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1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타그리소 FLAURA China 연구, 무진행 생존기간(PFS) 8.0개월 개선 및 전체 생존기간(OS) 7.4개월 개선 등 전체연구와 일관된 치료가치 확인

표준치료군의 질병진행시 2차 치료제로 타그리소 교차투여를 허용하고도 유의한 차이 나타내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가 FLAURA China 3상 임상 연구 결과, FLAURA연구와 일관되게 기존의 표준치료 대비 현저히 개선된 무진행 생존기간(PFS) 및 전체 생존기간(OS) 이점을 나타냈다. 이 같은 연구 결과가 2월 5일 (금) ‘표적 종양학(Targeted Oncology)’ 학술지에 온라인 게재되었다.

연구 결과, 타그리소 투여군의 무진행 생존기간 (PFS, Progression Free Survival) 중앙값은 17.8 개월로 표준치료군 (1 세대 EGFR-TKI)의 9.8개월 보다8.0개월 길었고, 사망 위험은 44%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비[HR] 0.56; 95% 신뢰구간[CI] 0.37-0.85; p<0.01). 이로써, 타그리소의 임상 결과는 FLAURA 전체 PFS 개선(8.7개월)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타그리소 투여군의 전체 생존 기간(OS) 중앙값은 33.1개월로 표준치료군(25.7개월) 대비 7.4개월 길었으며, 사망위험은15%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비[HR] 0.85; 95% 신뢰구간[CI] 0.56-1.29; p=0.442). 이는 FLAURA 전체 OS 중앙값 개선(6.8개월) 보다 높은 수치다.

치료 지속율 역시 타그리소 치료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데이터 확정 시점 (Data cut off, 2019년 6월 25일)에서 타그리소군의 치료 유지 기간 중앙값은 20.0개월(0.3-39.7)로, 표준치료군의 13.6개월(1.1-39.1) 보다 6.4개월 길었다. 투약 3년 시점에서 표준치료군에서 8%(5명)의 환자 만이 치료를 지속하고 있었던 반면, 타그리소군은 20%(14명)가 치료를 이어가고 있었다. 치료 2년, 3년 시점에서 타그리소군 생존율은 각각 64.3%, 38.6%로 표준치료군 54.2%, 32.6% 대비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FLAURA China 연구는 FLAURA 전체 임상 연구와 동일한 프로토콜의 임상으로, 표준치료군에서 질병이 진행된 경우, T790M변이가 확인된 환자는 타그리소 교차 투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분석 결과, 표준치료군 환자 중 34% (22명)에 2차 치료제로 타그리소로 교차투여를 허용하고도 타그리소 1차 투여의 생존연장을 보였다.

이번 분석 결과, 중추신경계 전이가 나타난 환자는 타그리소군 2명(3%), 표준치료군 13명(20%)으로 타그리소군은 FLAURA 전체 연구와 일관되게 중추신경계 전이 동반 여부와 상관없이 낮은 중추신경계 진행을 보였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항암사업부 명진 전무는 “타그리소군이 무진행 생존 기간과 전체 생존 기간에서 FLAURA 전체 임상 결과와 일관되게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개선을 보여주었다. 특히, 표준치료군에서 1차 치료 후 T790M 변이 환자가 타그리소로 교차 투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타그리소군에서 생존 연장 효과를 보여준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김상위 교수는 “치료 3년 시점에서 20%의 환자가 타그리소 1차 치료를 이어가고 있었다는 것은 EGFR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특히 고무적인 결과다. 타그리소는 현재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3년 이상의 생존을 입증한 유일한 EGFR TKI로, 이번 FLAURA 중국인 임상 결과는 1차 치료제로서 타그리소의 임상적 가치와 사용 당위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FLAURA China 주요 임상 결과 요약 [Data cut off: June 25, 2019]

구분

타그리소군(n=71)

표준치료군 (n=65)

OS 중앙값

33.1개월(26.0-35.9)

25.7개월(19.6-32.8)

위험비 (95% CI)

0.85 (0.56-1.29)

P

p=0.442

PFS 중앙값

17.8개월 (13.6-20.7)

9.8개월 (8.3-13.8)

위험비 (95% CI)

0.56 (0.37-0/85)

 P

p<0.01

치료유지기간

 

 

12개월

52(73%)

37(57%)

24개월

27(38%)

9(14%)

36개월

14(20%)

5(8%)


FLAURA China데이터는 FLAURA 전체연구에 포함된 중국인 환자 19명 외에 별도로 진행된 FLAURA China 연구의 117명을 합한 136명의 환자를 분석한 것으로, 타그리소군에는 71명이, 표준치료군에는 65명의 환자가 배정되었다. 해당 분석 결과는 2020년 9월 유럽종양학회(ESMO,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에서 발표되었으며, 올 해 2월 'Targeted Oncology'에 주요 결과와 함께 게재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타그리소의 안전성 및 내약성은 FLAURA 전체 연구와 일관되었고 안전성 관련 새로운 징후는 보고되지 않았다. Grade 3 이상의 이상사례는 타그리소군(54%)에서 표준치료군(28%) 대비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대부분 실험실 또는 질병 관련 증상 보고 증가 등에 의한 것으로 전반적으로 타그리소군은 양호한 내약성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타그리소는 미국, 일본, 중국, 유럽연합 및 세계 여러 국가에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1차 치료제 및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EGFR T790M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허가되어 있다.

 

폐암에 대하여

폐암은 남녀 모두 암 사망의 주요 원인이며 전체 암 사망의 약 5 분의 1을 차지한다. 폐암은 크게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으로 분류되며 약 85 %는 비소세포폐암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비소세포페암 환자들은 진행성 단계에서 진단되며, 25~30% 환자들은 절제불가능 할 때 진단 받는다1-3. 암이 뇌로 퍼지는 중추신경계 재발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잦은 합병증으로, 환자의 예후가 특히 좋지 않다.4-5

진단 당시 절제 가능하더라도, 대부분의 환자들은 종양 절제술과 부가적인 화학요법에도 불구하고 결국 재발한다.6 초기 폐암 진단은 종종 폐암과 관련 없는 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MRI 촬영에서 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7-8

미국과 유럽의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약 10-15%와 아시아 환자의 30-40%가 상피세포 성장인자수용체변이(EGFRm) 비소세포폐암에 해당한다. 9-11  이 환자들은 종양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세포 신호 경로를 차단하는 EGFR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s , TKI) 치료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12


FLAURA China연구에 대하여

FLAURA China 연구는 FLAURA와 동일한 프로토콜의 임상으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무작위, 이중 맹검의 3상 임상이다. 환자들은 질병이 진행되거나, 수용 불가능한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동의를 철회한 경우까지 하루에 한 번 타그리소 80mg 경구용 알약이나 표준치료군(게피티닙) 250mg으로 치료를 받았다.

1차 평가변수는 무진행 생존 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RECIST v 1.1)이며, 2차 평가변수들 중 주요 항목은 전체 생존 기간(Overall Survival)과 안전성이다. 탐색적 평가지표는 TFST(Time to first subsequent therapy), TSST(Time to Second subsequent therapy) 등이다.


타그리소에 대하여

타그리소(osimertinib)는 돌연변이 EGFR과 T790M의 활성과 민감성을 억제시키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저해제(EGFR-TKI)다.

우리나라에서는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와 이전에 EGFR-TKI로 치료받은 적이 있는 EGFR T790M 변이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제로 승인 받았다.

한편, 타그리소 40mg과 80mg의 1일 1회 경구용 알약은 미국, 일본, 중국, EU 등 세계 여러 국가에서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치료와 EGFR T790M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치료제로 승인 받았다.
 

아스트라제네카의 폐암 분야 연구에 대하여

아스트라제네카는 모든 단계의 질환 및 다양한 형태의 폐암 치료를 위해 기 승인된 신약 및 후기 단계 임상 개발 과정에 있는 잠재 신약의 종합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승인된 의약품 이레사(성분명 : 게피티닙)와 타그리소, 그리고 현재 진행중인 임상 3상 LAURA, NeoADAURA, FLAURA2를 통하여 유전학적 질병의 원인인 EGFR 변이 종양 환자의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요구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임상 2상 SAVANNAH와 ORCHARD를 통해 종양의 저항 메커니즘을 해결하는데 전념하고 있으며, 해당 임상은 타그리소를 c-MET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의 선택적 억제제인 사볼리티닙과 다른 잠재적 신약을 병용해 시험하는 방식이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의 항암사업에 대하여

아스트라제네카는 항암연구에 뿌리깊은 전통을 가진 회사로서, 환자들의 삶과 기업의 미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다양한 약물들을 개발하고 있다. 2014년에서 2020년 사이에 적어도 여섯 가지의 신약 출시와 분자학과 생물학의 폭 넓은 파이프라인을 개척을 통해 폐암, 난소암, 유방암 및 혈액암을 중심으로 항암 연구를 진행하며, 항암부문을 아스트라제네카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혈액암 연구에서 AcertaPharma와 협력했던 것처럼, 아스트라제네카는 전략 전달을 가속화하는 혁신적인 파트너십과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것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면역항암, 암의 유전적 요인과 내성, DNA 손상 복구 및 항체-약물 결합체의 네 가지 과학적 플랫폼을 원동력으로 삼고 개별화된 복합치료의 개발에 중점을 두어, 항암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가까운 미래에 암으로 인한 사망을 뿌리뽑는 것을 비전으로 한다.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하여

아스트라제네카는 세가지 주요 질환의 치료분야인 종양, 심혈관질환, 신장-대사 및 호흡기 분야의 전문의약품 연구, 개발 및 공급에 주력하고 있는 과학 주도 글로벌 바이오 제약회사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자가면역질환, 신경과학질환 및 전염병 등의 분야에서도 선별적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현재 100개국 이상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세계 수백만명 이상의 환자들이 아스트라제네카의 혁신 의약품을 사용 중이다.

더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www.astrazeneca.com 및 트위터 계정 @AstraZeneca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Cagle P, et al. Lung Cancer Biomarkers: Pres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Archives Pathology Lab Med. 2013;137:1191-1198.
2. Le Chevalier T. Adjuvant Chemotherapy for Resectable Non-Small-Cell Lung Cancer: Where is it Going? Ann Oncol. 2010;21:196-8.
3. Datta D, et al. Preoperative Evaluation of Patients Undergoing Lung Resection Surgery. Chest. 2003;123: 2096–2103.
4. Rangachari, et al. Brain MetastasesinPatientswith EGFR-Mutatedor ALK-RearrangedNon-Small-Cell LungCancers. LungCancer. 2015;88,108–111.
5. Ali A, et al. Survival of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After a Diagnosis of Brain Metastases. CurrOncol. 2013;20(4):e300-e306.
6. Pignon et al. Lung Adjuvant Cisplatin Evaluation: A Pooled Analysis by the LACE Collaborative Group. J Clin Oncol 2008;26:3552-3559.
7. Sethi S, et al. Incidental Nodule Management – Should There Be a Formal Process?. Journal of ThoracOnc. 2016:8;S494-S497.
8. LUNGevity Foundation. Screening and Early Detection. Available at: https://lungevity.org/for-patients-caregivers/lung-cancer-101/screening-early-detection#1. Accessed September 2020. 
Szumera-Ciećkiewicz A, et al. EGFR Mutation Testing on Cytological and Histological Samples in 11. Non-9. Non-Small Cell Lung Cancer: a Polish, Single Institution Study and Systematic Review of European Incidence. Int J Clin Exp Pathol. 2013:6;2800-12.
10. Keedy VL, et al.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rovisional Clinical Opinio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Mutation Testing for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Considering First-Line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 Therapy. J Clin Oncol. 2011:29;2121-27.
11. Ellison G, et al. EGFR Mutation Testing in Lung Cancer: a Review of Available Methods and Their Use for Analysis of Tumour Tissue and Cytology Samples. J Clin Pathol. 2013:66;79-89.
12. Cross DA, et al. AZD9291, an Irreversible EGFR TKI, Overcomes T790M-Mediated Resistance to EGFR Inhibitors in Lung Cancer. Cancer Discov. 2014;4(9):1046-1061.
Ying Cheng et al. Osimertinib Versus Comparator EGFR TKI as First‑Line Treatmentfor EGFR‑Mutated Advanced NSCLC: FLAURA China, A RandomizedStudy. Targeted Oncology. 2021. https://doi.org/10.1007/s11523-021-00794-6



 

ISSUE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