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3 (일)

  • 흐림동두천 0.2℃
  • 흐림강릉 12.9℃
  • 서울 1.4℃
  • 대전 3.2℃
  • 대구 12.4℃
  • 울산 12.4℃
  • 광주 4.1℃
  • 부산 13.1℃
  • 흐림고창 2.3℃
  • 제주 8.6℃
  • 흐림강화 0.5℃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3.1℃
  • 흐림강진군 ℃
  • 흐림경주시 13.5℃
  • 흐림거제 13.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키스칼리, 일관된 전체생존기간 개선 효과 확인

HR+/HER2- 전이성 유방암의 여러 아형(subtype)에서

 CDK4/6억제제 중 가장 긴 전체생존기간을 입증한 키스칼리, SABCS 2021에서 HR+/HER2- 전이성 유방암 주요 아형에서 일관적인 전체생존기간 개선 효과 발표1,  
내분비요법에 대한 내성 및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는 HER2 과발현 유형에서도 전체생존기간 유의미한 개선 확인(키스칼리 병용요법군 40.3개월, 대조군 29.4개월)1
키스칼리, 여러 아형, 전이 위치 및 횟수, 이전 치료, 내분비요법 병용, 치료 차수 및 폐경 여부에 관계없이 일관된 전체생존 혜택 확인한 유일한 CDK4/6 억제제1,2,



한국노바티스㈜(대표 유병재)는 진행성∙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키스칼리(성분명: 리보시클립)’가 HR+/HER2- 진행성∙전이성 유방암의 다양한 아형(subtype)에서 일관적인 전체생존기간(Overall Survival, OS) 개선 효과를 입증1했다고 12월 17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2월 7일부터 10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 미국 샌안토니오 유방암 학술대회(SABCS 2021)에서 발표됐다1

*12월 8일, 현지 시간 기준, late-breaking oral presentation 세션 

약 1,000개의 종양 샘플에 대한 추가 분석(ad hoc analysis) 결과, 유방암 주요 아형(Luminal A: n=542; Luminal B: n=278; HER2-enriched: n=147; Basal-like: n=30)에서 키스칼리와 내분비요법 병용요법이 내분비요법 단독요법 대비 일관적으로 유의미한 전체생존기간 개선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Luminal A: HR=0.75; 95% CI: 0.58-0.96; p=.021; Luminal B: HR=0.69; 95% CI: 0.50-0.95; p=.023; HER2-enriched: HR=0.60; 95% CI: 0.40-0.92; p=.018)1 이는 치료 예후가 비교적 양호한 아형에서뿐만 아니라 내분비요법에 내성을 유발하는 공격적인 아형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1.

HR+/HER2- 유방암에서 내분비요법에 대한 내성 및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는 HER2 과발현(HER2-enriched) 환자에서 키스칼리 병용요법군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edian Overall Survival, median OS)은 40.3개월(33.4~49.0개월)로, 내분비요법 단독군(29.4개월, 23.9~42.0개월) 대비 유의미한 개선을 확인했다1

키스칼리와 내분비요법 병용요법의 가장 긴 생존 혜택은 루미날 A(Luminal A) 환자군에서 나타났다1. 해당 환자군에서 키스칼리 병용요법군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68.0개월(61.5개월~NR)로, 내분비요법 단독군의 54.6개월(48.3~66.2개월) 보다 1년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1.

이 데이터는 2020년 미국 샌안토니오 유방암 학술대회(SABCS 2020)에서 발표되고 임상종양학회지(Journal of Clinical Oncology)에 게재된 키스칼리의 MONALEESA 임상 연구들의 바이오마커 분석을 바탕으로 한다,. 키스칼리는 이전 연구에서 진행성 유방암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고유 아형(intrinsic subtypes)에서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혜택을 입증한 바 있다7,8

키스칼리의 MONALEESA 임상에 참여했던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경훈 교수는 “이번 키스칼리 데이터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 중 하나는 전체생존기간 혜택이 내분비요법에 대한 내성을 유발하는 공격적인 유형뿐만 아니라 비교적 양호한 유형의 아형에서까지 일관되게 나타났다는 것”이라며, “특히, HER2 과발현 유형에서도 나타난 키스칼리의 전체생존기간 개선 효과는 키스칼리가 암세포의 성질을 변화시켜 일반적인 HR+/HER2- 유방암 아형에서 내분비 요법에 더 나은 반응을 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유방암의 루미날 A, 루미날 B, HER2 과발현, 기저형 등 네 가지 고유 아형에 따라 발생률, 생존율 및 치료에 대한 반응 측면에서 중요한 차이가 나타난다1. 이러한 유전적 아형의 구분을 통해 임상 지표와 병리학적 바이오마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환자의 상태를 더욱 자세하게 알 수 있다. 

한국노바티스 항암제 사업부 신수희 대표는 “이번 SABCS 2021에서 발표된 키스칼리의 일관적인 전체생존기간 데이터는 키스칼리만의 특별한 임상적 유용성을 다시 한 번 보여준다. 이는 향후 진행될 HR+/HER2- 전이성 유방암에서 키스칼리와 palbociclib의 첫 직접 비교(head-to-head) 임상 3상 연구인 HARMONIA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강화했다”며, “한국노바티스는 앞으로도 전이성 유방암 환자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생존 기간 연장과 삶의 질 평가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해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키스칼리®에 대하여

키스칼리는 CDK4/6 억제제로, 호르몬수용체 양성, 사람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 음성(HR+/HER2-)인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폐경 전, 폐경이행기, 또는 폐경 후 여성에서 1차 내분비요법으로서 아로마타제 억제제와 병용 ▲폐경 후 여성에서 1차 내분비요법 또는 내분비요법 후 질환이 진행된 경우 풀베스트란트와 병용 요법으로 지난 2019년 10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다.



키스칼리는 노바티스 생명의학연구소(Novartis Institutes for BioMedical Research, NIBR)가 아스텍스 파마슈티컬스(Astex Pharmaceuticals)와 연구협약을 통해 개발하였다. 



진행성·전이성 유방암과 노바티스

노바티스는 뛰어난 기술력과 협업, 그리고 환자 치료 혁신을 위한 열정을 무기로 유방암과 싸우고 있다. 임상연구에서 자주 배제되는 환자군을 연구에 포함시키고 질병 진행에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새로운 경로 또는 변이 파악, 그리고 환자의 삶의 질을 단순히 유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더 향상시켜주는 치료법 개발 등을 통해 대담한 연구개발 전략을 취하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그리고 지금도 역시 노바티스의 최우선순위는 진행성 유방암 진단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수명 연장에 효과적이라고 증명된 치료제 제공이다.





노바티스(Novartis)에 대하여

노바티스는 인류의 생명 연장과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의약품 혁신에 매진하는 세계적인 제약 기업이다. 업계를 선도하는 노바티스는 최첨단 과학기술과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사회와 환자가 필요로 하는 혁신적인 의약품 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매년 세계에서 R&D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는 기업 순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노바티스의 의약품으로 치료받는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약 10억여명에 달하며 최신 의약품에 대한 환자 접근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방안들을 도입하고자 하는 노바티스의 노력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전 세계 각지에서 140여개 국가 출신 125,000명의 노바티스 임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www.novarti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노바티스(Novartis Korea)에 대하여

세계적인 제약•바이오기업, 노바티스의 자회사인 한국노바티스(www.novartis.co.kr)는 계열사인 한국산도스를 포함해 약 580여 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한국노바티스는 지난 10년 간 한국에서만 약 200 여 건의 임상시험을 진행하여 국내 연구진과의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환우 및 가족 정서 지원 프로그램인 ‘치유(CHEER YOU)’, 환우의 사회 복귀 지원 프로그램 ‘이음’, 여성 암환자 지원 프로그램인 ‘가화맘사성’과 매년 전 직원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지역 봉사의 날’ 행사 등 다채로운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에 이바지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참조]
1  루미날 A(Luminal A): 다른 종류의 유방암 아형에 비해 비교적 덜 공격적이며, 내분비 요법에 대한 반응 및 예후가 좋은 아형으로, HR+/HER2- 전체 유방암의 약 74%를 차지하는 유형(출처: 약학정보원. 이슈&트렌드. 전이성 유방암. P. 17)
2  루미날 B(Luminal B): 루미날 A 아형에 비해 더욱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는 아형으로, 주로 HR+/HER2+ 전체 유방암의 약 10%를 차지하는 유형(출처: 약학정보원. 이슈&트렌드. 전이성 유방암. P. 17)


References
1  Carey L et al. Correlative analysis of overall survival by intrinsic subtype across the MONALEESA-2, -3, and -7 studies of ribociclib + endocrine therapy in patients with HR+/HER2− advanced breast cancer. Presented at the 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December 7-10, 2021. Abstract #GS2-00.
2  Hortobagyi, et al. Overall survival (OS) results from the phase III MONALEESA (ML)-2 trial of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hormone receptor positive/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negative (HR+/HER2−) advanced breast cancer (ABC) treated with endocrine therapy (ET) ± ribociclib. Presented at the Europ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ESMO) Congress, September 16-21, 2021, (Abstract #LBA17).
3  Im, S. A. et al. Overall Survival with Ribociclib plus Endocrine Therapy in Breast Cancer. N Engl J Med 2019; 381:307-316.
4  Slamon DJ, Neven P, Chia S, Fasching PA, De Laurentiis M, Im S-A, et al. Overall survival with ribociclib plus fulvestrant in advanced breast cancer. N Engl J Med. 2020;382(6):514–24.
5  Tripathy D, Im S-A, Colleoni M, et al, Updated overall survival (OS) results from the phase III MONALEESA-7 trial of pre- or perimenopausal patients with HR+/HER2− advanced breast cancer (ABC) treated with endocrine therapy (ET) ± ribociclib. Presented at the 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December 9, 2020. Abstract #PD2-04.
6  O’Shaughnessy J et al. Overall survival subgroup analysis by metastatic site from the Phase III MONALEESA-2 study of first-line ribociclib + letrozole in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HR+/HER2− advanced breast cancer. Presented at the 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December 7-10, 2021. Abstract #GS2-01.
7  Prat A et al. Correlative biomarker analysis of intrinsic subtypes and efficacy across the MONALEESA Phase III studies. Presented at the 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December 9, 2020. Abstract #GS1-04.
8  Prat A. et al. Correlative Biomarker Analysis of Intrinsic Subtypes and Efficacy Across the MONALEESA Phase III Studies. J Clin Onc. (2021) doi: 10.1200/JCO.20.02977.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