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의 시선으로’ 만성콩팥병 환자 일상 속 제약·심리적 부담 이해하기 위한 노력 일환 ● 전 세계 베링거인겔하임 임직원 24시간 동시 체험… 한국에서는 임직원 8명 참여 ● 환자의 삶에 몰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모바일 앱과 시뮬레이션 키트로 복약, 식단, 투석 등 실시간 미션 수행 한국베링거인겔하임(사장 안나마리아 보이)이 지난 11일, 임직원을 대상으로 만성콩팥병 환자의 일상적 어려움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는 베링거인겔하임이 매년 전 세계 지사에서 동시에 진행하는 글로벌 프로그램으로, 올해는 만성콩팥병 환자 체험을 주제로 구성됐다.[1],[2] 한국에서는 임직원 8명이 참여해 하루 동안 만성콩팥병 환자의 삶을 경험했다. 환자 몰입형 체험 프로그램 ‘하루에 담긴 환자의 삶(A life in a day)‘과의 협업을 통해 마련된 이번 활동은 질환 정보의 전달을 넘어서 만성콩팥병 환자가 일상에서 겪는 신체적·정서적·사회적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i,ii 이를 통해 환자의 고충을 느끼고 일상을 깊이 있게 이해하며, 실제 환자 관점에서 치료와 소통 방식을 고민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i,ii 만성콩팥병은 콩팥 기능의 저하나 손상이
● 시카고에서 6 일간 3건의 포스터 발표, PDO 뱅킹 및AI 타깃 발굴 플랫폼 소개 ● “EGFR저해제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글로벌 제약사와 협업 논의 기대”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 이진근)는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비소세포폐암의 신규 치료 타깃인 ‘GBC-11004’를처음으로 공개하고, 이를 포함한 자사의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을 총3건의 포스터를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현장에서개별 부스를 운영하며 업계 최대 규모의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 뱅킹과 AI 기반 타깃 발굴 플랫폼을 선보이고,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업들과의 협력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먼저 포스터 발표를 통해 새롭게 공개하는 ‘GBC-11004’는 EGFR 치료제 내성 비소세포폐암에서 과발현되는 신규 키나아제로, 크리스퍼(CRISPR) 기반의 유전자 편집과 PDO기반 약물평가를 통해 치료 타깃으로서의 유효성을 입증했다. 앞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자체 구축한 PDO 빅데이터와 AI 기반 타깃 발굴 플랫폼을 활용해, 기존의 차세대 염기
유유제약이미국 스타트업 투자를 필두로 지속적인 성장세가 전망되는 반려동물 산업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유유제약은동물용 신약 개발기업인 VETMAB BIOSCIENCES와 반려견 전용 커뮤니티서비스인 DOG PPL에 총 12억 4천만원규모의 투자를 진행했다. VETmAb은 개와 고양이를 위한 단일클론항체(mAb) 치료제를 개발하는수의학 바이오제약 회사로 동물 건강 분야에서 수십 년간 경험을 쌓은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2년설립되어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두고 있다. VETmAb은 인간 의학의 발전을 수의학에 적용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인간에서 검증된 타겟을 수의학적으로 적용하여 기술적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VETmAb의 CEO 데니스 비버스(Denise Bevers)는 나스닥 상장 반려동물의약품 회사인 Kindred Biosciences를 공동 설립한 바 있으며, 이 회사는 2021년 엘랑코(Elanco)에 4억 4천만 달러에 인수된 바 있다. DOG PPL은 2021년 LA에설립된 반려견 전용 멤버십 커뮤니티 서비스로, 회원들은 월간 또는 연간 회원비를 지불하고 애견 공원, 카페, 이벤트, 바, 라운지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 ‘건강한 시작, 희망찬 미래’… 세계 보건의 날 2025 주제 맞춰 글로벌 모자보건 캠페인 전개 ● AI 기술 반영된 휴대용 초음파 솔루션 ‘루미파이’ 통해 글로벌 보건 불균형 해소 기대 매년 4월 7일은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설립을 기념하는 ‘세계 보건의 날(World Health Day)’로, 전 세계가 함께 보건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행동에 나서는 뜻깊은 날이다. WHO는 2025년 세계 보건의 날을 맞아 ‘건강한 시작, 희망찬 미래(HealthBeginnings, Hopeful Futures)’를 주제로,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증진을 위한 글로벌 캠페인을 연중 전개할 예정이다. 헬스 테크놀로지 분야 선도 기업 필립스는 생애 초기부터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AI 기반의 조기 진단 솔루션, 맞춤형 치료 기술, 연결된 의료 시스템을 통해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특히,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에 기여해 더 많은 산모와 아기가 건강한 삶을 영위하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필립스는 ‘더 많은 사람들을 위한 더 나은 헬스케어 제공(Better care for
●임핀지, 백금 기반 화학방사선 요법(CRT) 이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제한 병기 소세포폐암(LS-SCLC) 성인 환자의 치료에 대한 적응증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2 ● 임핀지 단독요법, 위약 대비 전체생존기간 약 1.7배 개선…[1] 30여 년 만에 제한 병기 소세포폐암 치료 패러다임 변화 예상[2],[3]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전세환)는 4일, 자사의 면역항암제 임핀지(성분명: 더발루맙)가 식품의약품안천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제한 병기 소세포폐암 치료에 대한 적응증을 승인받았다고 7일 밝혔다.2 이번 적응증 승인으로 임핀지는 백금 기반 화학방사선 요법(CRT) 이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제한 병기 소세포폐암(LS-SCLC) 환자의 치료를 위해 단독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2 이에 따라 임핀지는 국내 제한 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를 위한 최초이자 유일한† 면역항암제로 자리 잡았다.1 소세포폐암은 진단되는 전체 폐암의 15~25%를 차지하며,[1] 진단 후 5년 시점에 15~30%의 환자가 생존할 정도로 예후가 좋지 않은 공격적인 암이다.[2]제한 병기란 종양의 범위가 종격동을 포함해 폐의 한쪽에만 국한된 경우를 의미하며,[3]약 30%의
● 만 2세에서 18세 미만ILAR 진단기준에부합하는 소아 특발성관절염 환자로 다관절형관절염, 확장성 소수관절염, 또는 건선성관절염에 해당하고 1종 이상의생물학적 제제에 불충분반응 또는 부작용등으로 치료 중단한환자에서 젤잔즈®정 5mg 및 젤잔즈®시럽 1mg/mL 급여 적용1 ● 류마티스관절염 치료를 위한 국내 최초의 경구용 JAK 억제제[1],[2],[3],[4],[5],[6]로 소아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 향상 기대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3월 25일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국제류마티스학회(ILAR, International League ofAssociations for Rheumatology)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소아 특발성 관절염 환자로 다관절형 관절염(2-17세),확장성 소수 관절염(2-17세),또는 건선성관절염(2-17세)에 해당하고 1종 이상의 생물학적 제제에불충분 반응 또는 부작용 등으로 치료 중단한 환자를 대상으로 자사의경구용 JAK 억제제‘젤잔즈®정 5mg (성분명:tofacitinib citrate)’ 및‘젤잔즈®시럽 1mg/mL'이4월 1일부터건강보험 급여를받게 됐다1고 7일 밝혔다. 젤잔즈®는 류마티스관절염 치료를 위한 최
● 운동중에도 가민스마트워치와 사이클링컴퓨터에서 덱스콤커넥트 IQ 앱 통해간편히 덱스콤CGM 데이터 확인 ● 실시간덱스콤 CGM 데이터 제공으로건강 효율성향상 및사용자 친화적인터페이스 구성 ● 양사기술 협력으로아시아태평양 시장에서건강 관리기술 확장촉진 스마트 기기 시장의 강자 가민(www.garmin.co.kr)이 글로벌 헬스케어 기술 리더인 덱스콤(Dexcom)과의 협력을 통해 덱스콤 커넥트 IQ 앱을 국내에 정식 출시했다. 가민의 커넥트 IQ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덱스콤 커넥트IQ 앱1은 실시간으로 혈당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덱스콤G7의 연속혈당모니터링장치(CGM)와도 호환된다.이번 협력으로 출시되는 신규 앱 솔루션은 덱스콤의 혁신적인 혈당 모니터링 기술력을 통해 가민 유저들이 실시간으로 혈당 수치를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덱스콤 커넥트 IQ를 사용하는 가민 유저는 스마트워치 및 사이클링 컴퓨터3에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혈당 수치를 확인할 수 있어 한층 더 편리하게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다. 기존 가민 유저들은 활동 중에 스마트폰 4, 5을 꺼내지 않고도 덱스콤G7데이터를 가민 제품에서 바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김철호 교수팀은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HNC)에서 ‘TBK1 (TANK-binding kinase 1)’이라는 단백질이 암세포의 생존과 항암제 저항성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중요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두경부암은 두경부, 즉 뇌 아래부터 혀, 인두, 후두 등 가슴 윗부분 부위에 생긴 암을 일컫는다. 국내에서는 매년 수천 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고 있고, 높은 재발률과 약물 저항성으로 인해 치료가 어려운 악성 종양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TBK1’ 단백질이 암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자가포식(autophagy)'과 '스트레스 과립(stress granule, SG)'의 형성을 유도하여 암세포의 생존력을 높이고 시스플라틴 같은 항암제 저항성을 키운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 자가포식은 세포가 손상된 부분을 스스로 제거하는 과정이며, 스트레스 과립은 중요한 유전 정보를 보호하는 방어막 역할을 의미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TBK1’이 단순히 이 두 과정을 독립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이 아니라 자가포식의 후반부 과정인 '오토파고좀-리소좀 융합 (autophagosome-lysosome f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