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의료원 이윤환 교수팀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7가지 예방 수칙 발표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건강하게 나이 들기’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러한 가운데 아주대의료원 예방의학교실 이윤환 교수팀이 ‘노쇠 예방 7대 수칙’을 발표해 주목된다. 이윤환 교수팀이 개발하여 발표한 노쇠 예방 7대 수칙은 일명 ‘건강 가화만사성’으로 불리며, △ 건강하게 마음 다스리기 △ 강한 치아 만들기 △ 가려먹지 말고 충분히 식사하기 △ 화를 높이는 담배를 멀리하기 △ 만성 질환 관리하기 △ 사람들과 자주 어울리기 △ 성실하게 운동하기이다. 이윤환 교수팀은 이러한 7가지 수칙을 잘 지키면 노쇠 속도를 늦추고, 건강한 노년을 보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한 7가지 수칙을 살펴보면, 평소 주변에서 많이 듣거나 혹은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항들로 구성됐다. 연구팀은 학술 데이터베이스(Ovid MEDLINE, Embase, Web of Science, Cochrane, CINAHL)를 통해 2005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14년 동안 출판된 논문 5,853편을 문헌고찰했다. 논문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서울대의대 보라매병원 구대림 교수 연구팀, 국내 고등학생 8,565명 대상 연구 결과 발표늦게자고 늦게 깨는 ‘올빼미형 수면습관’ 가진 청소년, 정상 대비 우울증 발생 위험 1.7배 높아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원장 김병관) 신경과 구대림 교수 연구팀이 청소년의 수면 시간대와 우울증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예민하고 감정 기복이 심한 청소년기에는 학업이나 진로, 대인관계 등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인해 쉽게 우울감을 느끼게 된다. 성인 우울증과 달리 청소년 우울증은 짜증이나 분노와 같은 증상이 동반되는 데, 보호자가 이를 반항심으로 여겨 다그치거나 본인도 증상을 알리지 않고 숨기는 경우가 많아 한번 발생하면 증상이 악화 될 가능성이 높다. 보라매병원 신경과 구대림 교수 연구팀은 국내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8,565명을 대상으로 주 수면시간대 분석에 이용되는 ‘아침형-저녁형 설문 조사(MEQ :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및 ‘벡 우울척도(BDI : Beck Depression Inventory)’ 검사 결과를 종합해 청소년기 취침패턴과 우울증 사이의 연관성을 비교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뇌신경센터 공동연구팀,심전도 기반 수면호흡장애 분석으로 후유장애 조기예측 가능뇌졸중 초기 수면호흡장애 동반되면 중증 후유장애 위험도 4배 높아“심폐결합분석법 기반 수면호흡장애 조기진단에 따른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후유장애 예측분석 (Impact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on Functional Outcomes in Ischemic Stroke: A Cardiopulmonary Coupling Analysis)”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수면호흡장애의 동반유무가 신경학적 후유장애 회복지연의 주요 예측인자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초기 집중치료 과정에서 전통적인 수면다원검사 또는 호흡측정기를 이용한 수면 중 호흡상태에 대한 정밀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쉽지 않은 현실이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심혈관센터-뇌신경센터 공동연구팀(심혈관센터 나진오, 강동오 교수, 뇌신경센터 김치경 교수)에 따르면 24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한 심폐결합분석법 (cardiopulmonary coupling analysis)을 적용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수면호흡장애 동반유무를
국립암센터, 박종배 대학원장·김종헌 교수악성 뇌종양 발생시키는 단백질 및 저해제를 세포주·동물실험 통해 확인 국립암센터 연구팀이 아직까지 완치가 어려운 악성 뇌종양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실마리를 찾았다.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총장 이은숙) 박종배 대학원장, 김종헌 교수 연구팀은 악성 뇌종양의 발생과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 내 분자와 이를 억제하는 약물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세계적 권위지인 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이번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악성 뇌종양에서 ARS2라는 단백질이 지방분해 효소 중 하나인 MAGL을 활성화시키면서‘종양 악성화 면역대식세포’를 증가시키는 기전을 확인했다. 또한, 염증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JZL184라는 약물이 ARS2와 종양 악성화 면역대식세포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를 악성 뇌종양 세포주 실험과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연구팀은 JZL184를 통해 종양 악성화 면역대식세포를 조절하면 뇌종양의 악성화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종배 대학원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ARS2-MAGL 신호전달 과정이 종양 악성화 면역대식세포 증식을 촉진
비대면 진료의 패러다임 바뀐다감염병 전파 위험 최소화,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대면 진료의 가능성 열어 코로나19 위기에서 감염 전파의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대면 진료의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정보화실 김경환 교수팀은 문경 생활치료센터에서 환자의 진료 흐름 특성에 맞춘 첨단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결과를 6월 30일 발표했다. 서울대병원은 대구·경북지역의 코로나19 경증 환자 관리를 위해 2020년 3월 5일부터 4월 9일까지 문경 생활치료센터를 운영했다. 총 118명의 환자가 입원해 첨단정보 감염병 관리 시스템의 효과와 편의성을 톡톡히 확인했다. 우선 웨어러블 장비를 도입해 생활치료센터에 입원 중인 환자의 심전도, 혈압, 산소포화도, 심박수, 호흡수 등을 측정했다. 이 활력징후 데이터가 병원정보시스템에 실시간으로 공유되게 했다. 의료진은 모바일 앱(그림2)을 통해 서울에서 문경에 있는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손쉽고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또한 병원정보시스템 내 환자 현황판(그림3)을 구축해 의료진이 한눈에 모든 환자의 상태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모바일 전자문진 시스템, 환자용 모바일 앱
고대 김성은 교수팀3개월 간 운동 통해 내장지방 염증활성도 측정PET/CT 영상통한 치료 목표 및 성과 확인 가능 'Exercise training reduces inflammatory metabolic activity of visceral fat assessed by 18F-FDG PET/CT in obese women' 운동이 비만인의 건강에 도움이 되고 심혈관질환 등의 발생 위험도를 낮춘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왔다. 하지만 비만이 미치는 유해한 영향의 핵심기전인 내장비만의 염증활성도가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확실한 근거는 없었다. 그런데 최근 비만 여성에서 내장비만의 염증활성도에 미치는 운동의 항염증 효과가 세계최초로 영상으로 규명되어 학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핵의학과 김성은 교수 연구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서홍석 교수, 안암병원 핵의학과 김성은 교수, 박기수 교수)은 비만 여성 23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규칙적인 운동을 지속하며 내장지방에서의 염증활성도를 확인했다. 연구대상자들은 빠르게 걷기 30분, 달리기 20분 등 유산소 운동과 근육저항운동을 3개월간 매일 시행했다. 그 결과 내장지방 염증활성도가 절반이하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국가 유방암 검진율 격차 증가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가장 발생률 높은 암 중 하나로, 연평균 4.5%씩 증가 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암검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만 4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2년 마다 무료로 유방촬영술을 통한 유방암 검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에 비하여 이러한 건강 검진에 대한 접근성에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유방외과 유종한 교수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박종혁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이용해 장애인이 국가 유방암암검진을 얼마나 잘 받고 있는지 10년 간의 추이를 확인했다. 또 장애 여부, 장애 유형 및 중증도에 따라 유방암 검진 참여율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함께 살폈다. 연구팀에 따르면 2006~2015년 사이 국가 유방암검진 대상자인 비장애인 및 장애인을 대상으로 유방암 검진율을 비교한 결과, 비장애인에서는 연령 표준화 유방암 검진율이 29.3%에서 60.1%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장애인에서는30.2%에서 53.7%로 증가하는데 그쳐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암검진 형평성 격차가 점차 확대 추세로 나타났다. 신동욱 교
IBS 나노의학 연구단, 13종 유전자 가위 교정 효율 비교분석 가장 효율적인 유전자 가위로 최상의 조건에서 질환 치료 기대 유전자를 교정하고자 하는 상황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유전자 가위를 추천해주는 알고리즘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의학 연구단(단장 천진우) 김형범 연구위원(연세대의대 약리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13종 유전자 가위 변이체들의 효율을 비교‧분석하고, 표적 염기서열에 따른 최적의 교정 도구를 골라주는 딥러닝 기반 시스템인 ‘DeepSpCas9variants’를 개발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는 유전자의 특정 지점을 교정하는 기술이다. 유전자 가위는 표적으로 정한 DNA의 특정 염기 서열 정보를 지닌 가이드RNA와 염기서열을 자르는 절단효소로 구성된다. 사람 몸에 자주 침입하는 세균인 화농성연쇄상구균(S.pyogenes)에서 가져온 SpCas9가 절단효소로 가장 널리 쓰인다. SpCas9는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표적(target) 이외의 지점을 잘라내는 표적이탈(off-target)이 빈번히 발생한다는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표적이탈 발생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정확성을 높인 변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