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슈그룹,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에서 벤타나 ALK-알레센자®로진단-치료 연계한 맞춤의료 구현에 박차- 알레센자®의 동반진단 검사법인 한국로슈진단㈜의 ‘벤타나 ALK’ 검사법, 3월 1일부터 보험급여 적용- 로슈 그룹 내에서 동반진단과 치료제 연계한 최초의 ‘맞춤의료’ 옵션 제공 통해 환자 맞춤형 ‘360도 폐암 케어’ 구현 예정 ㈜한국로슈(대표이사 닉 호리지)와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리처드 유)은 ㈜한국로슈의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알레센자®(Alecensa®, 성분명 알렉티닙)의 동반진단 검사법인 ‘벤타나 ALK 검사법(VENTANA anti-ALK (D5F3) CDx Assay)’에 3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다고 밝혔다. 벤타나 ALK 검사법은 면역조직화학 분석법을 통해 환자들의 비소세포성 폐암 조직에서 역형성 림프종 인산화효소(ALK, Anaplastic Lymphoma Kinase) 단백질을 검출하는 검사법으로, 2016년 최초 허가 이후 지난 2018년 8월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알레센자®의 동반진단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추가 획득했다. 벤타나 ALK 검사법은 기존의 형광제자리부합법(FISH, Fluor
-모유수유 배려 문화 확산 위해 자사 유축기 1,000대 후원 및모유수유 클래스 공동 진행-8월 세계모유수유주간, 10월 임산부의 날 기념공동 모유수유 캠페인 개최 합의 ㈜필립스코리아(대표 김동희, www.philips.co.kr)의 영국 프리미엄 육아용품 브랜드 필립스 아벤트가2월 27일 인구보건복지협회 서울지회(회장 황연옥)와 모유수유 실천을 장려하고 모유수유 배려 문화 확산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내용을 담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필립스 아벤트는 총 1억 5천만 원 상당의 자사 유축기 1,000대를 인구보건복지협회 서울지회에 후원하고, 임산부와 임신부부를 위한 모유수유 클래스를 협회와 공동 기획 및 운영하기로 했다. 필립스 아벤트와 함께하는 모유수유 클래스는 3월부터 연말까지, 총 56회에 걸쳐1,100여 명의 임산부 및 임신부부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필립스 아벤트와 인구보건복지협회 서울지회는8월 첫째 주 세계모유수유주간과 10월 10일 임산부의 날에 맞추어 모유수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조성하고 모유수유 배려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캠페인을 공동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인구보건복지협회 서울지회 황연옥 회장은 “모유수유의 여러
코센 자회사 유펙스메드㈜,다기능 내시경 수술기구 코센(009730)이 지분 100%를 인수한 의료기기 전문 기업 유펙스메드㈜가 혁신적 다기능 내시경 수술기구인 ‘원스텝 ESD 나이프(Onestep ESD Knife)’를 정식 출시했다고 2월 27일 밝혔다. 이는 인젝션 니들과 전기 나이프를 결합한 제품이다. 우리나라에서 위암과 대장암은 사망률 2, 3위를 기록할 정도로 흔한 질병이다. 따라서 정부 차원의 국가 암 검진 사업으로 중점 지원되고 있어 위암은 70%가 조기에 발견되어 내시경 치료가 2차급 병원 이상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내시경점막하박리술(ESD)은 조기 위암에 대처할 수 있는 완치적 치료 기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보고된 국내 연구 결과에 따르면 ESD를 통해 종양이 장기 성적에서 완전 절제된 경우 5년간 생존율이 100%에 이른다. 그러나 기존의 ESD는 수술 과정 중 빈번한 기구 교환으로 수술 시간 지체와 많은 불편이 있었다. 유펙스메드㈜의 원스텝 ESD 나이프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기존 제품과는 다르게 인젝션 니들과 전기 나이프를 하나로 결합했다. 기존 방법보다 수술 시간을 40% 이상 단축시킴과 동시에 환자의 고통을 줄여줄 수
- 심방세동 감지 가정용 혈압계 UA-767JP, 혈압측정 중 불규칙 맥파나 심방세동이 감지되면 IHB/AFib 표시부에 하트마크 표시- 1회 측정으로 심방세동 100% 감지 가능 보령A&D메디칼(대표 박인호, 이재춘)이 심방세동 감지 기능을 추가한 가정용 혈압계(UA-767JP)를 출시했다. 지난해 8월 가정용혈압계 UA-767S와 UA-767S-W 2종에 대해 심방세동 감지 기능을 추가해 출시한 데 이어, 보령A&D메디칼의 대표 가정용 혈압계인 UA-767JP에도 심방세동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며 ‘심방세동 기능 제품 라인업’을 확장했다.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이하 AFib)은 분당 400~600회 정도로 심장이 빠르게 뛰는 부정맥의 일종으로, 뇌졸중 또는 다른 심장 질환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심방세동은 일반적으로 나이에 따라 심방세동 발생률이 증가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심방세동 환자수는 지난 4년간 약 18% 증가했다. 하지만 국민 대다수가 심방세동이 무엇인지조차 알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발작성 심방 세동 환자는 가슴이 두근거림, 흉통, 호흡곤란, 운동 능력 저하 등으로 평상시 활동에
- 작년 소아암 환우 대상 수업 후 큰 호응. 올해 성인 환우 대상으로 다시 진행돼- 의료진도 참여해 수업 도와 의미 더 깊어져 올림푸스한국(대표 오카다나오키)은 2월 25일 대구 북구에 위치한 칠곡경북대학교병원에서 유방암 환우를 대상으로 진행한 사회공헌 프로그램 ‘아이엠 카메라’의 수료식과 ‘힐링콘서트’를 개최했다. ‘아이엠 카메라(I am Camera)’는 오랜 투병 생활로 심신이 지친 환우가 카메라를 매개로 자신의 정체성과 일상의 활력을 되찾도록 돕는 올림푸스한국의 사진 예술교육 활동이다. 2015년에 시작해지금까지 17개 병원에서 180여 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에서의 ‘아이엠 카메라’ 수업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해 7월 소아암 환아를 대상으로 처음 진행된 것이 호평을 받아 참여자를 성인 환우로 확대했다. 7명의 유방암 환우가 수강생으로 참여한 이번 프로그램은 1월 11일부터 2월 25일 사이 5회에 걸쳐 진행됐다. 수강생들은 사진의 기초와 카메라 작동법을 배우는 한편 노출 기법을 활용해 빛으로 그림을 그리는 ‘라이트페인팅(Light Painting)’을 시도하며 자신의 숨은 예술성을 발견하는 등 다양한 예술교육을 통해 정서적 치
㈜필립스코리아(대표 김동희, www.philips.co.kr)의 구강헬스케어브랜드 ‘소닉케어’가 전자랜드 주요 60개 매장에 자사 음파칫솔과 치간세정기의 판매 라인업을 확장했다. 이번 라인업 확장으로 소닉케어는 음파칫솔 입문자에게 추천하는 ‘엘리트 플러스(HX3215/01)’부터 감각적인 디자인과 더불어 5가지 세정모드를 제공하는 ‘다이아몬드클린(HX9338/04)’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선보인다. 압력센서를 탑재해 잇몸 건강 개선 기능이 강화된 ‘프로텍티브클린3.0(HX6859/07)’ 및 ‘프로텍티브클린1.0(HX6802/26)’, 어린이용 음파칫솔 ‘소닉케어키즈(HX6321/03)’와 치간세정기 ‘에어플로스 그린(HX8211/02)’도 라인업에 추가됐다. 다가오는 4월에는 전자랜드 전국 120개 매장까지 판매 라인업을 늘려 본격적으로 유통망을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필립스 소닉케어 대표 음파칫솔 모델 ‘다이아몬드클린’은 혁신적인 음파기술이 만들어내는 공기방울로 치아 표면은 물론 칫솔모가 닿기 어려운 치아와 잇몸 사이 깊숙한 곳까지 세정해주는 제품이다. 자체 임상 실험 결과, 일반 칫솔 대비 플라그를 최대 7배 더 깨끗하게 제거, 치아 착색을 최대
- 전남대병원 자가도뇨 전담간호사 초청, 척수장애인들의 올바른 배뇨법을 위한 첫 공개 강좌 개최- 바드코리아, 연내 전국 10개 지역으로 강좌 확대, 척수장애인들의 삶의 질 높이는데 노력할 터 글로벌 의료기기사 바드의 한국법인 바드코리아(www.crbard.co.kr)는 한국척수장애인협회 광주광역시협회와 함께 한국척수장애인협회 광주광역시협회에서 척수장애인 약30명을 대상으로 ‘척수장애인들의 CIC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방광 건강관리’ 강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전남대학교병원 자가도뇨 환자 교육 및 요역동학(UDS) 전담 박소정 간호사가 2월 21일 진행한 이번 건강강좌는 한국척수장애인협회 광주광역시협회 회원을 대상으로 척수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건강관리라 할 수 있는 올바른 청결간헐자가도뇨(CIC)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문의료진을 초빙, 바드코리아가 진행한 첫 공개강좌다. 청결간헐자가도뇨(CIC: Clean Intermittent Catheterization)란 뇌신경이나 척수 신경이 손상된 신경인성 방광 환자가 스스로 요도를 통해 방광 안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하는 도뇨법이다. 주기적으로 방광을 비워서 감염에 대한 저항을 유지하
▷ 3D프린팅 산업 진흥에 올해 593억원 투입(전년 대비 16.8% 증가)▷ 3D프린팅 혁신성장거점으로‘3D프린팅 이노베이션센터’조성▷ 소상공인 대상 3D프린팅 기술 융합 제품 개발 지원▷ 생활혁신 및 산업 고도화 지원을 위한 R&D 사업 추진▷ 3D프린터 구매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규제 완화, 온라인 안전교육 실시 등 정부는 8개 부처* 합동으로 3차원(이하 ‘3D’) 프린팅 시장 수요 창출, 기술경쟁력, 산업 확산 및 제도적 기반 강화를 위한 ‘2019년 3D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마련하였다. * 과기정통부, 산업부, 중기부, 국토부, 고용부, 기재부, 국방부, 식약처 이번 시행계획은 ‘3D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계획(’17~‘19)’의 3차년도 지원방안으로 지난해에 비해 16.8% 증가한 총 593억원이 투입된다. < 수요 창출을 통한 시장성장 지원 > 산업 파급력이 크고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공공 및 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융합형 사업 수요 발굴 및 선도 사업을 추진한다(149.5억원). 철도 분야의 단종․조달 애로 부품과 수요가 큰 9개 산업 분야*의 부품을 제작하여 현장에 시범적용하고, 의료 분야를 시장 창출 선도 분야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