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회 복용으로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경구용 치료제 옵션 확장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자사의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젤잔즈정 5mg(주성분명: 토파시티닙)의 서방정인 ‘젤잔즈®XR 서방정 11 mg’이 지난 12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메토트렉세이트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거나 내약성이 없는 성인의 중등증 내지 중증의 활동성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에 허가 받았다고 밝혔다. 젤잔즈는 경구용 JAK억제제로, 체내 염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관여하는 JAK 신호전달 경로(Jak-STAT pathway)를 억제한다. 미국 FDA에서는 2012년, 국내에서는 2014년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제로 허가받았으며, 이후 궤양성대장염과 건선성 관절염의 치료에 적응증을 확대하였다. 이번 젤잔즈®XR 서방정 11 mg 국내 허가는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에 적응증이 국한되어 허가된 것으로, 건선성관절염과 궤양성대장염에는 적응증을 허가 받지 않았다. 그 동안 국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치료에는 젤잔즈정 5mg이 1일 2회 용량∙용법으로 허가되어 있었으나 ‘젤잔즈®XR 서방정 11 mg’의 허가로 인해 1일 1회 용법∙용량도 사용이 가능하게 됐다. ‘젤잔즈®X
진단부터 치료 후까지 전체 암 관리 과정에서 암 환자가 느끼는 비효율 진단저소득층의 조기 암검진과 암 환자 심리적 지원 위한 인식 개선 필요 All.Can Korea, 설문 결과 바탕으로 환자 중심의 효율적 암 치료 환경 조성 목표 암 환자 가계의 월소득 차이에 따라 환자가 종양을 최초 발견하는 경로와 암 진단 시 종양의 진행단계 및 전이 여부에 차이가 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암 환자는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느껴도 심리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암 치료 환경의 비효율 개선을 위한 단체 ‘All.Can Korea’는 12월 10일 발족을 알리며 495명의 암환자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밝혔다. 본 조사의 취지는 암 환자가 겪는 한국 암 치료 환경의 비효율을 진단함으로써 환자 중심적인 암 치료 환경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솔루션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조사는 암 관련 환우회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암 진단, △암 치료, △암 치료 후 사후관리, △암 치료 관련정보 습득 현황 및 경제적 영향 총 4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가계 소득 낮을수록 증상 발현 후에야 암 검사, 진단도 늦어 그 결과 암 환자들은 최초로 종
• 국내 10만명당 약 2,300명에 달하는 환자 있지만, * 질환 인지도 낮아 만성 두드러기 주요 증상, 특징 등 정보 담은 인포그래픽 제작 공개 • 만성 두드러기, 6주 이상 지속되고 원인 불분명하게 갑자기 나타나는 증상으로 환자들 불안감에 삶의 질 저하 문제 심각 • 졸레어®,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치료제로 허가 받은 최초이자 유일한 생물학적 제제로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자리매김 한국노바티스㈜(대표 조쉬 베누고팔)가 졸레어®(성분명: 오말리주맙)의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적응증 허가 3주년을 맞아3 질환의 인지도가 낮아 조기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만성 두드러기에 대한 증상과 질환 정보를 담은 인포그래픽을 12월 11일 공개했다. 졸레어®는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치료제로 허가 받은 최초이자 유일한 생물학적 제제로3,4 다양한 임상 연구를 통해 만성 두드러기 환자들의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국내에는 지난 2017년 H1-항히스타민제 요법에 충분히 반응하지 않는 12세 이상의 성인 및 청소년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환자의 증상 조절을 위한 추가 요법제로 승인 받아 2020년에 3주년을 맞았다.3 허가 3주년 기념으로 제작된
· 골형성 촉진·골흡수 억제 이중기전 골다공증 치료제, 이베니티®· 보험 급여 적용으로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very-high-risk group) 대상 표준치료 기대 암젠코리아(대표: 노상경)는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을 위한 골다공증 치료제 ‘이베니티® 프리필드시린지(Evenity® Pre-filled Syringe, 성분명: 로모소주맙)’의 보험급여 출시를 기념하는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12월 10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했다. 이베니티®는 골형성을 저해하는 단백질인 스클레로스틴(Sclerostin)을 표적으로 하는 인간화 단일클론항체 치료제로, 해당 단백질을 억제해 조골세포의 활동을 활성화시켜 골형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파골세포의 활동을 감소시켜 골흡수를 억제시킨다. 이베니티®는 2019년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골절 위험이 높은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 및 골절 위험이 높은 남성 골다공증 환자의 골밀도 증가를 위한 치료제로 국내 허가를 받았다. 또한 지난 12월 1일부터 건강보험 약제 급여 목록에 등재된 이베니티®는 기존 비스포스포네이트 (Bisphosphonate) 제제 중 한 가지 이상에 효과가 없거나 사용할 수 없는 환자 중
2021년 3~4월경 현지 시장 유통 시작1월부터 중국 현지 의료인 대상 ‘온·오프라인 론칭회’ 개최/레티보 제품 우수성 알려 휴젤㈜(대표집행임원 손지훈)이 12월 9일 자사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Letybo, 중국 수출명)’의 중국 첫 수출 물량을 선적했다고 밝혔다. 국내 보툴리눔 톡신 기업으로서는 최초다. 앞서 휴젤은 지난 10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레티보의 판매 허가 승인을 받았다. 지난해 4월 BLA를 제출한 이래 약 1년 6개월 만의 성과다. 이로써 휴젤은 국내 보툴리눔 기업으로서는 최초, 전 세계에서는 4번째로 중국 시장 진출의 기회를 얻었다. 이후 레티보의 현지 시장 유통은 휴젤의 중국 파트너사 ‘사환제약’이 5년 간 담당한다. 수출된 레티보는 내년 3~4월경부터 중국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유통될 예정이다. 휴젤은 이번 선적을 시작으로 중국 시장 진출이 본격화된 만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학술 심포지엄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내년 1월 현지 의료진 대상의 온라인 ‘레티보 론칭회’ 개최를 시작으로 3월부터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심천 등 중국 주요 10대 거점 도시에서 각 천 명 이상의
자사주 취득, 무상증자 등 적극적인 주주 친화 경영 행보 휴젤㈜(대표집행임원 손지훈)은 12월 9일 개최한 임시주주총회에서 ‘자본감소 승인의 건’이 원안대로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에 휴젤은 최대주주인 Leguh Issuer Designated Activity Company의 보유주식 중 184,680주를 무상/임의 소각하게 되면서 2018년 지배 구조 단순화를 위해 진행한 주식회사 동양에이치씨 흡수합병을 완전히 마무리 짓게 됐다. 앞서 휴젤은 2019년 7월 동양에이치씨를 흡수합병하면서 동양에이치씨 주주였던 Leguh Issuer Designated Activity Company에게 합병신주 861,560주를 발행했다. 동양에이치씨는 휴젤의 주식 80만주에 대한 보유만을 사업목적으로 하는 명목회사(페이퍼컴퍼니)다. 이에 휴젤은 합병신주 발행으로 희석된 주주가치를 제고하고자 2019년 12월 자기주식 80만주를 무상/임의 소각했으며 80만주를 초과하는 61,560주를 합병 완료 이후에 무상감자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휴젤이 지난 7월 보통주 1주당 신주 2주(200%)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단행함에 따라 무상/임의 소각 대상 주식수가 184,680주로 변경됐다.
트러블 이제 짜지 말고, 찌르세요!촘촘하고 균일한 미세바늘 구조체를 통해 트러블 진정 성분을 피부 속 깊이 전달기존 메디폼Ⓡ 울트라씬ㆍH뷰티 제품과 함께 트러블의 처음부터 끝까지, 전 주기 토탈 관리에 도움 한국먼디파마(유)(대표이사 최헌)는 미세바늘구조체 특허 기술을 통해 트러블 케어에 효과적인 진정 성분을 피부 속까지 깊이 전달하는 ‘메디폼Ⓡ 트러블큐어’ 신제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피부 트러블은 과다한 피지 분비, 막힌 모공, 피지선 내의 확장된 세균 등 발생 원인과 종류가 다양하나, 모공을 막아 자연스러운 피지 배출을 방해하는 각질이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다. 따라서 효과적인 트러블 케어를 위해서는 모공 속 피지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각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메디폼Ⓡ 트러블큐어’는 0.3mm의 미세한 마이크로샷이 부착된 패치 형태로, 트러블 시작 단계에서부터 부착하면 300마이크로샷이 살리실릭애씨드, 마데카소사이드, 히알루론산,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등 트러블 진정에 필요한 필요성분을 피부 속 깊이 전달한다. 흡수율이 낮을 수 있는 기존의 패치형 제품과 달리 ‘메디폼Ⓡ 트러블 큐어’는 뾰족한 팁으로 표피층에만
유럽 등 50여국에 수출“1억불 수출시대 위해 최선” 다짐 신풍제약 (대표이사 유제만)은 12월 8일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하고 산업자원부가 후원하는 제57회 무역의 날에 3,0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창업 이래 ‘민족의 슬기와 긍지로 인류의 건강을 위하여’라는 경영이념으로 국민건강 및 세계 인류 건강복지를 위해 우수의약품을 생산해 온 신풍제약은 원료로부터 완제의약품까지 의약품국산화에 주력하며 수출의 확대 및 해외시장개척 등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이미 80년대 아프리카 수단의 GMC를 시작으로 90년대 중반 중국천진신풍제약, 베트남신풍제약을 설립하여 현지 GMP시설의 공장을 완공하고 활발한 마케팅전략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일본을 비롯하여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남미 등 세계 50여 개국에 신풍의 의약품을 수출하고 있다. 앞으로도 우수의약품 개발과 더불어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함으로서 수출 1억불 시대를 위해 최선을 다해 한국 제약업계의 위상을 높이겠다는 것이 신풍제약의 포부다. 이 날 개인포상으로 유제만 대표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임종석 이사가 산업포장 포상을 각각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