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8.5℃
  • 맑음강릉 20.2℃
  • 맑음서울 17.6℃
  • 맑음대전 18.7℃
  • 맑음대구 19.4℃
  • 구름조금울산 18.8℃
  • 맑음광주 18.2℃
  • 구름조금부산 19.3℃
  • 맑음고창 16.6℃
  • 구름조금제주 18.1℃
  • 맑음강화 15.0℃
  • 맑음보은 16.8℃
  • 맑음금산 18.2℃
  • 맑음강진군 19.9℃
  • 구름많음경주시 19.9℃
  • 구름조금거제 18.1℃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아스트라제네카, EMR 솔루션 ‘의사랑’에 eGFR 자동계산 후원

개원가에서의 만성 콩팥병 진단 용이 및 환자 관리와 치료 성과 개선 기대

 크레아티닌 수치만 입력하면 시스템 내 환자 정보와 연동해 eGFR 자동 출력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사장 김상표)가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솔루션 ‘의사랑’에 신장기능 지표인 추정 사구체여과율(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자동 계산 기능이 추가되도록 후원하였다.

이에 따라, 11월 1일부터 의료진이 ‘의사랑’ 의학 계산 창에 혈청크레아티닌 수치를 입력하기만 하면, 나이와 성별 등 시스템 내 환자 정보가 연동되어 eGFR 수치가 자동 산출된다.  지금까지는 이 같은 기능이 지원되지 않아 의료진들이 환자 정보를 확인해 일일이 계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의사랑’은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대표기업 유비케어의 국내 병의원 EMR 시장 점유율 1위 제품이다.  


EMR 솔루션 ‘의사랑’ 내 ‘eGFR 자동 계산’

eGFR은 신장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치로, 국내외 당뇨병 가이드라인과 당뇨병 적정성 평가에서도 eGFR로 신장 기능을 평가하고 있다.,,, 특히, 만성콩팥병은 증상을 인지하여 진단받을 때는 이미 투석과 이식으로 생명을 연장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 eGFR을 정기적으로 확인해 조기부터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 콩팥병은 자각 증상이 없고 조기 진단이 어려워5 국내에서 4%대의 낮은 진단율을 보이고 있다. 신장 기능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하기 어렵지만 조기부터 관리하면 충분히 치료가 가능해7 1차 진료기관인 개원가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CVRM사업부 심일 전무는 “국내 만성콩팥병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인지도와 진단율이 낮아 치료 적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는데8,, 개원가의 만성콩팥병 진단율을 높이고 환자들의 신기능을 관리하는데 보탬이 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 같은 진단 환경 개선을 통해 치료 성과가 향상되어, 많은 환자들이 건강과 삶의 질을 지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EMR 솔루션 ‘의사랑’을 사용하지 않은 의료진의 경우 대한신장학회1와 대한당뇨병학회의 홈페이지에서 직접 환자들의 혈청크레아티닌 수치, 나이, 성별 등을 입력해 eGFR수치 계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1980년 아스트라가 합작회사 형태로 국내 제약시장에 진출한 이래, 1992년과 1997년에 각각 한국아스트라와 한국제네카가 설립됐고, 이후 1998년에 아스트라와 제네카 본사가 합병되면서 1999년 아스트라제네카의 한국 법인인 한국아스트라제네카가 공식 출범했다. 현재 전국 380여 명의 임직원이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 벤처, 의과대학 등과 다양한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의학 연구와 제약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한편 환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책임 있는 기업으로서 암 환자 자녀의 건강한 성장과 꿈을 지원하는 사회공헌 ‘희망샘 프로젝트(Hope Fund)'를 2005년부터 17년 동안 운영해 오고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www.astrazeneca.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대한신장학회. https://ksn.or.kr/general/about/check.php (Accessed 26, Oct 2021)
2  대한당뇨병학회, 2021 당뇨병 진료지침 제7판
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9. Pharmacologic Approaches to Glycemic Treatment: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21. Diabetes Care. 2021 Jan;44(Suppl 1):S111-S124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년(11차)당뇨병 적정성 평가 세부기준 변경 안내
5  김성철. 신장병의 모든 것(1). 약학정보원. 2018 October
6  황원민. Essentials of Primary Care: 신장: 만성 콩팥병 단계별 최적의 치료 전략.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6; 2016(0): 54-57.
7  임춘수.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의 약물 치료. J Korean Med Assoc 2012 April; 55(4): 381-389
8  대한신장학회. 숫자로 보는 우리나라 만성콩팥병(CKD) Factsheet. 2018 September
9  이상호. 개원의 연수강좌: 만성콩팥병 환자의 단계별 관리.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2014; 2014(0): 27-30.
10  S.Y Lee et al. AWARESS AND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ANES) 1998-2016. Kidney International Reports. 2019 July; 4(7) S114
11  대한당뇨병학회. 전문가페이지. eGFR 계산. https://www.diabetes.or.kr/pro/  (Accessed 26, Oct 2021)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