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06년 2월 의료기관별 상기도 감염의 항생제 처방률을 공개한 후, 일선 의료현장의 항생제 처방률이 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도 감염은 코, 인두, 후두, 기관지 등 상기도의 감염성 염증질환으로 급성 비염, 급성 인후염, 급성 중이염, 급성 기관지염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용어다. 흔히 말하는 감기다.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의 윤재문, 신동욱, 조비룡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가입자 1,162,354명을 대상으로 03년 1월부터 10년 12월까지 상기도 감염 진료내역 1,167만 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공개 이전(03년 1월 ~ 06년 1월)의 상기도 감염의 항생제 처방률은 평균 58.8%였으나 공개 이후(06년 2월 ~ 10년 12월)에는 53%로 약 6% 감소했다.
1차 의료기관은 58.9%에서 53.3%로, 2차 의료기관은 54.6%에서 46.6%로, 3차 의료기관은 56.2%에서 49.7%로 항생제 처방률이 감소했다.
합병증이 없는 상기도 감염에서는 항생제 처방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오히려 항생제의 내성만 키울 수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상기도 감염의 항생제 처방률을 낮추기 위해 많은 노력들이 있었으나, 그 효과가 충분치 않거나, 많은 비용이 들었다.
국내에서는 06년 2월부터 심평원이 의료기관별 상기도 감염의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해왔다. 덕분에 일반인들은 어느 병원이 항생제 처방을 얼마나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윤재문 교수는 “항생제 처방률의 공개는 환자에게 적정 진료를 하는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며 "의료인들이 평판을 관리하기 위하여 진료 행태를 바꾼 것이 항생제 사용을 감소시킨 주요 원인으로 생각 된다”라고 말했다.
신동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자료와 같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차 의료의 질 관리 정책의 긍정적 효과를 보여준 좋은 사례다" 며 "하지만, 최근 심평원의 적정성 평가를 둘러싼 잡음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정책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평가 지표가 임상현장을 반영할 수 있도록 처음부터 임상 전문가와의 적극적인 파트너십이 중요하다” 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JAMA internal medicine 12월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