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지역에서 휴교 또는 개학을 연기를 하고 준비 중에 있거나 유치원, 어린이 집의 휴원 여부 등 혼선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2009년에 신종플루 유행 당시, 휴교로 학교는 가지 않았지만 학원이나 PC방에는 가서 휴교를 한 효과를 퇴색시킨 일이 많이 있었습니다.
지난 2015년 MERS 사태에도 창원 지역에 환자 한 명이 발견되어 도시가 불안해 할 때에도 휴교 등의 의견이 있었지만 경남의사회가 나서서 휴교(휴원)는 불필요하다고 설득하여 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사례가 있습니다.
지역사회 감염이 심해지면 휴교(휴원)뿐만 아니라 지금 중국의 우한처럼 도시의 기능을 마비시켜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지금처럼 원칙 없는 휴교, 개학의 연기, 유치원, 어린이 집 등의 휴원은 사람들의 불안한 심리만 가중시킬 뿐입니다.
추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경과에 따라 휴교나 휴원 등의 조치가 필요할 수도 있겠지만, 아직 경남은 환자의 발생도 없으므로 휴교 및 휴원은 현 단계에서는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2020. 2. 4
경상남도의사회 회장 최성근
경상남도의사회 감염병대책위원장 마상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