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4.6℃
  • 맑음강릉 7.3℃
  • 맑음서울 8.4℃
  • 맑음대전 6.2℃
  • 맑음대구 8.0℃
  • 맑음울산 7.3℃
  • 맑음광주 7.1℃
  • 맑음부산 10.0℃
  • 맑음고창 3.1℃
  • 맑음제주 9.8℃
  • 맑음강화 5.1℃
  • 맑음보은 2.4℃
  • 맑음금산 3.0℃
  • 맑음강진군 5.2℃
  • 맑음경주시 5.7℃
  • 맑음거제 9.3℃
기상청 제공

THE CULTURE

[젊은 사진가 기획전] Fantasmagoría : 판타스마고리아

7월 16일 ∼ 8월 13일 한미사진미술관 제 3전시실

Fantasmagoría : 판타스마고리아
젊은 사진가 기획전 한성필


Inside out, Memories and Traces, Chromogenic print, 2012 ⓒ한성필


전시안내

전시명   젊은 사진가 기획전 한성필 Fantasmagoría: 판타스마고리아

전시기간 2016년 7월 16일 ~ 8월 13일

전시장소 한미사진미술관 20층 제 3전시실

오프닝   2016년 7월 16일(토) 오후 5시 (한미사진미술관 20층 라운지)



관람안내

관람시간 평일 10:00~19:00 / 토요일, 공휴일 11:00~18:30
           매주    일요일 휴관

관람료  성인일반 6,000원 / 학생(초,중,고) 5,000원
         사진관련 전공 학생, 송파구민, 10인 이상 단체 1,000원 할인
         미취학아동, 65세 이상, 장애우, 국가유공자 무료

도슨트  10인 이상 단체관람 예약 시 원하는 일시에 가능

문의    02·418·1315



■ 한미사진미술관 2016 젊은 사진가 기획전으로 한성필 개인전 개최 ■
■ 도시의 외피를 강조해온 우리에게 그 뒤를(속을) 드러낸 한성필의 신작! ■


Tandem Squence, Changgyunggung Palace, Façade Project, Archival pigmentprint, 2012 ⓒ한성필

한국사진 다음 세대의 지속적인 후원자 및 중추적 조력자가 되자는 취지 아래 한미사진미술관은 2015년 초부터 30~40대 한국작가들의 포트폴리오를 공개적으로 접수 받고 검토해왔다. 

이 중 역량 있는 작가들의 전시를 지난해 두 차례 기획했고, 올해는 금혜원, 박형렬, 윤상혁 세 작가의 단체전 CONCRETOPIA 에 이어 한성필의 개인전 Fantasmagoría : 판타스마고리아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올해 젊은 사진가 기획전의 주제인 도시를 염두에 두고 전시작을 선별했다. 크고 작은 형태로 도시를 메운 균열들에 주목한 사진들이 중심을 이룬다. 이미 많은 작가들이 집적과 고도화로 진화한 도시를 테마로 잡고, 끊임 없이 재연되는 난개발과 흉물스러운 그 속살을 가감 없이 카메라로 포착했다.


Overlapping, Facade Project, Archival pigment print ©한성필
특별히 전시 테마에 맞춰 제작된 한성필의 신작들은 도시개발계획의 현재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데, 기존 파사드 연작에서 보여준 한성필만의 감성을 여전히 유지하면서도 그 파라 만장한 도시의 속살을 가감 없이 드러낸다. 따라서 동시대 많은 작가들이 거론하는 화두라 자칫 상투적인 이미지로 흐를 수 있는 주제를 한성필은 어떤 변별점을 가지고 풀어냈는지 흥미롭게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신작과 더불어 한성필이라는 이름을 알린 파사드 연작 중 서울이라는 장소 특정성(site-specifity)를 드러냄과 동시에 개발이란 화두와도 이어질 수 있는 작업들을 선별했다.

사실 엄연히 따져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한성필의 파사드 작업은 도시를 피사체로 한 작업이라 할 수 없다. 도시의 변화를 다큐멘터리적 관점으로 풀어낸 작업도 아니고 그렇다고 1990년대 이후 미술과 접점을 추구하며 도시를 개념적으로 바라본 사진들과도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한성필의 작업은 현대도시와 필연적으로 관계된 개념 - 예를 들어 도시의 판타스마고리아적 성격 야누스의 얼굴로 비유되는 도시의 이중성을 파사드라는 표상에 의거하여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도시의 외관을 찍거나 그 모양에 관심이 있는 게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성질에 주목한다.


The Blue, Memoris and Traces, Chromogenic print, 2012 ©한성필
그 동안 도시의 외피라 할 수 있는 건축물들의 정면을 카메라에 담아온 한성필이 스스로 도시의 뒤편으로 눈을 돌려 이면을 들춰낸 점이 마치 반전 드라마를 보듯 흥미롭고 스릴 있다.


한성필 Han Sungpil

2004  런던 Kingston University, London 및 The Design Museum, London의 공동 프로그램 Curating Contemporary Design 석사 (MA) 과정 졸업

1999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개인전

2016  INNOCENCE, 민통선 내 연강 갤러리, 경기도 연천

2015  POLAR HEI,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2014 Ground Cloud - XVII Encuentros Abiertos, Festival de la Luz, 한국중남미문화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2013 Façade Project, PHOTOVISA Festival, 러시아 크라스노다르 
     Diplopia,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청담

2011 재인식의 순간, 국회도서관, 서울 
      Façade, 12à Bienal International de Fotografía de Córdoba, 코르도바, 스페인

2006 The Sea I Dreamt, 제16회 포토포 국제 사진 축제,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The Sea I dreamt, The Light contemporary Gallery, 런던, 영국

2005 My Sea, 독일문화원, 프랑크푸르트, 독일 
     Displaced Spaces- ‘Blue Jungle’, Selasar Sunaryo Art Space, 반둥, 인도네시아 

2004 The Sea I Dreamt : 제10회 ‘Houston Fotofest  2004’, 텍사스, 미국





주요 설치 작업 프로젝트

2016. 5  Peace Gate (연천 민통선내 연강갤러리)
2015. 5  Harmonious Havana (쿠바 하바나, 카피톨리오 광장)
2015. 3  Faction (파주 민통선내, 경기도)
2012. 6  Tandem Sequence (서울 창경궁 선인문)
2011. 9  Tandem Sequence (남한산성 행궁)
2011. 1  OPEN Water (18th Street Art Center, 산타모니카, 미국 캘리포니아)
2010. 9  Melting Space (고양문화재단 어울림 미술관, 일산)
2009. 7  How to Lie with SPACE, (공간 스페이스, 서울)




주요 작품소장

The National Museum of Fine Arts,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Kiyosato Museum of Photographic Arts, 야마나시, 일본 / Selasar Sunaryo Art Space, 반둥, 인도네시아 / Museum of New Mexico (Museum of Fine Arts), 뉴 맥시코-산타페, 미국 / The Photomedia Centre, 펜실바니아, 미국 / The Pushkin State Museum of Fine Arts (러시아 모스코바) / SPACE Group, 서울 / 국회도서관, 서울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서울시립미술관 / 서울대미술관 / 대구미술관 / 하나은행, 서울 / 공간 사옥, 서울 /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 / 서울대학교 미술관, 한국 / 아라리오 컬렉션, 천안 / 미국 대사관, 서울 / 프랑스 대사관, 서울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