된 사항들을 교육, 관리, 감독하는 전문가를 일컫는다. 선정이 되기 위해서는 해당 의료기술을 이용하여 충분한 수술 경험이 필수적이다. 손석호 교수는 애보트사의 최신 장비 HeartMate3를 활용한 좌심실 보조장치 삽입수술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아 프록터로 선정됐다. 작년 7월 국내에 도입된 HeartMate3는 좌심실로 들어온 혈액을 심장 대신 몸 구석구석에 공급하는 3세대 좌심실 보조장치다. 기존 2세대보다 크기가 작고 합병증을 최소화하여 수술의 안전성이 높다. 좌심실 보조장치 삽입 수술은 기증자 부족이나 이식 부적응증 등으로 심장이식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중간
한국 지난 20년 동안 1차의료 우울증 치료 소멸. 코로나19 팬데믹 후 한국에서 우울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2020년 OECD 조사 결과 한국의 우울증 유병률은 36.8%로 1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한국의 자살률은 지난 15년간 OECD 1위이다. 지난 4년 동안 자살예방대책 예산이 4배 증가하였으나 자살률은 전혀 줄지 않았다. 그 이유는 1차 의료의 우울증 치료 소멸에 있다. 우울증은 자살의 가장 중요하고 흔한 원인이다. 따라서, 우울증이 증가하면 자살률이 증가하고 우울증이 감소하면 자살률도 감소한다. 홍콩의 Siu Wa Tang 정신과교수는 “환자들은 의사에게 두통이 있거나 몸에 통증이 있거나 소화기계의 불편함, 가슴 부위의 불편함 등을 호소한다. 이는 우울증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 대부분”이라며, ”이러한 환자들은 겪지 않아도 될 수술을 하고 불필요한 처방을 받는 등 돈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의사가 환자를 우울증이라고 진단할 수 있고 SSRI 항우울제를 처방해 준다면 환자는 시간과 돈 모두를 절약할 수 있고 무엇보다 고통으로부터 빠르게 벗어날 수 있다“라고 강조하였다. 지난 20년 동안 한국에서 95% 이상의 대부분 의사들은 SSRI 항우울제
생활폐기물로 처리 시 안전성에 의문...세계 보건 전문가들도 사람 및 환경 위해 철저한 처리 강조 늘어나는 의료폐기물 대비해 시설 확충 등 만전 기한 업계의 의견 청취 없이 결정돼 유감 최근 정부가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검사·치료체계 전환과 함께 ‘코로나19 폐기물 분류체계’를 변경한 것과 관련해 폐기물 처리 업계가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자 지난 1월 28일 중앙사고수습본부는 검사·치료체계를 전환하고, 오는 2월 말까지 생활치료센터와 임시생활시설 확진자에게서 나온 격리의료폐기물을 생활폐기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기존에 의료폐기물 전용 소각장에서 소각하던 코로나 확진자 발생 폐기물을 앞으로는 일반 가정에서 배출하는 폐기물과 함께 처리한다는 뜻이다. 이에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이사장 최영식, 이하 공제조합)은 코로나19 폐기물을 생활폐기물로 처리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입장을 밝혔다. 공제조합은 “코로나19 확진자에게서 발생한 폐기물을 생활폐기물로 처리할 경우 폐기물 처리의 정밀한 추적이 불가능하고, 당일 수거·운반·소각 처리되는 격리의료폐기물과 비교했을 때 안전성이 확보될지
- 서울성모병원 이진국 교수팀, 인종별 유병률 및 악화 위험 분석- 미국 및 국내 COPD 코호트 3,992명 대상 대규모 연구 - 아시아인, 비히스패닉계 백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비슷한 유병률 - 악화 위험은 아시아인 48.4%로 높고, 미국인 22~28.2% - 전 인종 모두 흡입 스테로이드 치료하면 악화 위험 유의하게 감소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호흡기내과 이진국 교수(교신저자), 조용숙 교수(제1저자) 연구팀이 진단 및 치료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천식-만성폐쇄성 폐질환 중복(Asthma-COPD overlap, ACO) 환자군을 대상으로 동일한 진단 기준을 적용한 결과, 인종과 상관없이 비슷한 유병률을 보이며, ACO 환자군은 COPD 단독 환자군에 비해 높은 악화 위험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젊었을 때 천식이 있던 환자가 흡연을 지속하게 되면 만성폐쇄성폐질환이 발병하게 된다. 이 경우 환자는 두 가지 질환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게 되며, 이를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중복(Asthma COPD overlap – ACO)이라고 지칭한다. 이진국 교수팀은 과거 연구를 통해 ACO 환자군에서 흡입스테로이드의 사용이 악화 위험을 줄여주는 것으로
3D 프린팅 기반의 환자 맞춤형 보형물로 코 성형수술의 패러다임 전환 주도 환자 맞춤형 수술 솔루션 전문기업 애니메디솔루션(대표 김국배)의 코 수술 솔루션 ‘이노핏’이 세계적인 의학 및 과학 서적 출판사인 Springer의 <State of the Art Rhinoplasty Techniques>: Perspectives from Korean Masters 1st ed. 2022 Edition(최신 코 성형 수술법: ‘한국 마스터의 관점’ 2022년판)에 소개되었다고 밝혔다. 한국의 코 성형 전문가들이 모여 함께 집필한 이 책은 주로 코 성형수술을 위한 최신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동양인 코 성형에서 특히 중요한 코의 해부학적 측면과 미용 코 성형, 기능 코 성형의 주요 수술 방법 및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들을 담았다. 애니메디솔루션은 이 책의 편집자 및 대표 저자인 JW정원성형외과 서만군 원장의 ‘Nasal Dorsal Augmentation Using Implant and Autogenous Tissues(보형물과 자가 조직을 활용한 코 성형)’이라는 챕터를 통해 맞춤형 코 수술 솔루션 ‘이노핏’을 소개했다. 수술 중 수동으로 실리콘을 조
전 직원 대상 임원진의 경력개발 노하우와 외부전문가의 특별 강연에 참여할 수 있는 교육세션 열어, 전 세션 365일 다시보기로 접근 편의성 높여현재 커리어를 진단하고 미래 경력개발을 브랜딩 하는 워크샵 특별강좌 마련 한국애브비(대표이사 강소영)는 전 직원 커리어 성장을 위한 애브비만의 차별화된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 LDP(Learn Develop Perform) Week을 2월 15일부터 19일까지(한국 시간 기준) 진행한다고 밝혔다. LDP는 글로벌 애브비 직원 모두가 참여하는 오픈형 교육 플랫폼으로, 2월 중 한 주를 LDP Week으로 정해 20여개의 온라인 라이브 강연을 개최한다. 직원들은 각 분야의 애브비 글로벌 리더들에게 경력개발 노하우를 공유 받고, 외부 전분가의 특별한 강의를 들으며 현장 질의응답을 통해 더욱 생생한 배움을 얻을 수 있다. LDP Week 동안 진행된 모든 강의는 향후 직원들이 원할 때 어디서든 다시 볼 수 있어 시공간에 대한 제약을 없앴다. 올 2022년은 특별 강좌로 현재의 커리어를 진단해보고 미래 경력 개발을 위한 디자인과 브랜딩을 해볼 수 있는 Navigating Your Career Workshop 세션을 준비했다. 또
대한뇌전증학회는 2월 14일 "세계 뇌전증의 날"을 기념하여 18일까지를 기념주간으로 지정하고 뇌전증 인식개선 관련행사를 진행한다. ‘세계 뇌전증의 날’은 뇌전증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알리고 부정적 인식을 개선시킴으로 뇌전증 환자의 권익신장을 도모하고자 지난 2015년 국제뇌전증협회(IBE)와 국제뇌전증퇴치연맹(ILAE)가 매년 2월 두번째 월요일로 제정한 기념일로서, 한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130여개 국가에서 공동으로 ‘세계 뇌전증의 날 기념식’ 행사를 개최한다. "하나되는 행복한 미래를 위하여"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대한뇌전증학회는 다양한 미디어를 통하여 뇌전증에 대한 사회의 인식을 개선하고, 뇌전증 환자들이 각종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뇌전증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뇌전증 무엇이 궁금하십니까? 2022"를 제작하였으며, 전국의 70여개 병원에 배포하였다. 또한 대한뇌전증학회 홈페이지 (http://www.kes.or.kr/) 및 페이스북 공식 페이지(http://www.facebook.com/kor.epilepsy/)에서 “세계 뇌전증의 날 기념” 홍보동영상과 함께 48개의 교육 컨텐츠 진단 및 증상, 약물 및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