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2 (화)

  • 구름조금동두천 10.1℃
  • 구름조금강릉 6.6℃
  • 서울 8.5℃
  • 흐림대전 8.1℃
  • 흐림대구 10.0℃
  • 구름많음울산 8.6℃
  • 흐림광주 6.9℃
  • 구름많음부산 9.9℃
  • 흐림고창 5.3℃
  • 흐림제주 10.0℃
  • 구름많음강화 8.4℃
  • 흐림보은 6.6℃
  • 흐림금산 5.1℃
  • 흐림강진군 7.4℃
  • 흐림경주시 7.7℃
  • 흐림거제 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타시그나, 다사티닙 대비 중증 이상 부작용 발생 유의하게 낮아

‘International Journal of Hematology’지에 게재

국내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 201명의 실제 임상 데이터 기반 연구 결과
3/4등급 부작용 다사티닙 복용군 54.3%, 
타시그나 복용군 21.7%로 2배 이상 낮게 나타나

국내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2세대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Tyrosine Kinase Inhibitors)인 타시그나(성분명: 닐로티닙)와 다사티닙 복용 시 발생하는 부작용에 대한 실제 임상 데이터를 비교한 연구 결과, 타시그나의 중증 이상 등급 부작용의 발생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1차 혹은 2차 치료제로 타시그나 혹은 다사티닙을 복용한 201명(타시그나: 120명, 다사티닙:81명)의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나타난 부작용을 후향적으로 분석한 결과다. 이 연구 결과는 작년 미국 혈액학회(ASH)에서 발표되었으며, 지난 4월 일본혈액학회의 영문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Hematology’지에 실렸다.   

타시그나 복용군과 다사티닙 복용군을 각각 36.9개월, 37.2개월의 중앙값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 전반적인 부작용 발생률은 두 치료제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다사티닙 복용군에서 중증 이상인 3/4등급 부작용이 2배 이상 발생했다. 다사티닙 복용군에서는 3/4등급 부작용이 54%, 타시그나 복용군에서는 22%의 환자에게서 나타났다. 또한 다사티닙군에서는 부작용으로 인한 용량 감량과 약물 중단이 타시그나군 보다 더욱 빈번하게 나타났다.1

전체 201명의 환자 중 59명(29%)의 환자가 약물 치료를 중단했으며 그 중 부작용으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47명(23%)이었다. 다사티닙 복용군 중 28명(35%, n=81)에게 흉막삼출증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절반인 14명의 환자가 치료를 중단했다. 반면 타시그나 복용군에서는 6명(5%, n=120) 에게서 뇌졸중,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말초동맥폐색질환이 발생했고, 이 중 1명만이 말초동맥폐색질환으로 치료를 중단했다.1 또한 타시그나가 다사티닙보다 1차 치료와 2차 치료에서 무사고 생존 기간(EFS, Event-Free Survival)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1

한편 연구 대상자 중 타시그나를 1차 치료제로 복용한 환자의 75%(n=51/68)와 2차 치료제로 복용한 85%(n=44/52)가 주요분자생물학적 반응 (MMR, major molecular response, BCR-ABL≤0.1%)을 달성했으며, 다사티닙을 1차 치료제로 복용한 68%(n=25/37)와 2차 치료제로 복용한 70%(n=31/44)가 MMR을 달성했다.1

TKI의 도입으로 만성골수성백혈병이 관리할 수 있는 만성질환이 되며 , 장기간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만큼 치료제를 결정할 때 약제의 효과와 더불어 부작용, 기저 질환, 약물 순응도, 예후 인자, 삶의 질 등 다양한 요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1, 



타시그나(성분명: 닐로티닙)에 대하여


타시그나는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암 유전자(BCR-ABL) 단백질의 티로신 키나아제 영역의 특정 부위에 결합하는 표적치료제다. 타시그나는 새로 진단된 만성기의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Ph+ CML) 성인 환자의 1차 치료 및 이매티닙을 포함하는 선행요법에 저항성이나 불내성을 보이는 만성기 또는 가속기 Ph+ CML 환자의 치료에 사용한다.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등에서 성인 Ph+ CML 환자의 1차 치료제로 승인 받았으며, 현재 전세계 약 129개 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References
1  Suh KJ et al. Analysis of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dasatinib and nilotinib treatments in chronic-phase chronic myeloid leukemia patients outside clinical trials. Int J Hematol 2017 Apr 4
2  Timothy P. et al. Moving treatment-free remission into mainstream clinical practice in CML. Blood 2016; 128(1) 17-23
3  만성골수성백혈병 이해하기 100문 100답 p.61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