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암, 위치에 따라 암 유발 유전자 돌연변이도 달라

  • 등록 2015.03.10 17:53:04
크게보기

‘바이오메드 센트럴 암(BMC cancer)' 최신호 게재

최신 유전자 분석 기법을 통해, 난소암의 전이와 관련된 종양 진화 과정 규명

같은 난소암이라도 위치에 따라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송용상, 이정윤, 윤정기)와 연세대 화학과 (방두희) 공동 연구팀은 여성 암 중 사망률과 재발률이 가장 높은 암인 난소암의 전이 특징을 최신 유전자(DNA) 분석 기법을 통해 규명했다.



연구팀은 난소암 3기 환자에게서 원발 부위인 난소와 전이 부위인 대망1, 복막2을 포함한 11곳의 암 조직을 떼어낸 후, 정상조직과 함께 유전체 검사법인 전체 엑솜 염기서열분석법(Whole Exome Sequencing, WES)으로 비교 분석했다.

11곳의 암 조직 유전자 돌연변이 중 11곳 암 조직 전체에서 공통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돌연변이는 6%에 그쳤다. 즉 같은 암이라도 위치에 따라 유전자 돌연변이가 다양했다.

암은 세포 속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생기는 유전자 질환이다. 표적치료제는 특정 암세포에만 발현되는 특정 표적인자(유전자 돌연변이)를 찾아내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암 치료 효과를 높이고, 정상세포의 부작용을 최소화 한다. 

그런데 난소암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유전자 돌연변이를 지니고 있어, 같은 표적치료제라도 어떤 부위에서는 약효가 있는 반면, 내성을 가진 부위에서는 약효가 없다.

이는 최신 암 치료 기법인 표적치료제가 암 치료에 실패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난소암은 진단 시 대부분 복막파종 즉 복막에 암세포들이 씨앗처럼 뿌려진 상태로 발견되며, 부피가 커서 한명의 환자에서도 암의 부위에 따라 유전자 돌연변이가 다양하다. 

난소암의 전이 부위가 원발 부위에 비해 유전자 돌연변이의 축적이 크지 않은 것도 확인됐다. 이는 난소암 전이는 대부분 복막 내에서 파종형태로 이뤄지기 때문에 다른 암 종 예컨대 폐암, 뼈암과 같이 혈행성 전이와는 다른 형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송용상 교수는 “차세대 유전체 검사법을 이용한 종양 내 다양성 연구는 다른 암 종에서는 잘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는 상피성 난소암에서 여러 곳의 원발 부위 및 전이 부위의 샘플을 이용하여 종양 내 다양성 및 전이과정을 분석한 데 의미가 있다” 며 “본 연구를 시작으로 종양위치에 따른 미세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영국의 의학전문지 ‘바이오메드 센트럴 암(BMC cancer)' 최신호에 게재되었다. 

난소암은 진행되어도 적극적인 수술과 항암치료로 대부분 완전관해3를 이루지만, 재발률이 80%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절실하다. 



1 대망: 위에 매달려 대장과 소장을 모두 덮고 있는 지방조직으로 난소암의 전이가 쉬운 조직이다. 

2 복막: 복벽(腹壁)의 안쪽과 복부 내장의 표면을 덮고 있는 장막(漿膜)

3 완전관해: 완전관해란 치료 후 검사를 했을 때, 치료 전에 발견된 암의 모든 증상과 징후가 완전히 사라지고, 이 상태가 최소한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이다.
편집부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5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