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1일부터 특정 요건 만족하는 무증상 또는 경미한 증상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1차 치료제로 환자 본인 부담률 5% 적용[1]
● 자이티가®정에 대한 환자 치료 접근성 향상 기대
존슨앤드존슨의 제약부문 국내
법인인 ㈜한국얀센(대표이사
크리스찬 로드세스)은
자사의 전립선암 치료제
자이티가®정이 특정의 요건을
만족하는 환자에 대하여
오는 4월 1일부로 환자 본인
부담률이 5%인
완전 급여로 전환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고
제2025-88호로
고시한
‘암환자에게 처방∙투여하는 약제에 대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에 따라, 자이티가®정은 무증상 또는 경미한 증상의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mCRPC) 환자의 1차 치료제로 프레드니솔론과 병용 시 기존 30%(선별 급여)였던 환자 본인 부담률이 5%로 줄어든다.1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으로 ECOG 수행능력평가(PS:
Performance status)가 0 또는 1인 경우 및 통증이 없거나 경미하여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모두 만족하는 환자는 1차 치료제로 자이티가®정을 환자 본인 부담률 5%로 사용할 수 있다.1
이러한 자이티가®정의 급여 기준 변경은 항암화학요법 경험이 없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대상의 3상 임상연구(COU-AA-302)를 근거로 한다. 해당 연구에서 자이티가+프레드니손 병용투여군(자이티가®정 병용투여군)은 위약+프레드니손 병용투여군(위약군) 대비 우수한 임상적 이점을 확인했다.
항암화학요법 경험이 없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치료에서 자이티가®정의 효과를 연구한 COU-AA-302
임상연구 결과, 중앙값 27.1개월의 추적 관찰 이후, 영상학적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자이티가®정 병용투여군에서 16.5개월으로 위약군 8.2개월 대비 약 2배 가까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1] 중앙값 49.2개월의 추적 관찰기간 동안 자이티가®정 병용투여군의 전체생존기간(OS) 중앙값은 34.7개월로 위약군 30.3개월에 비해 4.4개월 연장되었다(HR= 0.81 [95% CI, 0.70~0.93]; p = 0.0033).3 자이티가®정 병용투여군에서 위약군 대비 더 많은 3등급 이상의 심장질환(8% 대비 4%), 고혈압(5% 대비 3%), 간효소 수치의 증가(6% 대비 <1%)가 보고되었으나 위약군에서 자이티가®정 병용투여군으로 전환 시 새로운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2]
서울아산병원 비뇨의학과 홍준혁 교수는 “자이티가®정은 의료 현장에서 전립선암 1차 치료제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는 약제이다. 이번 급여 기준 변경으로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줄어들어 의료진 입장에서 효과적인 치료 옵션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얀센 항암제 및 희귀질환 사업부 김연희 전무는 “무증상 또는 경미한 증상의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의 1차 치료제로서2019년 자이티가®정의 선별 급여 이후, ㈜한국얀센은 전립선암 치료 접근성 확대를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해왔다. 5년 만에 자이티가®정에 대한 본인 부담률이 낮아졌다는 소식을 전립선암 환자들과 의료진들에게 전할 수 있어 기쁘다. 앞으로도 ㈜한국얀센은 전립선암의 효과적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전했다.
자이티가®정은 기존 호르몬 치료제와 차별화된 기전으로 안드로겐(Androgen) 생성에 필요한
'CYP17'(Cytochrome P450 17A1) 효소 복합체를 억제해 고환, 부신, 전립선암 세포 3 가지의 안드로겐 생성경로를 차단한다.[3]
1 일 1 회 1000mg을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과 함께 경구 투여한다.[4]
자이티가®정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2012년 7월 이전에 도세탁셀을 포함한 화학요법을 받았던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치료제로 허가 받았다.[5]
이후
2015 년 6 월 무증상 또는 경미한 증상의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치료에 대한 적응증을 허가 받았으며,[6]
2018년 6월 호르몬 반응성 고위험 전이성 전립선암(high-risk
metastatic Hormone-Sensitive Prostate Cancer, mHSPC) 환자 치료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로 허가 받았다.4 자이티가®정은 2019년 5월부터 특정의 요건을 만족하는 무증상 또는 경미한 증상의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 환자의 1차 치료제로서 프레드니솔론과 병용투여 하는 경우 선별 급여를 적용 받아왔다.[7]
전립선암은 2022년 기준, 최근 5년 간 남성 암 유병자 수가 가장 많은 암으로 [8] 전립선암 발생자수는 지난 2012년 9,473명에서 2022년 20,754명으로 지난 10년간 2배 이상 발생률이 증가했다.[9]
보고에
따르면
전립선암 환자의 약 10~20%가 추적 관찰 약 5년 이내에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으로 진행되며,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진단 시점에 이미 골(뼈)로 전이는 84% 이상의 환자에서 확인되었다.[10]
한편,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은 전립선암이 뼈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상태에서, 혈중 테스토스테론 호르몬 수치를 낮춰도 암세포의 성장이 억제되지 않고 진행되는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의 생존 기간은 2~3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1] 병의 진행을 늦추고 생존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약제 및 치료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1] Rathkopf,
D.E., et al. Updated Interim Efficacy Analysis and Long-term Safety of
Abiraterone Acetate in 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Patients
Without Prior Chemotherapy (COU-AA-302). European Urology 2014;66(5):815-825. https://doi.org/10.1016/j.eururo.2014.02.056
[2] Ryan,
C.J., et al. Abiraterone acetate plus prednisone versus placebo plus prednisone
in chemotherapy-naive men with 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COU-AA-302): final overall survival analysis of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3 study. Lancet Oncol 2015;16(2):152-160. Published online: January 16, 2015. https://doi.org/10.1016/S1470-2045(14)71205-7
[3] Malikova, J., et al. CYP17A1 inhibitor abiraterone, an
anti-prostate cancer drug, also inhibits the 21-hydroxylase activity of
CYP21A2. The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2017;174:192-200.
https://doi.org/10.1016/j.jsbmb.2017.09.007
[4]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상세정보, 자이티가정500밀리그램(아비라테론아세테이트(미분화)).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1706992. Accessed in Mar, 2025.
[5]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상세정보, 자이티가정500밀리그램(아비라테론아세테이트(미분화)).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Cache?cacheSeq=201206078aupdateTs2025-02-18%2013:49:06.0b Accessed
in Mar, 2025.
[6] 식품의약안전처, 통계자료, 2015년 의약품허가보고서.
Accessed in Mar, 2025. Available at: https://mfds.go.kr/brd/m_386/view.do?seq=23096&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3
[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관소식, 공지사항, 암환자에게 처방·투여하는 약제에 대한 공고 개정안내, Available at: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02000100&brdScnBltNo=4&brdBltNo=7349#none. Accessed in Mar, 2025.
[8]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 (2022년 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 (2024.12). p.40.
Available at:
https://www.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720&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Accessed
in Mar, 2025.
[9] 중앙암등록본부, 암등록통계, 24개 암종/성별 암발생자수, 상대빈도, 조발생률, 연령표준화 발생률. Available
at: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sso=ok&returnurl=https%3A%2F%2Fkosis.kr%3A443%2FstatHtml%2FstatHtml.do%3Fconn_path%3DI2%26list_id%3D%26obj_var_id%3D%26seqNo%3D%26tblId%3DDT_117N_A00022%26vw_cd%3D%26itm_id%3D%26language%3Dkor%26lang_mode%3Dko%26orgId%3D117%26.
Accessed in Mar, 2025.
[10] Kirby,
M. et al. Characterising the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population: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11;65(11):1180-1192. https://doi.org/10.1111/j.1742-1241.2011.02799.x
[11]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암의 종류, 전립선암,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의 치료. Available at: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8/cancer/view.do?cancer_seq=4949&menu_seq=4965. Accessed in Mar,
2025.
[i]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고 제2025-88호. 암환자에게 처방·투여하는 약제에 대한 공고 개정안내. Available at: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30023010000&brdScnBltNo=4&brdBltNo=45642&pageIndex=1&pageIndex2=1
Accessed
in Mar,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