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이 아무리 재밌어도…” 화장실에서 스마트폰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

2024.06.11 13:40:46

● 변기 오래 앉아 있는 습관, ‘치핵원인 될 수 있어주의

● 치질의 70~80% 차지대변 끝에 피 묻어나오면 의심을

● 국내 3번째 다빈도 수술… 40대선 수술 건수, 압도적 1

● 약물이나 좌욕 이용한 보존적 치료로 대부분 치료 가능해

● 치핵 방치하면 항문암 발전은 오해치루는 가능성 높여

 



언제부턴가 어디서 무엇을 하든,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스마트폰과 우리는 한 몸이 된다. 그중에서도 스마트폰을 필수로 챙겨가는 곳이 있다. 바로 화장실이다. 잠시나마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아니 최근에는 스마트폰 없는 볼일(?)은 상상도 할 수 없다. 최근 숏폼(Short-form, 짧은 형태의 콘텐츠)의 인기와 함께 그 시간은 점점 더 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행동이 자칫 항문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

 

김문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는화장실을 사용할 때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느라 변기에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혈액이 항문으로 심하게 쏠리게 해치핵을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변기에 장시간 앉아 있는 습관, 치핵 원인될 수 있어= 치핵(痔核)은 항문 점막 주위의 돌출된 혈관 덩어리를 말한다. 한자로 항문의 질병을 뜻하는()’와 덩어리라는 의미의 ()’의 합성어다. 치핵은 항문에 생기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치질(痔疾) 70~80%를 차지한다. 항문의 점막이 찢어진치열(痔裂)’이나 항문의 염증으로 구멍(누공)이 발생한치루(痔漏)’와는 다르다.

 

치핵은 항문 안에 생기는내치핵과 밖에 생기는외치핵으로 나뉜다. 내치핵은 통증 없이 피가 나거나 배변 시 돌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돌출된 덩어리가 부으면 심한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배변 후에도 시원하지 않을 때가 많다. 외치핵은 항문 가까이에서 발생하고 급성으로 혈류가 고여 혈전이 생기면 내치핵보다 극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항문 주위에서 단단한 덩어리를 만질 수 있고 터지면 피가 난다. 물론 두 유형의 치핵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김문진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는치핵의 약 40%는 증상이 없지만 혈변이 있거나 혈전이 동반된 경우 통증이 있을 수 있고 항문 주변이 가렵거나 변이 속옷에 묻는 경우도 있다출혈은 대부분 통증이 없고 주로 배변 활동과 동반돼 나타나는데 대변 끝에 붉은 피가 같이 묻어나오는 형태가 흔하다고 했다.

 

◇국내 3번째 다빈도 수술… 40대선 수술 건수, 압도적 1= 치핵 수술은 국내에서 백내장 수술과 일반척추 수술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시행되는 수술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주요 수술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치핵 수술 환자는 156432명으로 나타났다. 백내장과 일반척추는 각각 735693명과 203902명이다. 특히 40대에서는 33310명이 수술을 받아 2위인 자궁절제술(17110) 3위인 담낭절제술(1674)보다 약 2~3배 많은 압도적 1위다.

 

치핵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다만 유전적 소인과 잘못된 배변 습관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외에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 장시간 변기에 앉아 있는 습관, 변비, 음주, 설사 등도 치핵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여성의 경우 임신과 출산으로 골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치핵이 생기거나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진단은 직장수지검사를 통해 대부분 가능하다. 직장수지검사로 확인되지 않는 환자는 항문경 검사를 시행한다. 빈혈이 심하거나 40대 이상에서는 종양 또는 다른 장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내시경을 진행하기도 한다.

 

치핵은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약물이나 좌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로 대부분 치료가 가능하다. 수술은보존적 요법으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출혈이 반복되거나 심한 경우가려움증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통증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피부 늘어짐으로 인해 불편하거나 제거를 원하는 경우 시행된다.

 

수술법에는돌출된 치핵 조직을 수술적으로 절제하는 방법원형 자동문합기로 상부 항문관의 점막이나 점막하층의 절제 또는 고정을 통해 돌출된 치핵 조직을 항문관 안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방법치핵 동맥의 결찰을 통해 치핵을 치료하는 방법 등이 있다.

 

◇치핵, 항문암 발전은 사실 아냐치루는 가능성 증가시켜 위험= 치핵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루 20~30g의 섬유질과 1.5~2ℓ의 물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 변기에 장시간 앉아 있는 것은 좋지 않다. 변기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이나 독서 등은 피한다. 또 변비나 설사를 유발하는 약물의 복용은 피하고, 증상이 발생하면 따뜻한 물을 이용한 좌욕을 시행한다.

 

간혹 치핵을 포함한 치질이 오래되면 대장암 등 항문암으로 발전한다고 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다만 치루의 경우 항문암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만큼 주의한다. 김문진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는치질과 항문암이 공통으로 보이는 가장 흔한 증상은 항문 출혈인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을 찾아 대장내시경이나 검진을 통해 치질의 악화를 예방하고 조기에 암을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메디컴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6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