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흐림동두천 30.3℃
  • 흐림강릉 30.2℃
  • 흐림서울 31.0℃
  • 흐림대전 28.3℃
  • 흐림대구 25.9℃
  • 흐림울산 23.5℃
  • 흐림광주 23.1℃
  • 흐림부산 23.2℃
  • 흐림고창 24.0℃
  • 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6.9℃
  • 흐림보은 26.7℃
  • 흐림금산 26.6℃
  • 흐림강진군 20.7℃
  • 흐림경주시 26.2℃
  • 흐림거제 22.2℃
기상청 제공

ISSUE

‘연 2회 투여’로 효과적인 LDL-C 감소 확인, 한국노바티스 siRNA 치료제 ‘렉비오’, 국내 허가

● 국내에서 처음 허가 받은 (First-in-class) siRNA 치료제 렉비오1,2, 허가 임상에서 연 2회 투여로 위약 대비 LDL-C 최대 52% 감소3

 ORION-8 연장 연구 통해 최대 6.8년 렉비오 투여한 환자군에서 장기 안전성 프로파일 확인4

 의료진 직접 투여로 자가 주사 두려움 및 불편함 적어2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 6 20, 자사의 siRNA 치료제 렉비오(성분명 인클리시란나트륨)가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형접합 가족형 및 비가족형) 및 혼합형 이상지질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식이요법에 대한 보조요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2

렉비오는 국내에서 처음 허가 받은(First-in-class) siRNA 제제다.1 체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siRNA를 활용해 LDL-콜레스테롤(이하 LDL-C)을 높이는 PCSK9 단백질 생성을 억제하여, 혈액내 LDL-C를 감소시킨다.5,6,7,8,9 의료진이 연 2회 직접 주사하므로, 자가 주사의 두려움과 불편함이 적다.2,10,11

이번 국내 허가는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ASCVD) 또는 ASCVD와 동등한 위험성이 있거나 이형접합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HeFH)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렉비오의 임상 3상인 ORION-9, ORION-10, ORION-11을 기반으로 이뤄졌다.2,3,12 ORION-9, ORION-10, ORION-11 임상은 렉비오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한 이중맹검, 무작위, 위약 대조 임상이다.3,12 연구 510일차 시점에 렉비오 투여군의 LDL-C는 위약군 대비 각각 47.9%, 52.3%, 49.9% 감소했다(P<0.001).3,12 세 임상 모두에서 렉비오 투여군과 위약군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12

 

한국인이 24% 포함된 아시아 환자 대상 임상 ORION-18에서도 연구 330일차에 렉비오 투여군은 위약군 대비 57.17% LDL-C 감소효과를 보였다.2,13

 

또한 렉비오는 임상에서 최대 6.8년 동안 렉비오를 투여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LDL-C 감소와 양호한 장기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였다.4 ORION-8 ASCVD ASCVD 동등 위험성이 있는 환자 또는 HeFH 환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2(ORION-3), 임상 3(ORION-9, ORION-10, ORION-11)의 다기관 연장 연구다.4 이 연구에 참여한 렉비오 투여군의 78.4%가 목표 LDL-C 수치를 달성했으며(95% CI: 76.8, 80.0), 평균적으로 49.4% LDL-C 감소 효과를 보였다. 새로운 안전성 프로파일은 관찰되지 않았다.4

 

한국노바티스 심혈관 및 척수성근위축증 사업부 조연진 전무는렉비오는 CV 계열에서 전례없는 siRNA 제제로서 연 2회 투여로 LDL-C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추가 LDL-C 관리가 필요한 ASCVD 환자의 약 75%가 목표 LDL-C 수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15 현실적으로 LDL-C를 꾸준히 관리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에게 렉비오가 혁신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며노바티스는 앞으로도 환자들의 생명을 연장하고 삶을 질을 높이기 위해 치료제 정의를 새롭게 수립한다는 사명 아래, ASCVD 환자들의 건강한 삶을 제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심혈관질환의 재발 및 사망을 막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LDL-C 치료가 중요하다.17,18 LDL-C는 심근경색, 관상동맥증후군, 뇌경색 등 ASCVD의 주요 위험인자이지만,14 국내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약 78% 1년내 LDL-C 목표 수치를 달성하지 못하며,15 이 경우 전체 심혈관 질환은 49% 더 많이 발생한다.  심근경색을 경험한 환자는 이후 심장질환이 재발할 위험이 5~7배 높지만,17 LDL-C 39mg/dL 낮추면 주요 심혈관 사건 위험을 22% 낮출 수 있다.18

 



References

1. Lamb YN. Inclisiran: First Approval. Drugs. 2021 Feb;81(3):389-395. doi: 10.1007/s40265-021-01473-6

2. [렉비오프리필드시린지(인클리시란나트륨)]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nedrug.mfds.go.kr)

3. Ray KK, Wright RS, Kallend D, et al; ORION-10 and ORION-11 Investigators. N Engl J Med. 2020;382(16):1507-1519. doi:10.1056/NEJMoa1912387

4. Wright RS, Raal FJ, Koenig W, et al.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ugust 25-28, 2023; Amsterdam, Netherlands. (ORION-8)

5. Nordestgaard BG, et al. Advances in lipid-lowering therapy through gene-silencing technologies. Nat Rev Cardiol. 2018;15:261–272.

6. Fitzgerald K, et al. A Highly Durable RNAi Therapeutic Inhibitor of PCSK9. N Engl J Med. 2017;376:41–51.

7. Khvorova A, et al. Oligonucleotide Therapeutics — A New Class of Cholesterol-Lowering Drugs. N Engl J Med. 2017;376:4-7

8. Steinberg et al. Inhibition of PCSK9: a powerful weapon for achieving ideal LDL cholesterol levels. Proc Natl Acad Sci U S A. 2009 Jun 16;106(24):9546-7. doi: 10.1073/pnas.0904560106.

9. Goldstein et al 2009.

10. Ray KK, et al.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of inclisiran in patients with high cardiovascular risk and elevated LDL cholesterol (ORION-3).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23;11(2):109–119

11. Wright RS, et al. Safety and Tolerability of Inclisiran for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 in 7 Clinical Trials. J Am Coll Cardiol. 2023;82(24):2251–2261

12. Raal FJ, Kallend D, Ray KK, et al; ORION-9 Investigators. N Engl J Med. 2020; 382(16):1520-1530. doi:10.1056/NEJMoa1913805

13. Huo, Y, Lesogor, A, Lee, C. et al. ORION-18. JACC Asia. 2023 Nov 14;4(2):123-134. doi: 10.1016/j.jacasi.2023.09.006.

14. Wilkinson, Michael J, et al. “Evolving Management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 Personalized Approach to Preventing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cross the Risk Continuum.”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vol. 12, no. 11, 6 June 2023, https://doi.org/10.1161/jaha.122.028892.

15. Kim JH, et al. Target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Secondary Prevention for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 Korean Nationwide Cohort Study. KAMIR-NIH J Clin Med. 2022 May 8;11(9):2650.

16. Myers KD, Wilemon KA, Ahmed CD, et al. Higher cardiovascular event rates for high-risk Americans who do not meet 2018 multidisciplinary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blood cholesterol. Journal of Clinical Lipidology Volume 17, Issue 4, Supplement, July–August 2023, Page e5

17. Rosenblit PD et al., Extreme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SCVD) Risk Recognition. Curr Diab Rep. 2019;19:61;

18. Baigent C, Blackwell L, et al. Lancet. 2010;376(9753):1670-1681. doi:10.1016/S0140-6736(10)61350-5

19.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Leqvio. Last updated July 2023. Accessed June 7, 2024. https://www.accessdata.fda.gov/drugsatfda_docs/label/2023/214012s009lbl.pdf.

20. European Medicines Agency (EMA). Leqvio. Last updated December 2020. Accessed June 7, 2024. https://www.ema.europa.eu/en/documents/overview/leqvio-epar-medicine-overview_en.pdf

21. National Medical Products Administration (NMPA). August 23 Drug Approval Information. Accessed June 7, 2024. https://www.nmpa.gov.cn/zwfw/sdxx/sdxxyp/yppjfb/20230824155809182.html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