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 처럼 되고 싶나?
그의 이야기는 신화적 수준이다. 출간하자마자 아마존이나 뉴욕 타임지에서 판매 1위를 기록한 책이다.
핵심은 한 가지 중요한 일 찾는 것이 올바른 방법인건 알겠는데 그걸 ‘어떻게’ 찾느냐는 것이다.
일단 One thing을 찾는 것을 ‘당신의 One thing’을 만들고 그 ‘One thing’을 찾기 위한 핵심은 ‘나머지 모든 것들을 하기 쉽게 만드는’ 그리고, ‘나머지 모든 일들을 할 필요조차 없게 만드는’ 그 하나가 무엇인지를 스스로에게 묻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빌 게이츠 성공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단 하나’의 원칙과 목표를 세우고 모든 열정을 집중시키는 것이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주장한 Simplicity를 넘어서는 개념이다.
단순함을 넘어 다른 모든 것을 버리고 딱 한 가지만 하라는 극단적인 주장이다.
‘One thing’은 누구에게나 어렵지 않게 실행할 수 있는 전략이면서도 가장 효율적이다.
세상에 모든 사람에겐 하루 24시간 시간이 주어지지만 어떤 사람은 위대한 일을 해내고 어떤 사람은 실패하고 뒤쳐진다.
우리가 쓸 수 있는 에너지가 한정돼 있기 때문에 나누면 크기가 줄어들고 하나에 에너지를 쏟아 부으면 그대로 하나이다. 아주 쉽고 단순하지만 사람들은 에너지 크기를 늘리려고 할뿐 에너지를 어떻게 투입해야 하는지 고민을 하지 않는다.
빌 게이츠가 일에서 성공한 것은 한 가지에 미쳐 그 일에 집중 했고 일과 삶의 균형과 같은 수많은 사람들이 소중하게 여기는 가치를 성공의 적이라고 까지 표현했다.
‘One thing’과 ‘Simplicity’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기본적으로는 같고 서로 닮은 개념이다. 하지만 ‘One thing’과 ‘Simplicity’는 이슈에 접근하는 방식이 다르다.
즉, 단순화 작업은 결국 하나의 무엇을 찾아내는 ‘One thing’으로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One thing’ 성공을 위한 3가지 약속
1. 전문가의 길을 걸어라
어떤 분야의 최고가 되는 것이 성공의 핵심이다. 중요한건 한 분야라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은 한정돼 있으니 한 분야에 쏟아야 한다.
2.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 이동해라
도전이라는 말을 쓰기 좋아한다. 항상 최선을 다한다. 하지만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 최선을 다하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 그게 바로 목적의식이다. 목적의식을 가지면 타고난 성취의 한계를 뛰어 넘으려는 강력한 동기를 갖게 된다.
3. 책임감을 갖고 살아라.
책임을 지겠다는 자세로 일을 하면 현실과 맞서 싸우며 해결책을 찾아야 하기에 스스로의 능력치를 지신이 생각한 것 보다 훨씬 더 높게 끌어 올릴 수 있다. 또 자신이 도움 받을 수 있는 스승이나 코치를 찾기 위해 스스로 적극적으로 노력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