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생과 협력 그리고 경쟁’ 주제,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사례 집중 조명 AI 기반의 최신 신약개발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은 오는 9일 오전 10시 ‘AI 파마 코리아 컨퍼런스 2020’을 온라인으로 공동 개최한다고 12월 2일 밝혔다. ‘상생과 협력, 그리고 경쟁’을 주제로 한 이번 컨퍼런스는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생태계의 조성’ 및 ‘분야별 기술동향 및 사례연구’에 초점을 맞췄다. 오전 세션에는 △AI기반 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가속화: LEAD(김화종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장) △의약품 개발을 위한 병원데이터의 활용(서울아산병원 헬스이노베이션 빅데이터센터 오지선 교수)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한 데이터 공유 기술(TOVDATA 박효진 대표)에 대한 주제발표가 마련된다. 오후 세션은 △An Artificial Intelligence-Aided Interactive Platform for Explainable Disease Target Identification(스탠다임 구희정 박사) △Innovative Target Discovery Platform
공동연구 본격 착수…양사 역량 시너지 기대 한미약품과 GC녹십자가 희귀질환 분야 글로벌 혁신신약 공동 개발을 본격화한다. 한미약품(대표이사 권세창•우종수)과 GC녹십자(대표이사 허은철)는 유전성 희귀질환인 LSD(리소좀축적질환)치료를 위한 차세대 혁신신약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공동연구에 본격 착수했다고 11월 27일 밝혔다. 양사는 2020년 2월 R&D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희귀병인 ‘LSD’는 손상된 세포 잔해나 불필요한 물질들을 제거하는 세포기관인 ‘리소좀’이 알 수 없는 이유로 체내에 지속 축적돼 심각한 대사질환을 유발하고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질환이다. LSD로 인한 대사질환 질병은 뮤코다당증 등 50여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국내에는 400여명의 환자가 이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다. 현재 LSD 환자는 유전자 재조합기술로 개발한 효소를 정맥 주사하는 방식인 ERT(Enzyme Replacement Therapy) 요법으로 주로 치료하는데, 이러한 1세대 치료법은 1~2주에 한번씩 내원해 수시간 동안 정맥주사를 맞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양사는 반감기 개선은 물론 복약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킨 차
한국다케다제약은 본사인 다케다제약 (TSE:4502/NYSE:TAK)이 지난 6월 발표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일부 일반의약품과 비핵심자산을 셀트리온에 총 2억7,800만 달러에 매각하는 절차가 모두 마무리되었다고 12월 1일 발표했다. 대상 포트폴리오에는 다케다제약 성장신흥시장사업부(Growth & Emerging Markets Business Unit, GEM BU) 내 호주, 홍콩, 마카오,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한국, 대만, 태국에서 판매 중인 18종의 일반의약품과 심혈관, 당뇨병 계열의 전문의약품이 포함돼 있다. 이번 매각에 포함된 제품은 대상 국가 내 환자의 미충족 수요를 만족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으나, 다케다제약의 글로벌 장기 성장 전략에 부합하는 핵심치료분야인 항암, 위장관질환, 희귀질환, 신경계질환, 혈장유래치료에 해당하지는 않는다. 다케다제약과 셀트리온의 생산 및 공급 협약에 따라 다케다제약이 계속해서 매각 대상 자산의 생산을 담당하며, 이를 셀트리온에 공급하게 된다. 다케다제약은 이번 매각을 포함해, 2019년 1월부터 지금까지 10건의 거래를 통해 총 113억 달러에 이르는 매각 협상을 진행했다. ‘다케
SK와 서울대병원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협력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대표: 안재용)는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NBP2001’의 임상1상 시험 진행을 위해 서울대학교병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월 2일 밝혔다. 이는 ‘NBP2001’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11월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이어 11월 27일 서울대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에서도 승인한 데 따른 것이다. 업무협약을 통해 서울대병원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NBP2001’의 체내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집중 평가하는임상1상에 돌입하게 된다. 임상의 연구 책임자로는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오명돈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김의석 교수가 참여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서울대병원과 협업해 ‘NBP2001’의 임상1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후속 임상시험 준비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서울대병원 대한의원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김연수 서울대병원장은 “의료진들이 효과적이고 안전한 백신과 치료제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대표는 “서울대병원의 우수한 연구진들과 협력해 ‘NBP2001’의 안전성과 면역
신풍제약(대표, 유제만)의 항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 (PYRAMAX, Pyronaridine-Artesunte)가 2020년 하반기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기니, 콩고민주공화국 등 3개국에 국가 말라리아 1차 치료지침에 등재됐다. 피라맥스정/과립은 이미 세계보건기구(WHO) 필수의약품 목록등재와 미국 FDA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은바 있으며, 2019년 미국 대외원조기관인 국제개발처(USAID), UN 산하기관인 UNICEF(유엔아동기금)와 장기 공급협약을 체결하고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이번 피라맥스를 국가 말라리아 1차 치료지침에 추가 등재한 3국 중 특히 기니는 국제질병퇴치기금 지원에 힘입어 등재가 확정되었으며 말라리아 예방 및 치료 사업을 통하여 피라맥스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피라맥스는 현재, 말라리아 치료제 최대시장인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 콩고공화국, 니제르, 카메룬 등 4개국을 포함하여 총 7개국에 국가 말라리아 1차 치료지침으로 등재되었으며, 아프리카연합 14여 개국의 사적시장에도 수출하고 있다. 신풍관계자는 “글로벌신약으로 전 세계 유일하게 열대열 말라리아 및 삼일열 말라리아에 동시 치료가 가능한 ACT(artemisinin combi
‘도시 당뇨병 줄이기(City Changing Diabetes)’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세계 유수 도시 대표 인사들과 함께 모인 웨비나에서 서울•부산•대구 ‘당뇨병 현황’ 리서치 결과 첫 발표분석 결과 치료율 높으나 조절율 낮아, 당뇨병 위험요인은 교육수준과 관련성 높고, 소득수준과 관련성 낮아 글로벌 프로젝트 ‘도시 당뇨병 줄이기(Cities Changing Diabetes, 이하 CCD)’ 한국 운영 위원회(회장 윤건호)는 지난 26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당뇨에 맞서 싸우기 위한 도시의 공동 노력’이라는 주제의 웨비나 행사에서 서울, 부산, 대구 3개 도시의 ‘당뇨병 현황’ 리서치 결과를 발표했다고 11월 30일 밝혔다. 본 행사는 CCD 한국 준비 위원회 윤건호 회장(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아이너 옌센 주한덴마크대사,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라나 아즈파 자파 사장을 비롯해 주요 내외빈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특히 서울 이외 직접 참석하지 못하는 런던, 코펜하겐, 부산, 대구의 각 도시 대표 인사들은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강연을 제공해 주목을 끌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또한 CCD 한국 운영 위윈회를 주축으로 지난 2019
겨울철 신발 속은 높은 온도와 습기로 무좀균 증식하기 좋은 환경 제공무좀은 한 번 감염되면 치료가 쉽지 않고 전염성이 높기 때문에 겨울철 신발 케어로 무좀 예방 필요 한국메나리니(대표이사 박혜영)는 여름 질환으로 알려진 무좀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겨울철 무좀 번식의 온상이 되는 신발 케어로 무좀을 예방할 수 있는 팁을 11월 30일 공개했다.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계절에는 스타킹과 부츠, 운동화를 즐겨 찾게 된다. 하지만 꽉 막혀있는 신발 속은 통풍이 잘되지 않아 체온으로 온도가 높아지고 발의 습도가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져 무좀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실제로 풀케어® 공식 유튜브 채널 ‘무좀 만랩’ 코너에서 세 사람의 신발 내부 세균 수치를 측정해본 결과, 평균 1387RLU(Relative Light Unit, 세균 오염도 측정 단위)로 측정돼 사람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곳의 안전 범위인 0~200RLU의 6배에 해당하는 세균 수치가 확인됐다. 또한 이는 공중위생 기준치인 400RLU의 3배에 달하는 수치로 신발 속에 많은 세균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손발톱 무좀은 한 번 감염되면 치료가 쉽지 않고 전염성이 높아 조기 치료가 무엇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 국내 의학 발전에 기여한 수상자들의 연구 업적 축하본상 수상자 성균관의대 내과학 안명주 교수, 수상 기념 강연서 ‘더욱 효과적인 폐암 치료법을 위한 연구에 정진할 것’ 밝혀 대한의학회(회장 장성구)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사장 스테판 월터)은 11월 26일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 호텔에서 온·오프라인 ‘제30회 분쉬의학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날 시상식에는 COVID-19 상황을 고려해 의료계 주요 인사 소수 인원이 참석한 가운데 성균관의대 내과학 안명주 교수가 본상을 수상했으며, 연세의대 종양내과 이충근 임상조교수가 젊은의학자상을 수상했다. 본상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함께 상금 5천만 원, 젊은의학자상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함께 상금 2천만 원이 수여됐다. 이번 분쉬의학상 시상식은 오프라인 외에도 온라인 영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통해 참석하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진행됐으며, 오프라인의 경우 참석자 전원 발열 체크, 방명록 작성, 마스크 상시 착용 등 정부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안전하게 진행됐다. 시상식에는 장성구 대한의학회 회장,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 이윤성 분쉬의학상 운영위원장 등 의료계 주요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