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0 (금)

  • 구름조금동두천 25.5℃
  • 흐림강릉 25.6℃
  • 구름많음서울 28.2℃
  • 흐림대전 27.4℃
  • 흐림대구 27.1℃
  • 구름많음울산 25.4℃
  • 흐림광주 26.8℃
  • 구름많음부산 28.4℃
  • 흐림고창 25.8℃
  • 제주 27.2℃
  • 구름많음강화 24.6℃
  • 흐림보은 24.6℃
  • 흐림금산 24.9℃
  • 흐림강진군 26.3℃
  • 구름많음경주시 24.9℃
  • 흐림거제 26.6℃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솔리리스’, 국내 희귀질환 환자 치료 접근성 향상 기대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치료제, 7월 1일부터 급여 적용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환자 대상으로 건강보험급여 적용



알렉시온 파마 코리아(대표이사 박영애)는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치료제 솔리리스®(성분명: 에쿨리주맙)가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적용 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고시에 따라 보체 매개성 혈전성 미세혈관병증을 억제하기 위한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aHUS: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환자의 치료제로 7월 1일부터 건강보험급여 적용된다고 밝혔다.

솔리리스®는 2010년 1월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치료제로 국내에 허가 되었으며, 2016년 3월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치료제로 적응증을 추가 획득했다.

솔리리스®는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치료제이며 체내 면역 반응과 관련이 있는 단백질 집단인 보체(Complement)의 제어되지 않는 활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표적성 말단 보체 억제제로, 미국 알렉시온사에서 개발했으며 국내에서는 한독이 판권을 가지고 마케팅과 영업을 전담하고 있다.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은 만성적으로 제어되지 않는 보체의 활동으로 혈전과 염증이 몸 전체에 있는 작은 혈관에 지속적으로 손상을 입히는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 Thrombotic Microangiopathy)이 발생하는 극희귀질환이다.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은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나타나며 미세혈관병증으로 인해 뇌, 심장, 신장 등 생명 유지와 관련된 주요 장기가 손상돼 급성신부전, 뇌졸중, 심부전 등 생명을 위협하는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기존에는 혈장교환술과 혈장주입술 등 증상 완화 및 합병증 관리를 위한 치료만이 가능했으나, 질환의 근본 원인인 보체에 직접 작용하는 솔리리스®가 등장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해졌다.

이번 급여 결정은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네 건의 전향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네 차례의 전향적 단일군 연구에서 26주 간 솔리리스®를 투여한 결과, 모든 연구에서 평균 혈소판 수치가 임상 시작 후 빠르게 증가하며 정상 범위를 유지했다.

특히 18세 이상 성인 및 청소년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2년 간 솔리리스® 치료를 지속한 결과, 88% 이상의 환자들이 정상 혈소판 수치와 세포의 손상여부 평가 지표인 LDH(Lactate Dehydrogenase) 수치가 정상 범위를 유지하며 보체 매개성 혈전성 미세혈관증 발생 위험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일 이내의 조기에 치료한 환자군에서 신장 사구체 여과율이 유의하게 향상돼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알렉시온 파마 코리아 박영애 대표이사는 솔리리스®의 이번 급여 적용에 대해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은 기존에 치료제 자체가 전무했던 만큼 국내 환자들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알렉시온은 선구적인 바이오 제약 기업으로서 치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희귀질환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해 극적인 치료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솔리리스®의 비정형 용혈성 요독 증후군 치료에 대한 용법 및 용량은 만 18세 이상의 환자일 경우, 첫 4주간은 매 7일마다 900mg 투여하고, 5주차에 1,200mg, 이후 2주마다 1,200mg을 투여한다. 만 18세 미만 환자일 경우, 체중에 따른 별개 일정으로 투여한다. 


솔리리스(Soliris) ®에 대해

솔리리스®(Soliris, 성분명: 에쿨리주맙)는 C5 단백질과 결합해 신경계말단에서 일어나는 보체연쇄반응을 억제하는 혁신적인 보체억제제로,  인체면역계의 구성요소인 보체의 제어되지 않는 활동으로 발생하는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PNH), 비정형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치료에 사용된다. 


                           [ 솔리리스®국내 허가사항 ]

제품명

솔리리스주(Soliris)

성분명

에쿨리주맙(Eculizumab)

분량/단위

300mg / 30mL

허가사항

1)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PNH: ParoxysmallNocturnalHemoglobinuria)

  2010 1 22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용혈을 감소시키기 위한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PNH) 치료

  수혈이력과 관계없이, 높은 질병활성을 의미하는 임상증상이 있는 환자의 용혈에 임상적 이익이 확립되었다.

 

2) 비정형용혈성요독증후군(aHUS:atypicalHemolyticUremicSyndrome)

  2016 318 적응증 추가

  보체매개성혈전성미세혈관병증을 억제하기 위한 비정형용혈성요독증후군(aHUS) 환자의 치료

 

     사용제한

시가(Shiga) 톡신생성대장균에 의한 용혈성요독증후군(STEC-HUS) 환자대상의 적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용법용량

1)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PNH)

  4주간은 7일마다 600mg 투여한다.

  네번째 용량투여 7 후에 다섯번째 용량으로 900mg 투여하고,

  후부터는 14일마다 900mg 투여한다.

 

2) 비정형용혈성요독증후군(aHUS)

  4주간은 7일마다 900mg 투여한다.

  네번째 용량투여 7 후에 다섯번째 용량으로 1200mg 투여하고,

  후부터는 14일마다 1200mg 투여한다.

18 미만의 환자일 경우, 체중에 따라 다음의 일정으로 투여한다.

약은 권장투여량과 일정에 맞게 투여, 혹은 예정된 일정의 2일전/후로 투여되어야 한다.


솔리리스®는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의 국가에서 세계최초이자 유일한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및 비정형용혈성요독증후군 치료제로 승인받았으며, 유럽에서 항콜린수용체 항체양성소견을 보이는 전신성중증근무력증(gMG) 성인환자의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제로, 미국에서 항콜린수용체항체 양성소견을 보이는 전신성중증근무력증(gMG) 성인환자의 치료제로 승인된바 있다. 일본에서는 항콜린수용체항체 양성이며, 고용량정맥주사용 면역글로불린 치료 혹은 혈장분리교환술(PLEX)로 증상조절이 어려운 전신성중증근무력증(gMG) 환자의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솔리리스®는 시가톡신(Shiga-toxin) 생성대장균에 의한 용혈성요독증후군(STEC-HUS) 환자대상으로는 사용을 제한한다.

또한 솔리리스®는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의 국가에서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환자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Orphan Drug Designation)으로 지정됐으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비정형용혈성요독증후군과 중증근무력증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 일본에서도 불응성전신성중증근무력증(gMG) 환자의 치료제로서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알렉시온은 혁신적보체억제제인솔리리스®의 개발로 약물연구개발분야의 최고 영예인 프리갈리엥(Prix Galien)상을 2008년 미국 프리갈리엥 ‘최고의 바이오기술 의약품(Best Biotechnology Product)’ 부문과 2009년 프랑스 프리갈리엥 ‘희귀질환의약품(Rare Disease Treatment)’ 부문에서 각각 수상했다.

솔리리스®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과 중대한 수막구균감염 위험성에 대한 정보는 www.soliris.net에서 제공되는 처방정보(Full Prescribing Information)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에관한세부사항(약제)」고시개정안, 보건복지부고시제 2018-115호 (2018-06-20)
2 식품의약품안전처, 온라인의약도서관, 의약품상세정보, 솔리리스주 (Accessed June 4, 2018 at http://drug.mfds.go.kr/html/bxsSearchDrugProduct.jsp?item_Seq=201000790)
3 Mechanism of Action, Soliris® (Accessed June 4, 2018 athttp://soliris.net/ahus-physician/mechanism-of-action/)
4 Laurence J.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aHUS): making the diagnosis. ClinAdvHematolOncol. 2012;10(17):1-12.
5 Loirat C, Noris M, Fremaux-Bacchi V, Chantal; Noris, M; Fremeaux-Bacchi, V (2008)."Complement and the atypical hemolytic uremia syndrome in children".PediatrNephrol 23 (11): 1957–1972
6 Sellier-Leclerc A-L, Frémeaux-Bacchi V, Dragon-Durey MA, et al; French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Differential impact of complement mutations on clinical characteristics in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J Am SocNephrol. 2007;18:2392-2400.
7 Clinical Trial Results(Hematologic Outcomes), Soliris® (Accessed June 7, 2018 at http://soliris.net/ahus-physician/mechanism-of-action/clinical-trial-results/hematologic-outcomes/)
8 Johan VW et al. J Nephrol 2017 Feb;30(1):127-134
9 Campistol JM, Arias M, Ariceta G, et al. An update for atypical haemolyticuraemic syndrome: diagnosis and treatment. Nefrologia. 2013 Jan 18;33(1):27-45.
10 Noris M, Mescia F, Remuzzi G. STEC-HUS, atypical HUS and TTP are all diseases of complement activation. Nat Rev D Nephrol. 2012;8:622-633.
11 Caprioli J, Noris M, Brioschi S, et al; for the International Registry of Recurrent and Familial HUS/TTP. Genetics of HUS: the impact of MCP, CFH, and IF mutations on clinical presentation, response to treatment, and outcome. Blood. 2006;108:1267-1279
12 Hirt-Minkowski P, Dickenmann M, Schifferli JA.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update on the complement system and what is new. Nephron ClinPract. 2010;114:c219-c235.
13 Noris M, Caprioli J, Bresin E, et al. Relative Role of genetic complement abnormalities in sporadic and familial aHUS and their impact on clinical phenotype.Clin J Am SocNephrol. 2010;5:1844-59.
14 Noris M, Remuzzi G. Managing and preventing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recurrence after kidney transplantation.CurrOpinNephrolHypertens. 2013 Nov;22(6):704-12.
15 Bresin E, et al. Combined Complement Gene Mutations in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Influence Clinical Phenotype. J Am SocNephrol. 2013;24: 475-486.
16 Hill A, Richards SJ, Hillmen P. Recent developments in the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Br J Haematol. 2007 May;137(3):181-92.
17 Hillmen P, Lewis SM, Bessler M, et al. Natural history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NEngl J Med. 1995 Nov 9;333(19):1253-8.
18 Socié G, Mary JY, de Gramont A, et al. 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 long-term follow-up and prognostic factors. Lancet. 1996;348:573-577.
19 Hill A, Kelly RJ, Hillmen P. Thrombosis in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Blood. 2013;121:4985-4996.
20 Nishimura J, Kanakura Y, Ware RE, et al. Clinical course and flow cytometric analysis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Medicine (Baltimore) 2004 May;83(3):193-207.
21 Weitz I, Meyers G, Lamy T, et al. Cross-sectional validation study of patient-reported outcomes in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 Intern Med J. 2013;43:298-307.
22 Parker C, Omine M, Richards S,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Blood. 2005 Dec 1;106(12):3699-709.
23 Hillmen P, Muus P, Duhrsen U, et al. Effect of the complement inhibitor eculizumab on thromboembolism in patients with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Blood. 2007 Dec 1;110(12):4123-8.
24 Wang H, Chuhjo T, Yasue S,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a minor population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type cells in bone marrow failure syndrome. Blood. 2002;100 (12):3897-3902.
25 Iwanga M, Furukawa K, Amenomori T, et al. 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 clones in patients with myelodysplastic syndromes. Br J Haematol. 1998;102(2):465-474.
26 Maciejewski JP, Rivera C, Kook H, et al. Relationship between bone marrow failure syndromes and the presence of glycophosphatidyl inositol-anchored protein-deficient clones. Br J Haematol. 2001;115:1015-1022.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