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의 염모제「미쟝센 쉽고 빠른 거품염색」 일부 제품에서 용기불량으로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오는 결함이 확인돼 교환이나 환급을 실시한다.* 염모제 : 모발의 염색(탈색·탈염 포함)을 위해 사용하는 제제.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미쟝센 쉽고 빠른 거품염색」내용물이 용기 밖으로 흘러나온다는 제보가 접수돼 조사한 결과, 2013년 7월에 제조된 제품에서 이런 현상이 확인돼 (주)아모레퍼시픽에 자발적 시정조치를 권고했다. 2013년 7월에 제조된 제품의 경우 내부 용기 바닥 두께가 얇아 내용물 충전 및 조립 과정에서 용기 바닥에 금이 생겨 서로 섞인 거품형태의 내용물이 용기 밖으로 흘러나오는 것으로 확인됐다.(주)아모레퍼시픽은 한국소비자원의 권고를 수용해 2013년 7월에 제조된 미쟝센 염모제「쉽고 빠른 거품염색」제품 198,449개를 개선된 제품으로 교환하거나 환급해 주기로 했다.* 용기파손으로 인한 내용물 유출 사진 (주)아모레퍼시픽 염모제 무상교환 조치 안내 ○ 제 품 명 :「미쟝센 쉽고 빠른 거품염색」 ○ 대상범위 : 2013년 7월 제조된 198,449개 ○ 조치내용 : 개선된 제품으로 교환
합창, 뮤지컬, 국악공연 등 펼쳐져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대웅제약 별관 베어홀에서 진행된 습윤드레싱 ‘이지덤’의 광고모델 추성훈, 추사랑 부녀가 후원하는 한국다문화센터 ‘레인보우 합창단 후원의 밤 행사’가 지난 26일 성황리에 진행됐다.‘레인보우 합창단 후원의 밤’은 대웅제약 습윤 드레싱 이지덤의 광고 모델인 추성훈, 추사랑 부녀가 광고 모델료 전액을 다문화 가정을 위해 기부한 것의 일환으로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로 이루어진 ‘레인보우 합창단’을 후원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1부에서는 만찬 리셉션이 진행되고, 이어 2부에서는 내빈 축사와 함께 추성훈과 대웅제약의 장학금 및 이지덤 전달식, 레인보우 합창단 공연, 뮤지컬, 국악공연 등이 펼쳐졌다. 레인보우 합창단은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러시아, 캐나다,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나이지리아, 우즈베키스탄, 과테말라 등 다양한 국적의 다문화 가정 자녀들로 구성된 합창단으로, 2009년 다문화 자녀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한국사회에 건강하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창단되어, G20 정상회담 초청공연, 여수세계엑스포 개막식, 제 18대 대통령 취임식, 세종
일동제약이 습윤드레싱재 브랜드 ‘메디터치’를 출시해 본격 마케팅에 들어갔다.폼 소재 및 하이드로콜로이드 소재를 조합해 ‘메디터치2’, ‘메디터치5’, ‘메디터치H’ 등 다양한 기능과 규격으로 상처의 크기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일동제약 관계자는 “고객이 바라는 점이나 제품에 대한 보완점 등을 더욱 세심히 연구해 제품과 영업에 반영하겠다”고 전했다.
JW중외제약은 흉터 개선에 효과적인 습윤밴드 ‘하이맘 스카’를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에 돌입했다. ‘하이맘스카’는 실리콘 겔 성분을 사용해 흉터가 생긴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과 수분을 공급하면서 비정상적인 피부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습윤밴드다. 제왕절개나 갑상선 수술환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규격(4x20cm)으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섬유원단을 사용해 흉터의 착색을 방지해 주는 점이 특징이다. 신축성이 뛰어나 흉터가 남기 쉬운 턱, 무릎, 팔꿈치 등 굴곡진 부위에도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하루에 1~2번 가볍게 세척해도 접착력이 유지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JW중외제약은 수술로 인해 흉터가 생긴 환자들을 타겟으로 하이맘스카에 대한 마케팅활동을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윤범진 헬스케어사업본부장은 “하이맘 스카는 제왕절개, 갑상선 수술 등으로 생긴 흉터 개선에 최적화된 신개념 밴드”라며 “기존에 출시된 상처치료용 습윤밴드인 하이맘밴드와 함께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행 제도의 운영상 일부 미비점 개선·보완식약처는 국내 화장품 제조업체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수화장품 제조관리기준 적합업소에 대해 지원할 수 있는 세부사항을 정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자·화장품 관련 업계 등의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화장품 유형 중 ‘색조 화장품 제품류’에 페이스페인팅을 추가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고 한다고 밝혔다.주요내용으로는,가. 우수화장품 제조관리기준 적합업소에 대해 지원할 수 있는 세부사항을 정함1) 국내 화장품 제조업체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수화장품 제조관리기준 적합업소에 대해 지원 필요2) 우수화장품 제조관리기준 적합업소에 대해 전문적 기술과 교육 등 지원할 수 있는 세부사항을 정함.3) 국내 화장품 제조업체의 제조 및 품질관리 능력 향상을 통한 국제 경쟁력 강화 기대나. 색조 화장품 제품류에 페이스페인팅 추가1) 화장품 유형 중 페이스페인팅에 대한 명문규정이 없어 소비자, 관련 업계 등 혼란 발생 우려2) 화장품 유형 중 ‘색소 화장품 제품류’에 페이스페인팅을 추가3) 색조 화장용 제품류에 페이스페인팅을 추가함으로써 소비자, 관련 업계 등의 혼란 방지 기대 등으로 나타났다.
화장품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종전 화장품 제조업·제조판매업에 대한 등록(이때 제조판매관리자 확인) 및 행정처분은 지방식약청장이 실제적인 사무를 관장하고 있으나, 교육명령 및 교육명령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처분, 생산·수입실적 및 원료목록 미보고에 따른 과태료 부과 처분, 시정명령은 식약처장의 권한으로 이원화되어 있어 이를 지방식약청장에게 위임할 필요가 있으며, 과징금 미납 시 원 처분으로 환원 관련 규정을 개선하여 과징금 수납율 제고 및 행정처분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고 한다고 발표했다.주요내용을 살펴보면,가. 교육명령 등 권한을 지방식약청장에게 위임1) 화장품 제조업·제조판매업에 대한 등록(이때 제조판매관리자 확인) 및 행정처분은 지방식약청장이 실제적인 사무를 관장하고 있어, 효율적인 교육명령 및 교육명령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처분을 위하여 지방식약청장에게 위임 필요2) 화장품의 제조판매관리자, 화장품법령을 위반한 제조업자 및 제조판매업자에게 화장품의 안전성 확보 및 품질관리에 관한 교육명령 및 교육을 이수하지
한독은 청소년 사이에 ‘톡톡이’로 널리 알려진 여드름 치료제 ‘클리어틴(성분명: 살리실산)’의 새로운 TV 광고 모델로 유투브에서 ‘고백송’ 영상으로 화제를 모은 중학생 김규리양을 캐스팅했다.한독 컨슈머헬스케어 사업본부 이민복 전무는 “클리어틴의 주 고객이 여드름으로 고민하는 청소년인 만큼 여중생 김규리양이 또래들에게 충분히 어필할 것으로 보여 모델로 기용했다”며 “특히 여드름은 화장품으로 가리기보다 제대로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클리어틴’은 ‘톡톡이’란 별명으로 유명했던 ‘크레오신티(성분명: 클린다마이신)’가 전문의약품으로 전환되면서 후속 제품으로 출시한 일반의약품이다. ‘클리어틴’의 주성분인 ‘살리실산’은 일명 ‘바하(BHA: Beta Hydroxy Acid)’라고도 하며 화장품에서 피부과 시술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된다
국제 경쟁력 키워 글로벌 시장 진출 대한화장품협회와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의 자료에 의하면 2013년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7조9,720억원으로 2012년(7조1,227억원)에 비해 11.9% 증가하였고 수출은 12억 8,341만달러로 20.3% 급증했다고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가 밝혔다. 지난해 국내 화장품 무역수지는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한 ‘12년(8,926만달러)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3억1,145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으로는 ▲수출 성장세로 무역흑자 지속 ▲중국, 홍콩에 수출 큰 폭 증가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 증가 등으로 분석됐다. 화장품 무역수지가 2012년에 이후 연속 흑자로 나타난 것은 중화권에 대한 수출이 늘었기 때문인데,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발전과 함께 품질향상, 한류 열풍의 영향으로 중국, 홍콩, 대만, 태국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기능성화장품의 생산실적은 2조5,638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2개 기능 이상을 갖는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생산실적이 1조2,259억원(기능성화장품 중 47.8%), 주름개선(6,903억원), 자외선차단(3,809억원), 미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