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금연 환경 조성 우수사례를 알립니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현장)은 11월 26일(금), 오후 2시 서울 섬유센터 컨퍼런스홀에서 ‘2021년 지역사회 금연사업 공동연수(이하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라이브 방식(비공개)으로 진행되며, 전국 17개 시·도 및 258개 보건소, 국립암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금연지원센터 금연사업 담당자 등 약 1,00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지역사회의 전략적 금연사업 사례를 확산하고 효율적 금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지자체 금연 환경조성을 위한 조례제정 방안을 시작으로 ▲금연상담과 금연 환경조성전략 사례, ▲사업장 금연 환경조성 우수 사례*를 공유하며, ▲금연전문가와 함께하는 전문상담 기술을 나눈다. * 2021년 사업장 금연 환경조성 우수사례 : LG이노텍 광주공장(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상) 이번 행사에서 소개된 금연 환경조성전략 관련 우수 사례 2건은 다음과 같다.(부산광역시, 충남 당진시 보건소) ○ (부산광역시) ▲음식업소 출입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통일평화기반구축 연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코로나 방역 협조를 위해 회의는 대면 + 온라인(ZOOM) 회의를 병행하여 개최할 예정이다. 2021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통일평화기반구축 연합학술대회 일시: 2021년 11월 29일(월)-30일(화) 11:00~18:00방식: 대면+ 비대면(ZOOM) 병행 문의: 최현정 연구원 hyeunjung0710@snu.ac.kr
용인시의사회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UCC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용인시의사회는 "코로나19 유행으로 대면 접촉이 어려운 상황에서 청소년들에게 즐거움과 여유를 가질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했다"고 밝혔다. 참가를 원하는 청소년은 건강, 코로나19 등 의학분야 뿐 아니라 청소년들의 공통 관심사 등 자유로운 주제로 제작한 뒤 참가신청서 등의 구비서류를 작성하여 동영상과 함께 용인시의사회 사무국 이메일 (yma403@naver.com)로 동영상 파일이나 유튜브 URL을 기입해 제출하면 된다. 기간은 12월 1일부터 2022년 1월 15일까지이며 대상은 1백만원, 금상은 2인 50만원, 은상은 3인 30만원의 장학금이 지급된다. 용인시의사회는 2017년부터 제17대 김태형 회장의 주도로 장학사업을 시작하여 아직은 작은 규모지만 조금씩 늘리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용인시의사회 장학사업은 기부금 전액이 수혜자에게 전달되며 행정비나 사업비로 사용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동훈 용인시의사회장은 "장학사업이 성적뿐 아니라 다양한 방면에서 재능을 가진 청소년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다 UCC 공모전을 기획하였다"고 밝혔다. 용인시의사회 청소년UCC공모전
소화기내시경학회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대장암의 씨앗, 대장용종 바로 알기’ 및 ’알아두면 유용한 용종 절제술’ 영상 공개 대장암의 위험인자인 대장용종에 대한 정보를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전달해 대장암 예방에 기여 대한소화기내시경연구재단(이사장 조주영)은 ‘2021 장(腸)주행 캠페인’ 프로그램으로 대장용종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을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유튜브 채널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재단은 지난 2018년부터 국민들에게 날로 증가하는 대장암의 위험성을 알리고. 대장암 발생 및 관련 사망률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자 매년 장(腸)주행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대장암 발병에 있어 대장용종이 중요한 위험인자인 만큼, ‘2021 장(腸)주행 캠페인’은 국민들에게 대장용종에 대한 정보를 쉽고 전달하는 목적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영상인 ‘대장암의 씨앗, 대장용종 바로 알기’에서는 차재명 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대장용종의 정의, 유병률, 위험성 등 대장용종 및 대장암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전달한다. 영상에 따르면, 대장용종은 대장 내부 점막 표면에 돌출된 융기물을 통틀어 지칭하는 말로, 5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했을 때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제11차 평화학 포럼(IPUS Peace Research Forum)을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주제: Food and Nutrition Support for Women and Children the DPRK as a Step to Peace and Stability연사: 윤선희 (서울사무소 소장)일시: 2021년 12월 9일(목) 14:00-16:00장소: 온라인(ZOOM) 화상회의 ZOOM 링크: https://snu-ac-kr.zoom.us/j/8675878574Youtube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xk1q5c01M5m-zQxMJJDVsQ
‘Open Innovation for Advanced Biomedical Science’K-Bio 혁신을 통한 세계 바이오 산업 선도 전략세계적 생명공학 대가 초청, 국내 바이오 산업 미래/비전 제시 재단법인 미래의학연구재단(이사장 한상대)과 서울대병원 세포치료실용화센터(센터장 김효수)는 ‘Open Innovation for Advanced Biomedical Science’을 주제로 제5회 미래의학국제포럼(5th International Forum on Medical Innovation of Cell & Bio Therapy)을 개최한다. 행사는 11월 26일, 오전 10시부터 대면과 비대면 형식으로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 글랜드볼룸에서 진행된다. 참가비는 무료며 자세한 내용은 사전등록 홈페이지(www.fmi-live.c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재단은 이번 포럼을 통해 급변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지원할 목적으로 K-Bio 혁신을 통한 세계 바이오산업을 선도하는 전략을 모색하는 장을 준비한다. 이를 통해 심장, 당뇨, 암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바이오 산업 분야의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고 급변하는
전질병관리본부에 의하면 전체 화상사고의 66.5%가 집에서 발생…끓는 물, 뜨거운 물체 및 음식으로 인한 사고가 69.5%로 가장 많아 2도 이상의 화상에는 흐르는 수돗물로 열기를 식혀 상처가 깊어지는 것을 막고, 항균 성분을 함유한 습윤드레싱 사용으로 빠른 상처 회복과 세균 감염 예방할 수 있어 한국먼디파마(유)(상무 조성운, 이하 한국먼디파마)의 상처토탈케어 브랜드 메디폼®이 건조한 날씨와 난방기기 사용이 증가하는 겨울철, 화상 사고로 인한 세균감염과 깊은 상처 및 흉터를 방지하기 위한 응급처치법을 11월 22일 공개했다. 매서운 추위와 함께 전기장판, 손난로를 비롯한 난방기기의 사용으로 화상사고가 발생하기 쉬운 계절이 왔다. 질병관리본부에 의하면 전체 화상사고의 3건중 2건은 가정에서 일어나며, 61.7%가 일상생활 중 발생한 화상 사고로 주된 원인은 끓는 물, 뜨거운 음식이나 물체로 인한 사고가 69.5%로 가장 많았다. 또한 연령별로는 0세부터 4세 영유아가 전체 화상환자의 30%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상은 손상의 정도에 따라 1도부터 4도화상까지로 나뉜다. 1도 화상은 피부 표피에 화상을 입은 경우로 화상 부위가 빨갛고 따
“간접흡연 힘들어요”- 총 7,400여점 접수, 대상 및 최우수상 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여 권세아 어린이(7세, 파랑새어린이집)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현장)은 11월 19일(금), 오후 1시 30분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대회의실에서 ‘제6회 유아흡연위해예방교육 우수사례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상식은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일부 수상자에 한하여 대면으로 진행하였으며, 온라인 화상 시스템을 병행하여 현장에 참석하지 못한 수상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올해로 제6회를 맞는 유아흡연위해예방교육 우수사례 공모전은 유아흡연위해예방사업의 일환으로, 유아의 눈높이에서 흡연의 위해성을 표현하고 담배의 폐해와 금연의 필요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립하고자 기획되었다. 우수사례 공모는 지난 9월 23일부터 10월 29일까지 약 한 달간, ① 전국 유아교육․보육기관 교사 대상 교육활동 부문과 ② 만3∼5세 유아 대상 그림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총 7,404건이 접수*되었다. * 접수 : ① 교육 활동 193건 ② 그림 7,211건(개인 113점, 단체 7,098점) ‘교육활동 부문’은 1차 온라인 심사(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