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4 (일)

  • 맑음동두천 16.3℃
  • 흐림강릉 9.7℃
  • 맑음서울 17.8℃
  • 흐림대전 14.7℃
  • 흐림대구 10.2℃
  • 울산 10.1℃
  • 흐림광주 11.5℃
  • 부산 10.3℃
  • 흐림고창 13.0℃
  • 흐림제주 12.9℃
  • 맑음강화 15.4℃
  • 흐림보은 13.5℃
  • 흐림금산 13.5℃
  • 흐림강진군 11.4℃
  • 흐림경주시 9.7℃
  • 흐림거제 10.5℃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빈다켈®, ‘가족성 아밀로이드성 다발신경병증(TTR-FAP)’에 보험급여 적용

화이자제약 희귀질환 치료제


-  빈다켈, 극희귀질환 TTR-FAP 환자에서 
유의미한 신경병증 진행 지연 및 삶의 질 유지 효과 확인
- 10월 1일부터 말초 또는 
자율 신경병증의 증상이 있는 1단계 TTR-FAP 환자에 급여 적용


화이자제약(www.pfizer.co.kr)의 희귀질환 치료제 빈다켈(성분명: 타파미디스 메글루민염)이 10월 1일부터 희귀질환인 트랜스티레틴 가족성 아밀로이드성 다발신경병증(TTR-FAP: Transthyretin 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치료에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빈다켈캡슐 20mg은 말초 또는 자율신경병증의 증상이 있는 1단계 트랜스티레틴 가족성 아밀로이드성 다발신경병증 (이하 TTR-FAP) 환자 중 조직검사에서 아밀로이드 침착이 확인되고 유전자검사에서 트랜스티레틴 관련 변이가 확인된 환자에 대해 보험급여가 인정된다.

TTR-FAP는 트랜스티레틴 유전자의 유전적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희귀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질환이 진행되면서 신체 부위의 퇴화를 일으켜 죽음을 초래하는 신경병증이다. 2014년 기준 국내에 약 20여 명의 환자가 TTR-FAP로 진단받았을 정도로 희귀질환이며, 국내 TTR-FAP 환자들의 기대수명은 약 2년 4개월(27.7개월)로 추정되고 있다.

빈다켈은 비정상적이고 불안정한 트랜스티레틴(TTR)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는 기전을 통해 아밀로이드 축적으로 인한 TTR-FAP 진행을 지연시킨다. 그 동안 유일한 치료법으로 알려진 간 이식술은 국내 TTR-FAP 환자에게 적용된 사례가 없어 국내 환자들은 제한적인 치료를 받아왔으나, 빈다켈 보험급여 적용으로 인해 새로운 치료옵션이 생겼다. 

빈다켈 치료 환자는 6개월 간격으로 빈다켈 투여기준 및 질병의 진행 정도(하지 신경병증 손상 점수, 변형 BMI, 신경병증 장애 점수 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지속투여에 대한 의료진의 투여 소견서를 제출해야 한다.

빈다켈은 TTR-FAP 환자 128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무작위, 이중맹검, 2/3상 임상연구(Fx-005 Study)에서 18개월 시점에 TTR-FAP를 유발하는 이상 트랜스티레틴 단백질을 98% 안정화시켜 위약(0%) 대비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p<0.0001). 동일 연구의 유효성 평가가능 그룹(EE, efficacy-evaluable)에서 빈다켈 투여군은 위약 투여군 대비 하지 신경병증 손상 점수(NIS-LL, Neuropathy Impairment Score-Lower Limb)와 전체 삶의 질 지표(TQOL, Total Quality-of-Life Scor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유지됐다(각각 p=0.041, 0.045). 빈다켈과 위약 투약에 따른 중증 및 비중증 이상반응 발생률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1명의 환자에서 보다 더 많이 보고된 중증의 이상반응은 빈다켈 투여군 2명에서 나타난 요로감염이 유일하였다.

과거 빈다켈 임상시험에 참여한 TTR-FAP 환자 93명을 대상으로 한 오픈라벨, 후속 임상연구의 중간분석을 통해 빈다켈의 장기간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도 했다. 연구 66개월 시점에 빈다켈 투여군은 하지신경병증 손상점수(NIS-LL)와 이에 대한 하위 평가변수, 전체 삶의 질 지표(TQOL)에서 위약군 대비 수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안전성 프로파일은 이전 연구에서 관찰된 것과 일관되게 나타났다. 

한국화이자제약 희귀질환사업부를 총괄하고 있는 임소명 상무는 “빈다켈은 TTR-FAP 환자의 치료를 위해 국내에서 허가 받은 유일한 치료옵션으로, 이번 급여적용을 통해 불충분한 치료를 이어온 국내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치료 대안을 제공하게 되어 뜻 깊게 생각한다. 한국화이자제약은 ‘모든 환자가 중요하다(Every patient counts)’는 미션을 실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희귀질환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선도적인 역할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빈다켈은 유럽에서는 2011년 11월 TTR-FAP 1단계 성인 환자 치료제로, 일본에서는 2013년 9월 TTR-FAP 1~3단계 성인 환자 치료제로 승인 받는 등 현재까지 세계 40여개 국가에서 허가를 받았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5년 4월, TTR-FAP 치료에 대한 효능효과가 명시된 최초의 치료제로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용량은 1일 1회, 1회 20mg 경구 투여가 권장된다.



* TTR-FAP의 질병부담

TTR-FAP는 불가역적진행성질환으로, 환자들의 기대수명은 증상발현으로부터 평균 10년에 불과하다.3TTR-FAP는 증상이 다양하고 오진이 잦아환 자들이 정확한 진단을 받기까지 평균 4년 정도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단시기가 늦어질수록 질환은 악화돼 회복하기 어려워진다.3 TTR-FAP환자들은 최초증상이 나타난지 5~6년 이내에 걸을 때 도움이 필요할 정도로 증상이 악화되며 TTR-FAP 증상이 더욱 악화되면 환자들은 혼자서는 일상생활이 어려워 상당한 도움을 요하게 돼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12


* 빈다켈®(성분명 : 타파미디스메글루민염)

빈다켈은 2011년 유럽에서 가족성아밀로이드다발신경병증 초기증상을 보이는 성인환자들의 신경퇴행 및 신경계손상을 억제하기 위한 치료에 대해 최초로 허가받았다.8 이후 빈다켈은 2015년 국내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으며,9 현재 일본을 비롯한 40여개 국가에서 시판승인을 받았다8.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에관한세부사항(약제)」고시개정, 180920
2 Coelho, Teresa, et al. "Tafamidis for transthyretin familial amyloid polyneuropath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Neurology 79.8 (2012): 785-792.
3 Ando Y et al. Orph J Rare Diseases. 2013;8,31;1–8.
4 질병관리본부, 정책연구용역사업연차실적·계획서, 아밀로이드증의조기진단과예후인자발굴을위한연구, 2014.11.07
5 BARROSO, Fabio A., et al. Long-term safety and efficacy of tafamidis for the treatment of hereditary transthyretin amyloid polyneuropathy: results up to 6 years. Amyloid, 2017, 24.3: 194-204.
6 EMA, Vyndaqel,EPAR summary for the public
7 PMDA, New Drugs Approved in FY 2013, Last Accessed on September 12, 2018
8 Pfizer Press Release, Long Term Data Analysis, Last Accessed on September 10, 2018
9 Vyndaqel 제품설명서, Vyndaqel LLD - tafamidismeglumine
10 온라인의약도서관>상세검색>효능/효과>트랜스티레틴가족성아밀로이드성다발신경병증, Available at: http://drug.mfds.go.kr/html/index.jsp#n, Last Accessed on September 10, 2018.
11 Plante-Bordeneuve V. J Neurol. 2014;261;1227-1233.
12 Coutinho P, da Silva AM, Lima JL, Barbosa AR. Forty years of experience with type 1 amyloid neuropathy: review of 483 cases. In: Glenner GG, e Costa PP, de Freitas AF, eds. Amyloid and Amyloidosis. Amsterdam: ExcerptaMedica; 1980:88-98.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