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일본뇌염 매개모기 등장,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치료법 없어 예방이 최선
- 4월 8일 질병관리본부는 제주지역에서 올해 들어 최초로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를 확인(4월6일)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고 예방접종 등 일본뇌염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매개되는 감염병으로, 감염자의 일부에서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뇌염 발병 시 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고, 회복되더라도 장애율이 30~50%에 달한다.
- 국내 보고된 일본뇌염 발생자는 작년(2018년) 한 해 17명으로, 전년도(2017년, 9명) 대비 약 2배 급증했다.
- 일본뇌염은 발병 이후 보존적 치료 외에 특별한 치료법이 없어 사전 예방이 강조된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 회피 용품 사용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연중 어느 때나 효과적인 백신 접종이 가능하므로 고위험군은 예방접종을 챙기는 것이 좋다.
- 영유아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따라 생후 12개월 이후 사백신으로 만 12세까지 총 5회 접종하거나, 생백신으로 만 3세까지 총 2회 접종하면 된다.
- 성인에서도 예방 필요성이 꾸준히 강조된다. 최근 5년 간(2013~2017) 국내 보고된 발생자 중 40세 이상 성인이 약 92%를 차지했고, 같은 기간 일본뇌염으로 사망한 14명 모두 40세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일본뇌염 백신이 국내 도입되기 시작한 1971년 이전 출생자들은 백신 접종력이 없을 가능성이 크고 40세 이상은 일본뇌염을 예방할 수 있는 항체 보유율이 낮을 수 있어 면역력이 없는 고위험군은 백신 접종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일본뇌염 고위험군 유형 #1. 동남아 등 일본뇌염 유행국가 여행 전
- 일본뇌염 유행국가로의 여행 또는 출장 계획이 있는 성인은 고위험군에 해당할 수 있다
- 특히, 한국인이 가장 많이 찾는 일본, 중국, 베트남, 태국, 필리핀, 싱가포르 등 동아시아 및 서태평양 일부지역은 일본뇌염 유행 국가에 속한다. ,
- 세계보건기구(WHO)는 일본뇌염 유행지역 방문 시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 고위험군은 충분한 항체 형성을 위해 출국 최소 2주 전 생백신 1회 접종 하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일본뇌염 유행국가: 일본, 중국,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러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인도, 네팔,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스리랑카 등 아시아 및 서태평양 일부 지역
일본뇌염 고위험군 유형 #2. 캠핑•낚시•등산 등 야외 취미 활동자
- 캠핑, 낚시, 등산 등 야외활동을 즐겨 한다면 모기 노출에 따른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 모기의 주 서식지는 빗물 고인 웅덩이나 연못, 논, 동물 축사, 풀숲, 하수구 등으로, 캠핑이나 낚시, 등산처럼 야외에서 장시간 활동할 경우 일본뇌염의 매개체인 모기와 마주할 확률이 증가한다.
- 때문에 야외 취미 활동을 주기적으로 즐긴다면 이번 일본뇌염 주의보를 계기로 백신 접종하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 질병관리본부는 일본뇌염 모기가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전파 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성인에게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우선 권장하고 있다.
■ 베로세포배양 생백신 ‘이모젭’, 영유아 2회∙성인 1회 접종으로 일본뇌염 예방
- 사노피 파스퇴르의 일본뇌염 백신 ‘이모젭’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백신 생산법 중 하나인 베로세포배양 방식으로 생산된 생백신으로, 베로세포 배양법은 순도 높은 백신의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 이모젭은 WHO의 사전 적격심사를 통과했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수은보존제, 항생제, 젤라틴 성분을 포함하지 않았다. , 또한 다양한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했으며, , 성인 및 소아에서 우수한 면역원성을 확인했다.
- 이모젭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성인 및 소아 모두에서 적응증을 허가 받은 일본뇌염 백신으로, 접종 편의성이 우수하다. 병의원에서 생후 12개월 이상 영유아는 2년 안에 이모젭 2회(12개월 이상 연령에서 12~24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접종으로 접종 완료할 수 있고, 성인은 평생 1회 접종으로 일본뇌염을 예방할 수 있다.
References
1 보도참고자료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질병관리본부, 2019.4.8
2 보도참고자료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질병관리본부, 2019.4.8
3 보도참고자료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질병관리본부, 2019.4.8
4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2017
5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2017
6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포털_전수감시감염병_질병별통계_2군 일본뇌염(http://www.cdc.go.kr/npt/biz/npp/ist/bass/bassDissStatsMain.do)
7 보도참고자료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질병관리본부, 2019.4.8
8 보도참고자료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질병관리본부, 2019.4.8
9 보도참고자료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질병관리본부, 2019.4.8
10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포털_전수감시감염병_질병별통계_2군 일본뇌염(http://www.cdc.go.kr/npt/biz/npp/ist/bass/bassDissStatsMain.do)
11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포털_전수감시감염병_질병별통계_2군 일본뇌염(http://www.cdc.go.kr/npt/biz/npp/ist/bass/bassDissStatsMain.do)
12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예방접종관리과, ‘국내 일본뇌염 환자 발생 및 역학적 특성’,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13 15세 이후 연령에서의 일본뇌염 중화항체 보유율. 식품의약품안전청
14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2017
15 한국관광공사 출국 통계(https://kto.visitkorea.or.kr/kor/notice/date/statis/profit/board/view.kto?id=430436&rnum=7)
16 CDC. Geographic Distribution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https://www.cdc.gov/japaneseencephalitis/maps/index.html)
17 WHO. Immunization. Vaccines and biologics, Japanese encephalitis (https://www.who.int/immunization/research/development/japanese_encephalitis/en/)
18 대한여행의학회. 건강한 해외여행 Healthy travel guidebook 2016
19 CDC. Geographic Distribution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20 Lee DW et al. Epidemiology of Japanese encephalitis in South Korea, 2007–2010. J Infect Dis. 2012;16:e448-52
21 Connor BA et al. The Changing Risk of Japanese Encephalitis for Business Travelers. Workplace Health Saf. 2015;63:568
22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2017
23 WHO. Weekly epidemiological record. 2015;90:69-88
24 Tian Chen et al,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progress of Vero Cell Serum-fee 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y, p.41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requalified Vaccines(https://extranet.who.int/gavi/PQ_Web/PreviewVaccine.aspx?nav=0&ID=276&AspxAutoDetect-CookieSupport=1)
26 Australian Public Assessment Report for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live, attenuated). Imojev Sanofi-Aventis Australia Pty Ltd. February 2014
27 Australian Consumer Medicine Information, V1.1August 2012
28 Kim ES et al. Hum Vaccin Immunother. 2014; 10:2656-63
29 Feroldi E et al. Hum Vaccin Immunother. 2012;8(7):929-937
30 K. Chokephaibulkit et al. 7th ACPID, Oct. 12-15 2015, Beijing, China
31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2017
32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 표준예방접종일정표
33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지침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