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13.1℃
  • 구름조금강릉 13.2℃
  • 구름많음서울 14.8℃
  • 구름많음대전 15.5℃
  • 구름많음대구 14.9℃
  • 구름조금울산 10.4℃
  • 흐림광주 16.0℃
  • 구름많음부산 12.5℃
  • 구름많음고창 11.1℃
  • 구름많음제주 14.4℃
  • 구름많음강화 10.3℃
  • 구름조금보은 11.9℃
  • 구름많음금산 12.6℃
  • 구름많음강진군 11.7℃
  • 구름조금경주시 9.4℃
  • 구름많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ISSUE

앉아있는 시간 증가하는 대한민국... “규칙적인 신체활동으로 건강 지키세요”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김헌주, 이하 KHEPI)국민의 좌식행동 시간 증가에 관해 우려를 

표하고, 체활동의 중요성에 관한 국민 인식 제고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좌식행동은 앉아서 에너지를 거의 소모하지 않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업무나 학습 중 앉아 

있는 시간, TV를 시청하거나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시간 등을 포함한다.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의 하루 좌식행동 시간이 2018년 

8.3시간에서 20239.0시간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의 경우 하루 평균 11시간 이상 앉아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평일에 학습 이외의 목적으로 앉아 있는 시간이 2017년 

2.6시간에서 20233.4시간으로 크게 늘었다.

 

좌식행동은 근골격계 질환뿐만 아니라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과 암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20좌식행동 및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을 

배포했는데, 가이드라인에서는 성인의 경우 좌식행동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의 중강도 유산소 신체활동을 하거나, 최소 75분 이상의 고강도 유산소 

신체활동을 조합하여 실천할 것을 권장한다.

 

신체활동 강도심박수운동자각도(RPE), 그리고 대사당량(MET)세 가지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중강도 신체활동은 심박수 기준 최대심박수의 64-76%, 여유심박수의 

40-59%, 운동자각도 기준 5에서 6, 대사당량 기준 3에서 6 MET에 해당하며, 이는 대화가 

가능하고 땀이 나는 수준으로 골프, 댄스, 걷기, 자전거타기 등이 있다.

 

고강도 신체활동은 심박수 기준 최대심박수의 77-95%, 여유심박수 60-89%, 운동자각도 

기준 7에서 9, 대사당량 기준 6 MET 이상 해당하며, 이는 대화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숨이 차는 

수준으로 달리기, 줄넘기, 수영, 축구, 테니스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붙임1> 참조

 

KHEPI보건복지부와 함께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을 개발·배포하는 한편, WHO 

가이드라인의 한국어 번역본을 발간·배포했으며, 국민이 좌식행동은 줄이고 신체활동은 늘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생애주기별 실천 영상을 개발해 확산했다. <붙임2> 참조

 

서울시립대학교 하민성 교수는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하루 중 좌식행동 시간의 

비중이 높더라도, 신체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은 여전히 유효하다라며,

 

하루 30분 이상의 신체활동은 좌식행동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건강관리를 위해 

꾸준한 신체활동 실천을 권장한다라고 강조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김헌주 원장은 신체활동의 부족은 WHO에서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꼽을 

만큼 건강을 위협하는 중대한 요인이므로 생애주기별로 권장하는 신체활동을 실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우리 원은 최근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서를 새롭게 개발해 확산했다라며,

 

앞으로도 신체활동 증진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의 건강생활 실천을 위해 계속해서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