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타그리소, 초기 EGFR 변이 폐암 보조요법 사용 시 뇌 전이 재발 위험 82% 감소시켜

ADAURA 3상 연구 결과, 중추신경계 전이 치료에서 확인된 타그리소의 임상적 이점 재확인


 



ADAURA 3상 임상시험에서 규정된 탐색적 분석 결과,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가 완전 절제술을 받은 초기(1B, 2, 3A)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보조요법 치료에서 중추신경계 무질병생존기간(DFS, Disease-Free Survival)을 임상적으로 의미 있게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최대 30%가 완전 절제술을 받을 수 있는 병기에 진단될 수 있지만, 재발은 초기 암에서도 여전히 흔히 발견된다.1-3 암이 뇌로 퍼지는 중추신경계 재발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잦은 합병증으로, 환자의 예후가 매우 나쁘다.4-5

 

해당 분석 결과는 2020919일에 2020 유럽종양학회(ESMO,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온라인 총회 프레지던셜 심포지엄에서 발표되었으며(초록 #LBA1), 동시에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주요 결과와 함께 게재되었다.

 

이번 분석에서는 보조요법으로 타그리소 치료를 받은 환자 군에서 재발 또는 사망 환자 수가 위약 대비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11% vs. 46%). 암이 재발한 환자 중 타그리소 치료 환자의 38%에서 전이성 재발이 발생했으며 위약 치료 환자의 61% 보다 낮았다. 타그리소는 중추신경계 재발 또는 사망 위험을 82%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위험비[HR] 0.18; 95% 신뢰구간[CI] 0.10-0.33; p<0.0001). 양 군에서 중추신경계 무질병생존기간 중앙값은 아직 도달되지 않았다.


사후 분석에서 다른 종류의 재발을 경험하지 않은 환자들 중 치료 18개월 시점에 뇌에서 암 재발이 관찰될 확률은 타그리소 치료 환자에서 1% 미만으로, 위약 치료 환자의 9%보다 낮았다. 일차평가변수인 2기 및 3A기 암 환자의 무질병생존기간에 있어 타그리소 보조요법은 암 재발 또는 사망 위험을 83% 감소시켰다(HR 0.17; 95% CI 0.12-0.23; p<0.0001)[Data cut off: January 17, 2020].

 

ADAURA 3상 임상시험의 책임연구원을 맡고 있는 일본 국립암센터 동부 병원 흉부암 외과의 마사히로 추보이 박사는 보조 항암화학요법 후에도 재발률이 여전히 매우 높기 때문에, EGFR 변이 폐암 치료가 수술로 끝난다는 생각을 바꿔야 한다낮은 재발률, 특히 뇌에서 낮은 재발률을 보여주는 이번 데이터와 뛰어난 무질병생존기간 혜택의 결합으로 타그리소가 폐암 환자의 무질병 생존기간을 개선시켰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호세 바셀가 항암제 연구개발부문 총괄 부사장은 폐암이 뇌로 전이된 후에는 보통 치료 결과가 절망적이다라며 타그리소는 혈액-뇌장벽을 통과하는 차별화된 기전으로 중추신경계 전이에서 확인된 임상적 유용성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이 놀라운 데이터는 타그리소가 초기 암 환자에서 뇌 전이 발생을 예방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타그리소가 EGFR 변이 폐암 환자에게 진정으로 혁신적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결과이다. 타그리소가 전세계적으로 전이성 EGFRm 폐암 환자에서 표준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보조요법 환경에서도 표준요법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말했다.

 

 

ADAURA 3상 임상시험의 중추신경계 재발에 대한 탐색적 결과 요약[Data cut off: January 17, 2020]

 

 

타그리소

n=339

위약

n=343

중추신경계무질병생존기간

(CNS DFS,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Free Survival)

 

위험비 (95% CI)

0.18 (0.10-0.33);

P

p<0.0001

중추신경계전이/재발발생환자(%):

6 (2%)

39 (11%)

중추신경계재발

4 (1%)

33 (10%)

사망i

2 (1%)

6 (2%)

질병진행/전이환자(%):

37 (11%)

159 (46%)

암재발종류

n=37

n=157

국소(Local/regional)

23 (62%)

61 (39%)

원격(Distant)

14 (38%)

96 (61%)

사망ii

0

2 (1%)

i. 중추신경계 암 재발이 없는 상태에서 사망 또는 두 차례의 기저점 방문 이내에 환자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기저점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사망

ii. 암 재발(어떤 부위든지)이 없는 상태에서 사망 또는 두 차례의 기저점 방문 이내에 환자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기저점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사망

 


본 연구에서 확인된 타그리소의 안전성 및 내약성은 전이성 EGFR변이 비소세포폐암 환경에서 앞서 실시된 여러 건의 임상시험과 일관되게 나타났다. 연구자가 평가한 모든 원인으로 인한 Grade 3 이상의 이상사례는 타그리소군의 10%, 위약군의 3%에서 발생했다.

 

타그리소는 현재 보조요법 용도로 타그리소 치료가 허가된 국가는 없다. 타그리소는 20207월에 완치 목적의 완전 절제술을 받은 초기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보조 치료를 위한 혁신 치료제로 지정 받았다. 타그리소는 미국, 일본, 중국, 유럽연합 및 세계 여러 국가에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1차 치료제 및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EGFR T790M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허가되어 있다.

 

 

폐암에 대하여

 

폐암은 남녀 모두 암 사망의 주요 원인이며 전체 암 사망의 약 5 분의 1을 차지한다. 폐암은 크게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으로 분류되며 약 85 %는 비소세포폐암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비소세포페암 환자들은 진행성 단계에서 진단되며, 25~30% 환자들은 절제불가능 할 때 진단 받는다1-3.

 

진단 당시 절제 가능하더라도, 대부분의 환자들은 종양 절제술과 부가적인 화학요법에도 불구하고 결국 재발한다. 8 초기 폐암 진단은 종종 폐암과 관련 없는 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MRI 촬영에서 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9-10

 

미국과 유럽의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약 10-15%와 아시아 환자의 30-40%가 상피세포 성장인자수용체변이(EGFRm) 비소세포폐암에 해당한다. 11-13 이 환자들은 종양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세포 신호 경로를 차단하는 EGFR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s , TKI) 치료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14

 

 

ADAURA 연구에 대하여

 

ADAURA는 완전한 종양 절제 및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은 후, 보조 치료를 받는 682명의 1B, 2, 3A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해당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통제의 글로벌 3상 임상이다. 환자들은 3년 또는 질병이 재발할 때까지 하루에 한 번 타그리소 80mg 경구용 알약이나 위약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 임상은 유럽, 남미, 아시아, 중동 등 20여 개국에 걸쳐 200여 개 센터에 등록돼 진행됐다. 1차 평가변수는 2기 및 3A기 환자의 DFS이며, 2차 평가변수들 중 주요 항목은는 1B, 2 3A기 환자의 DFS이다. 자료 열람은 당초 2022년으로 예상됐지만 전반적인 생존을 평가는 계속될 것이다.

 

 

타그리소에 대하여

 

타그리소(osimertinib)는 중추신경계 전이 적응증을 대상으로 임상 활동이 진행 중인 3세대 비가역적 EGFR-TKI이다. 타그리소 40mg80mg11회 경구용 알약은 미국, 일본, 중국, EU 등 세계 여러 국가에서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치료와 EGFR T790M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치료제로 승인을 받았다.

 


아스트라제네카의 폐암 분야 연구에 대하여

 

아스트라제네카는 모든 단계의 질환 및 다양한 형태의 폐암 치료를 위해 기 승인된 신약 및 후기 단계 임상 개발 과정에 있는 잠재 신약의 종합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승인된 의약품 이레사(성분명 : 게피티닙)와 타그리소, 그리고 현재 진행중인 임상 3LAURA, NeoADAURA, FLAURA2를 통하여 유전학적 질병의 원인인 EGFR 변이 종양 환자의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요구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임상 2SAVANNAHORCHARD를 통해 종양의 저항 메커니즘을 해결하는데 전념하고 있으며, 해당 임상은 타그리소를 c-MET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의 선택적 억제제인 사볼리티닙과 다른 잠재적 신약을 병용해 시험하는 방식이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의 항암사업에 대하여

 

아스트라제네카는 항암연구에 뿌리깊은 전통을 가진 회사로서, 환자들의 삶과 기업의 미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다양한 약물들을 개발하고 있다. 2014년에서 2020년 사이에 적어도 여섯 가지의 신약 출시와 분자학과 생물학의 폭 넓은 파이프라인을 개척을 통해 폐암, 난소암, 유방암 및 혈액암을 중심으로 항암 연구를 진행하며, 항암부문을 아스트라제네카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혈액암 연구에서 AcertaPharma와 협력했던 것처럼, 아스트라제네카는 전략 전달을 가속화하는 혁신적인 파트너십과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것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면역항암, 암의 유전적 요인과 내성, DNA 손상 복구 및 항체-약물 결합체의 네 가지 과학적 플랫폼을 원동력으로 삼고 개별화된 복합치료의 개발에 중점을 두어, 항암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가까운 미래에 암으로 인한 사망을 뿌리뽑는 것을 비전으로 한다.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하여

 

아스트라제네카는 세가지 주요 질환의 치료분야인 종양, 심혈관질환, 신장-대사 및 호흡기 분야의 전문의약품 연구, 개발 및 공급에 주력하고 있는 과학 주도 글로벌 바이오 제약회사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자가면역질환, 신경과학질환 및 전염병 등의 분야에서도 선별적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현재 100개국 이상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세계 수백만명 이상의 환자들이 아스트라제네카의 혁신 의약품을 사용 중이다.

 

더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www.astrazeneca.com 및 트위터 계정 @AstraZeneca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Cagle P, et al. Lung Cancer Biomarkers: Pres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s. Archives Pathology Lab Med. 2013;137:1191-1198.

2. Le Chevalier T. Adjuvant Chemotherapy for Resectable Non-Small-Cell Lung Cancer: Where is it Going? Ann Oncol. 2010;21:196-8.

3. Datta D, et al. Preoperative Evaluation of Patients Undergoing Lung Resection Surgery. Chest. 2003;123: 20962103.

4. Rangachari, et al. Brain MetastasesinPatientswith EGFR-Mutatedor ALK-RearrangedNon-Small-Cell LungCancers. LungCancer. 2015;88,108111.

5. Ali A, et al. Survival of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After a Diagnosis of Brain Metastases. CurrOncol. 2013;20(4):e300-e306.

6.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Lung Fact Sheet. Available at http://gco.iarc.fr/today/data/factsheets/cancers/15-Lung-fact-sheet.pdf. Accessed September 2020.

7. LUNGevity Foundation. Types of Lung Cancer. Available at https://www.lungevity.org/about-lung-cancer/lung-cancer-101/types-of-lung-cancer. Accessed September 2020.

8. Pignon et al. Lung Adjuvant Cisplatin Evaluation: A Pooled Analysis by the LACE Collaborative Group. J Clin Oncol 2008;26:3552-3559.

9. Sethi S, et al. Incidental Nodule Management Should There Be a Formal Process?. Journal of ThoracOnc. 2016:8;S494-S497.

10. LUNGevity Foundation. Screening and Early Detection. Available at: https://lungevity.org/for-patients-caregivers/lung-cancer-101/screening-early-detection#1. Accessed September 2020.

Szumera-Ciećkiewicz A, et al. EGFR Mutation Testing on Cytological and Histological Samples in 11. Non-Small Cell Lung Cancer: a Polish, Single Institution Study and Systematic Review of European Incidence. Int J Clin Exp Pathol. 2013:6;2800-12.

12. Keedy VL, et al.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rovisional Clinical Opinio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Mutation Testing for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Considering First-Line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 Therapy. J Clin Oncol. 2011:29;2121-27.

13. Ellison G, et al. EGFR Mutation Testing in Lung Cancer: a Review of Available Methods and Their Use for Analysis of Tumour Tissue and Cytology Samples. J Clin Pathol. 2013:66;79-89.

14. Cross DA, et al. AZD9291, an Irreversible EGFR TKI, Overcomes T790M-Mediated Resistance to EGFR Inhibitors in Lung Cancer. Cancer Discov. 2014;4(9):1046-1061.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