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 유연한 콜센터 내 고객 전화 문의 응대 업무 지원고객사별 차별화된 브랜드 목소리 및 스킬 선택 제공 가능 24시간 인공지능 고객응대 서비스 통한 비용절감 및 업무 효율성 향상 효과 기대 셀바스 AI(www.selvasai.com KOSDAQ 108860)가 신규 AI 고객센터 ‘Selvy AI for Contact Center(selvy.ai/aicontactcenter)’를 공개했다. ‘Selvy AI for Contact Center(셀비 에이아이 컨택센터)’는 고객들의 제품 주문, 결제, 배송, 환불 등에 대한 주요 질의 대응뿐만 아니라 보험, 은행 등 완전판매 여부 확인을 위한 아웃바운드 전화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는 AI 고객센터다. 고객센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본적인 대화형 AI 기능을 기반으로 고객 특성에 따라 주문, 반품, 불완전판매 모니터링, 본인인증 등 고객사에 최적화된 다양한 특화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통합적인 관리 및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AI 고객센터 도입 후 신규 서비스가 출시될 경우 고객이 직접 언어모델에 새로운 내용을 즉시 추가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고, 사람처럼 자연스럽고 감정 표현이 가능한 차별화된
보다 정교한 치아교정 Digital Workflow 제공스마일 기능(In-face Visualization) 통해, 3D 치아 모델을 통합한 환자 사진으로 맞춤형 교정 상담 가능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에 새로운 인터페이스와 정교한 3D 컨트롤 기능으로, 완벽한 디지털 치료 계획 도출 인비절라인 코리아는 치아교정 시작부터 끝까지 환자별 맞춤형 디지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클린체크 소프트웨어(ClinCheck Software)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클린체크 프로 6.0 소프트웨어(ClinCheck Pro 6.0 Software)’를 11월 2일 국내 론칭했다고 밝혔다. 클린체크 소프트웨어는 인비절라인 치료계획을 위해 치과의사가 치아 움직임을 세밀하게 설계 및 계획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번에 업그레이드된 클린체크 프로 6.0 소프트웨어는 스마일 기능(In-face Visualization)을 탑재해, 환자의 웃는 모습과 3D 치아 모델을 통합하여 보다 정교한 환자 맞춤형 교정 상담에 도움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치과 병원에서 인비절라인 포토 업로더 어플리케이션으로 교정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웃는 얼굴 사진을 업로드하면, 의사
디지털 헬스케어, 영상진단 및 체외진단 부문 등 각 분야 첨단 기술 및 신제품 소개 포럼 이후 3일 간 ‘Shape 21 경험‘ 행사 진행, 참가자별 관심사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제공 및 지멘스 헬시니어스 전문가와의 1:1 상담과 신제품시연회 참가 기회 제공홈페이지 내 사전 등록 통해 참여 가능 지멘스헬시니어스 (https://www.siemens-healthineers.com/kr/)가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인사이트와 혁신 기술을 선보이는 ‘지멘스 헬시니어스 Shape 21 포럼‘을 11월 19일 개최한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이번 지멘스 헬시니어스 Shape 21 포럼은 유럽 기준 시17일에 진행되는 첫 포럼에 이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고객들을 위해 19일에 추가로 진행되는 것으로 전 세계의 저명한 의료진, 방사선학 및 연구 전문가, 헬스케어 산업 종사자를 연자로 초빙해 의료 서비스를 더욱 혁신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지멘스 헬시니어스만의 선도적인 아이디어가 공유될 예정이다. 특히, 저선량 CT 및 딥러닝 기술의 활용, 의료 서비스혁신을 위한 원격 로봇 공학 기술 등 다양한 영상진단 및 진단검사 부문의 첨단 기술과
- 필립스 중재시술 가이드 시스템 싱크비전 트레이닝 센터로 서울대학교병원 선정… 국내외 병원에 양질의 중재시술 교육 제공 목표- 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심혈관 시술 교육 환경 마련- 디지털 플랫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13개의 해외 병원과 협력 지원 ㈜필립스코리아 (대표: 김동희, www.philips.co.kr)는 11월 13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김연수)과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심혈관 시술 교육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심증,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다. 최근에는 이러한 심혈관질환 치료를 위해 수술 대신 최소침습적 치료법인 중재시술(인터벤션, Intervention) 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중재시술은 피부를 미세하게 절개한 후 가는 의료용 튜브인 카테터를 넣어 막힌 혈관 부위를 영상진단장비로 관찰하며 스텐트, 풍선 등의 도구로 혈관을 확장하는 방식이다. 특히, 심혈관 중재시술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인 심장과 연결된 혈관을 다루는 시술인 만큼 의료진의 숙련도와 전문성이 요구된다. 최근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필립스코리아와 서울대학교병원은 디지털 플랫폼
뷰노메드 패스GC AI™, 전향적 연구 데이터 기반 전문의 수준 위암 진단 정확도 입증6명의 숙련 병리 전문의 비교 연구에서 진단 시간 최대 58% 감소시켜 임상적 유용성 확인 주식회사 뷰노(대표 김현준)는 암 연구 학술지인 임상 암 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이하 CCR)에 자사의 위암병리 인공지능 솔루션 뷰노메드 패스GC AI™(VUNO Med®-PathGC AI™)에 대한 연구를 게재했다고 밝혔다. 뷰노의 병리 연구팀과 GC녹십자의료재단이 공동으로 진행한 해당 연구는 전향적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솔루션의 우수한 성능 및 정확도를 입증해 주목을 받았다. CCR은 약 127개 국가, 4만 7천여명의 회원을 보유하며 세계 3대 암학회로 꼽히는 미국 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가 발행하는 공식학술지로서 혁신적인 암 임상연구논문 혹은 중개연구논문들을 출간하고 있으며, 암 진단과 치료, 예후 예측 등에 대한 양질의 연구를 다룬다. 뷰노 병리 연구팀은 자사의 인공지능 기반 위암병리 솔루션 뷰노메드 패스GC AI™의 실제 의료 현장에서의 정확도와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인재 양성 및 국민건강 향상 위한 국내외 의료계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예정 지멘스 헬시니어스 (https://www.siemens-healthineers.com/kr/)가 11월 11일, 서울의과학연구소(Seoul Clinical Laboratories, SCL)와 산학 분야 전반에 걸친 유대강화를 위해‚ 진단검사 분야의 ‘공동 교육 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지멘스 헬시니어스와 서울의과학연구소는 상호 교육 인력 지원은 물론, 제품 교육및 진단검사 전반 교육 지원과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개발하며 상호간 우호 증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교류할 계획이다. 서울의과학연구소는 국내 최초의 검사 전문기관으로, 체계적인 정도관리 시스템과 지속적인 연구 기술력 향상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검사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300여 종의 최신 장비를 활용한 진단검사를 비롯해 기능의학, 분자진단, 병리검사 등 3,000여 개 검사 항목을 시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으며, 지난 3월에는 국내 검사 기관 최초의 교육 기관인 ‘SCL 아카데미‘를 설립하기도 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지멘스 헬시니어스는 코로나 검사 키트 개발 기술
프레제니우스메디칼케어코리아, 신장학에 대한 통합적인 학술 프로그램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해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투석전문기업인 프레제니우스메디칼케어코리아(대표이사 김희경)는 지난 11월 3일, 5일 양 일에 걸쳐 신장학에 대한 통합적인 학술 프로그램인 ‘2020 Virtual AREP(Advanced Renal Education Program)’을 개최했다. 만성콩팥병에 대한 최신 지견과 임상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기획된 ‘2020 Virtual AREP’은 국내 신장내과 의료진 및 투석전문 간호사 약 3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AREP(Advanced Renal Education Program)은 2009년부터 매해 진행되어 온 프레제니우스메디칼케어코리아의 대표적인 학술 프로그램이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상황에서 실제 투석 환자들이 필요로 하는 고려 사항을 비롯해 고품질(High-Quality) 혈액투석의 중요성을 짚어보고, 복막투석 환자의 보다 나은 임상적 이점을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이 마련되었다. 프레제니우스메디칼케어코리아의 AREP에 매년 참가한 한 의료전문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