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전문 리서치 서비스 ‘리슨투페이션츠’, 6월 첫 주 암생존자 주간 맞아 암 생존자 대상 ‘일상복귀의 어려움’ 주제로 설문조사 진행

2024.06.13 11:43:57

● 국내 최초 환자 전문 리서치 서비스리슨투페이션츠 3회차 설문조사결과 발표

 암 생존자 111명 중 50%가 일상생활 복귀 시 겪는 신체적 어려움으로피로꼽아

 가장 큰 정서적 어려움은 66%재발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라고 답해

 

 

국내 최초 환자 전문 리서치 서비스리슨투페이션츠®’(대표 명성옥) 6월 첫째 주 암생존자 주간을 맞아암 생존자가 일상생활 복귀 시 겪는 어려움이라는 주제로 5 29일부터 6 11일까지 2주간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는 리슨투페이션츠®의 세 번째 설문조사로, ‘암 생존자가 일상생활 복귀 시 겪는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암 생존자들의 더 나은 투병환경을 조명하고자 진행했다. 설문조사에서는 암 생존자로서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 중신체적, 정서적,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의 어려움이 무엇이며 어느 정도인지’,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의 어려움은 어디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는지등을 물었다. 설문조사에는 암 생존자 111명이 참여해 목소리를 모았다.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암 생존자로서 일상생활에서 겪는 신체적 어려움(피로, 통증, 부종 등)’의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매우 많다(16%) △많다(42%) △보통(27%) △적다(10%) △매우 적다(5%), 응답자의 58%신체적 어려움을많이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겪는 신체적 어려움으로는피로(50%) △신체 기능 저하(25%) △통증(9%) △부종(4%) △기타(3%) △없다(9%), 응답자의 50%피로를 신체적 어려움으로 꼽았다. 그다음 신체적 어려움으로는신체 기능 저하통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정서적 어려움(우울, 무기력, 불면, 재발에 대한 두려움 등)’의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매우 많다(20%) △많다(46%) △보통(26%) △적다(6%) △매우 적다(2%), 응답자의 66%는 정서적 어려움을많이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겪는 정서적 어려움으로는재발에 대한 두려움/불안(66%) △자신감 저하/무기력(12%) △피로감(11%) △우울/흥미 상실(5%) △외로움/고독감(3%) △기타(3%) △없다(0%), 응답자의 66%재발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가장 큰 정서적 어려움으로 꼽았다. 그다음 정서적 어려움은자신감 저하와 무기력으로 나타났으며, ‘직장에서 성공을 위해 달려가다 넘어진 느낌이라 업무에 흥미를 잃음, 회식 등 사내 활동 참여 불가등의 의견이 있었다.

 

다음으로대인관계의 어려움의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매우 많다(11%) △많다(32%) △보통(29%) △적다(18%) △매우 적다(10%)’, 응답자의 43%는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의 어려움을많이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의 어려움은 어디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복수 응답으로건강 악화에 대한 우려(34%) △암 환자에 대한 주변인들의 이해 부족(25%) △신체적 어려움(17%) △조직생활에 대한 두려움(9%) △정서적 어려움(8%) △사회적 편견과 차별(7%)라고 답했다.

 

마지막으로사회생활의 어려움(취업, 직장복귀 등 경제생활)의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매우 많다(23%) △많다(41%) △보통(22%) △적다(11%) △매우 적다(3%), 응답자의 64%가 사회생활의 어려움을많이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의 자문을 맡은 고려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유은승 교수는피로와 암 재발에 대한 두려움은 암 생존자들이 매우 흔히 호소하는 문제다. 이번 조사를 통해 이전에 대표성 있는 국내외 연구 결과들이 다시금 확인된 셈이다라고 총평했다.


이어암 생존자들은 피로 개선을 위해 근거가 부족한 보완대체요법이나 건강보조식품 등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인다. 장기간 지속되는 피로는 건강에 대한 우려를 낳고, 이는 곧 재발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키는 악순환을 보인다. 이러한 패턴은 암 생존자들의 일상복귀를 가로막는 원인이 된다. 국내외에서 피로와 암 재발 두려움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치료법들이 개발되어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국내 의료현장에서도 피로와 암 재발 두려움에 대한 개입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유 교수는암 생존자가 치료 후 삶의 궤적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있어 장기간의 추적 조사는 매우 필요하다. 이에 민간 활동이지만, 리슨투페이션츠의 암 환자 패널 구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리슨투페이션츠 명성옥 대표는국내 암 생존자 수가 200만 명을 넘어선 지 벌써 수년이 되었지만, 그들의 사회복귀는 여러 면에서 어려움이 많은 게 사실이다. 이번 리슨투페이션츠의 설문조사는 2019년부터 국립암센터 등에서 지정한 암생존자 주간(6월 첫째 주)을 맞이해 진행하게 되었고, 암 생존자 분들이 사회에 복귀하는 데 신체적, 정서적,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의 어려움이 무엇인지 들어보게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리슨투페이션츠는 암 및 중증질환 환자 중심의 목소리를 모아 전함으로써 우리 사회가 더 깊은 통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리슨투페이션츠®환자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는 의미를 담은 네이밍으로, 환자 중심의 통찰력이 보다 나은 투병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는 믿음으로 출발하는 환자(및 보호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설문조사 서비스로, 헬스케어 PR 전문회사인 더 니즈앤씨즈 커뮤니케이션 랩에서 운영하고 있다. 리슨투페이션츠 패널가입과 리서치 참여는 www.listentopatients.co.kr에서 할 수 있다.

메디컴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6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