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상의 주의사항 내 트루리시티 심혈관계 결과 임상시험인
‘REWIND’ 결과 추가
한국릴리(대표 알베르토 리바)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주 1회 투여하는 GLP-1 유사체 ‘트루리시티(성분명 둘라글루타이드)’가 5월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시험 정보를 허가사항 내 사용상의 주의사항에 추가하는 것으로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변경에 따라 ‘사용상의 주의사항’ 내 ‘전문가를 위한 정보’ 항목이 신설되어 트루리시티의 심혈관계 결과 임상시험(CVOT; Cardiovascular Outcome Trial)에 대한 상세 정보가 추가됐다.
본 항목에는 트루리시티가 장기간 심혈관계 결과 임상시험에서 주요 심혈관계 이상반응(MACE; 심혈관계 관련 사망, 치명적이지 않은 심근경색 또는 치명적이지 않은 뇌졸중)의 최초 발생까지 기간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번 변경은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24개국 제 2형 성인 당뇨병 환자 9,901명을 대상으로 트루리시티의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결과를 평가한 REWIND 임상 결과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REWIND는 GLP-1 유사체 계열 치료제 중 최장 기간(중앙 추적 기간 5.4년)에 걸쳐 진행된 심혈관계 결과 임상시험으로, 심혈관계 질환 확진 병력이 없는 환자가 다수 포함됐다.
본 연구에서 트루리시티는 심혈관계 관련 사망, 치명적이지 않은 심근경색 또는 치명적이지 않은 뇌졸중을 포함한 복합 평가 변수인 MACE의 최초 발생까지 기간의 위험을 12%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HR:0.88, 95% CI 0.79-0.99).
한국릴리 당뇨사업부 총괄 김계원 전무는 “트루리시티의 REWIND 임상은 심혈관질환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계 사건 발생 위험 감소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며, “주 1회 투약하는 트루리시티가 투여 편의성과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에 더해, MACE의 최초 발생까지 기간의 위험을 감소시킨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효과적인 동반질환 관리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는 FDA가 지난 2월 트루리시티를 심혈관질환이 있거나 다양한 심혈관질환 위험 요인을 동반한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MACE 위험을 낮추는 치료제로 승인했다. 미국당뇨병학회(ADA)는 2019년 7월 당뇨병 진료지침을 일부 개정하고 ‘제 9장. 약물을 통한 혈당 관리 전략’과 ‘제 10장. 심혈관질환 및 위험 관리 전략’에 REWIND 임상 결과를 근거로 트루리시티(둘라글루타이드)가 MACE에 우월성을 검증했다는 내용과 함께 REWIND 임상 정보 안내 문구를 신설한 바 있다.
한편, 트루리시티는 국내에 성인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개선을 위한 식이 요법과 운동 요법의 보조제로 허가되어 있다. 트루리시티는 지난 2016년 6월 출시되어, 치료 단계별 여러 임상으로 확인된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 및 안전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해왔다. 지난 한 해에만 전년 대비 약 39% 성장한 375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기저 인슐린을 제외한 GLP-1 유사체 시장에서 85.9%, 전체 당뇨병 주사 치료제 시장에서 28.6%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며 대표 GLP-1 유사체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REWIND 연구에 대하여3
REWIND(Researching cardiovascular Events with a Weekly INcretin in Diabetes)는 제 2형 성인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기관,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연구로, 주 1회투여하는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 1 유사체(GLP-1 RA)인 트루리시티 1.5mg의 심혈관계사건 효과를 위약과 비교평가했다.
두 투여군 모두 (표준요법에 대한 현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기존 표준요법과 병용해 평가했다. 1차 결과 평가변수는 주요 심혈관계 이상반응(MACE 3; 심혈관계 관련 사망, 치명적이지 않은 심근경색 또는 치명적이지 않은 뇌졸중)의 최초 발생까지의 기간으로 정의했다. 2차 결과 평가변수는 복합 1차 결과 평가변수의 각 요소, 망막 또는 신장질환으로 구성된 복합 미세혈관 평가변수, 불안정 협심증으로 인한 입원, 입원이나 응급진료를 요하는 심부전,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등이 포함됐다. 임상에 참여한 한국을 포함한 24개국 9,901명의 당뇨병 유병기간 평균은 약 10년이며 베이스라인 기준 HbA1C 중앙값은 7.2%였다. 참여자는 모두 심혈관계 위험인자가 있었으나 심혈관계 질환 확진 병력이 있는 환자는 약 31%에 불과했다. REWIND 연구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환자의 심혈관계 질환을 심근경색, 허혈성뇌졸중, 심전도변화를 동반한 불안정협심증, 영상이나 심장 스트레스검사에서 확인된 심근허혈, 재관류술(관상동맥, 경동맥, 말초) 이력이 있는 상태로 정의했다.
REWIND 임상은 국제적 규모, 비슷한 주제를 가진 다른 임상시험 대비 참가자중 여성의 높은 비율, 심혈관계 질환 확진 병력이 없는 환자의 높은 비율, 베이스라인 기준 HbA1C 평균이 낮은 참가자의 포함이라는 측면에서 전세계의 실제 진료현장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제 2형 당뇨병 환자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트루리시티®의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결과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효능효과로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본 보도자료는 의학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처방시 반드시 국내 허가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트루리시티®는 전문의약품으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며,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https://nedrug.mfds.go.kr)을 참조하시 기바랍니다. 트루리시티®의 효능과 약물 이상반응에 대해서 담당 보건의료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References
3 Gerstein HC, Colhoun HM, et al. Dul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 (REWIND): a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The Lancet. 2019. S0140-6736(19)31149-3.
5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2020, Diabetes Care 2020 Jan; vol. 43
6 윤선영, Company Update 보령제약, 삼성증권, 30 Jun. 2017
7 Umpierrez G,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dulaglutide monotherapy versus metformin in type 2 diabetes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WARD-3). Diabetes Care 2014;37:2168–2176
8 Nauck M,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dulaglutide versus sitagliptin after 52 weeks in type 2 diabetes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WARD-5). Diabetes Care 2014;37:2149–2158
9 Dungan KM, et al. Once-weekly dulaglutide versus once-daily liraglutide in metformin-treate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WARD-6): a randomised, open-label, phase 3, non-inferiority trial. Lancet 2014 ;384(9951) :1349-1357
10 K. M. Dungan, et. al. A 24-week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once-weekly dulaglutide added on to glimepiride in type 2 diabetes (AWARD-8),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2016, doi:10.1111/dom.12634
11 Wysham C,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dulaglutide added onto pioglitazone and metformin versus exenatide in type 2 diabetes (AWARD-1). Diabetes Care 2014;37:1–9
12 Francesco Giorgino,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Once-Weekly Dulaglutide Versus Insulin Glargin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on Metformin and Glimepiride (AWARD-2), Diabetes Care 2015;38:2241–2249
13 Bernhard Ludvik, Juan P Frías, et al. Dulaglutide as add-on therapy to SGLT2 inhibitors in patients with inadequately controlled type 2 diabetes (AWARD-10): a 24-week,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18
14 Lawrence Blonde, et al. Once-weekly dulaglutide versus bedtime insulin glargine, both in combination with prandial insulin lispro,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WARD-4): a randomised, open-label, phase 3, non-inferiority study, Lancet 2015; 385: 2057–66
15 Katherine R Tuttle, et al. Dulaglutide versus insulin glargin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moderate-to-severe chronic kidney disease (AWARD-7): a multicentre, open-label, randomised trial,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18; 6: 605–17
16 Paolo Pozzilli, et al.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of the addition of onceweekly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 dulaglutide to titrated daily insulin glargin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WARD-9), Diabetes Obes Metab. 2017;19:1024–1031.
17 IMS Health Data (2019 4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