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2회 유럽 다발성경화증학회에서 렘트라다®와 오바지오®의 35개 이상 신규 데이터 발표
렘트라다®, 6년 이상 연간 재발율 감소, 장애 개선, 뇌 위축 지연 효과 지속
기존 치료에서 오바지오®로 교체 투여 시 치료 만족도 높아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Sanofi)의 스페셜티케어 사업부문인 사노피 젠자임(Sanofi Genzyme, 이하 “사노피 젠자임”)은 최근 개최한 제32회 유럽 다발성 경화증학회(European Committee for Research and Treatment in Multiple Sclerosis, ECTRIMS) 연례학술회의에서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렘트라다®(성분명: 알렘투주맙 Alemtuzumab) 및 오바지오®(성분명: 테리플루노마이드 Teriflunomide)의 35개 이상의 새로운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렘트라다®는 두 개의 대규모 3상 임상시험인 CARE-MS I, II1,2에 참여한 환자 90%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장 연구3,4를 통해 연간재발률(Annualized Relapse Rate, ARR), 확장장애상태척도(Expanded Disability Status Scale, EDSS), MRI 병변활성도 및 뇌 위축 감소 등의 항목에서 4년 이상 지속적으로 일관된 효과를 보였다. 기존 2년의 임상연구기간을 포함하여 치료 6년차에도 지속적이고 일관된 질환 활성 조절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특히, 12개월 간격의 두 번의 정맥주입 코스로 치료과정이 완료되는 렘트라다®는 CARE-MS I 환자의 64%, CARE-MS II 환자의 55%에서 투여 완료 후, 5년까지 추가 투여가 필요하지 않았다.5
연구결과, 6개월 간격으로 평가된 확장 장애상태척도(Expanded Disability Status Scale, EDSS)를 통해 CARE-MS I 에서 렘트라다®를 투여한 환자의77%, CARE-MS II에서 렘트라다®를 투여한 환자의 72%가 장애 누적이 없었으며, 렘트라다® 투여 전 장애가 있었던 CARE-MS I 환자의 34%, 렘트라다® 투여 전 장애가 있었던 CARE-MS II 환자의 43%는 렘트라다® 투여 전에 비해 장애 개선 효과를 보였다.5
또한 자기공명영상(MRI)로 측정한 연간 뇌 용적 손실(brain volume loss)의 중앙값은 -0.20% 이하로 기존에 진행된 CARE-MS I, II 연구1,2에서 관찰된 손실보다 더 낮았고, 3, 4, 5년차의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새로운 MRI 활성병변 증거는 관찰되지 않았다.5
연장 연구3,4 기간동안 발생된 대부분의 이상 반응의 발생률은 기존 CARE-MS I, II 연구1,2에서 나타난 것과 비슷하거나 감소했으며, 갑상선 관련 이상반응 빈도는 3년차에 가장 잦았고 그 이후에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5 이상반응 교육 및 모니터링을 위한 위험 관리 프로그램(risk managemet programs)은 렘트라다® 투여 전•후에 실시했으며, 이상 반응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데에 도움이 됐다.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신경과 알래스데어 콜스(Alasdair Coles) 교수는 “ECTRIMS에서 발표된 현재 진행중인 렘트라다®의 연장 연구 데이터는 임상에 참여한 절반 이상의 환자들에게서 두 코스 주입만으로 다발성 경화증 질환 활성 조절이 지속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재발, 장애진행 그리고 MRI 검사항목 및 뇌 위축 감소에도 일관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라고 말했다.
경구용 다발성 경화증 1차 치료제 중 국내 최초로 급여 출시된 오바지오®는 4상 임상연구 Teri-PRO의 연구 결과6오바지오® 치료군은 네 가지 평가 항목에서 높은 치료만족도를 보였으며, 다른 질환 조절 치료제에서 오바지오®로 교체 투여한 환자들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다고 나타났다.7
Teri-PRO 연구6는 미국, 캐나다, 유럽 그리고 중남미에서 1,000명의 환자가 참여했으며, 928명의 환자가 오바지오® 14mg, 72명의 환자가 7mg (미국 한정)를 복용한 연구다. 치료 4주차와 48주차에 약물에 대한 치료 만족도 조사인 TSQM(Treatm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r Medication)을 실시한 결과, 다른 질환 조절 치료제(disease-modifying-treatment)로 치료 중이던 환자가 오바지오®로 교체 투여했을 때의 환자 만족도가 모든 항목에서 기존 대비 4주 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모든 항목 p<0.0001), 증가한 점수는 48주 차까지 유지됐다. 또한, MusiQoL(Multiple Sclerosis International Quality of Life) 설문지를 통해 많은 환자의 삶의 질이 개선되거나 안정되었음을 시사했다.7
사노피 젠자임을 총괄하는 박희경 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1,000여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리얼 월드 데이터에서 오바지오®가 기존 치료를 받은 환자뿐만 아니라 신규 환자에까지 높은 치료 만족도를 보인 것”이라며 “추가적으로 확인된 삶의 질이 안정되거나 개선 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고 말했다.
Teri-PRO 연구6에서 보여진 오바지오®의 안전성 및 내약성에 대한 리얼 월드 데이터(real-wold data)는 기존 임상 연구8서 관찰된 프로파일과 일관되어 큰 차이가 없었다. 대부분의 이상반응은 경증에서 중등증으로 처음 복용 후 몇 달 내에 발생 후 없어지거나 안정화됐으며, 치료 중단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었다.7
렘트라다® 임상연구 소개
CARE-MS I 3상 임상연구1
Comparison of Alemtuzumab and interferon beta-1a Efficacy in Multiple Sclerosis, Study One
CARE-MS I 3상 임상연구는 치료 경험이 없는 초기 재발완화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렘트라다®와 IFN-β제제를 직접 비교한 임상 연구로, 렘트라다®의 초기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는 전세계 16개국, 101개 센터가 참여했다. 연구결과, 렘트라다®는 IFN-β 제제 대비 연간재발률(ARR)을 54.9% 감소시켰다(p<0.0001). 6개월간 장애 축적(SAD) 위험은 렘트라다® 치료군이 8%, IFN-β 제제 치료군이 11.12%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렘트라다® 치료군에서 더 낮았다(p=0.22).
CARE-MS II 3상 임상연구2
Comparison of Alemtuzumab and interferon beta-1a Efficacy in Multiple Sclerosis, Study Two
CARE-MS II 3상 임상연구는 기존 치료에도 불구하고 활성 상태의 재발완화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렘트라다®와 IFN-β제제를 직접 비교한 임상 연구로, 기존 치료에 실패한 환자들에서 렘트라다®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는 전세계 23개국, 194개 센터가 참여했으며,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은 연구 시작 전 1년 내 1번 이상, 혹은 2년 내에 최소 2번의 재발을 겪은, 유병 기간이 10년 이하인 840명의 활성 상태의 재발완화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이었다.
연구결과, 렘트라다®는 IFN-β 제제 대비 연간재발률(ARR)과 6개월간 장애 축적(SAD) 위험을 각각 49.4%(p<0.0001), 42%(p=0•008) 감소시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CARE-MS II 연구에서 기존 장애 개선 효과 지표에서 IFN-β 제제 대비 우월성을 나타냈다. 렘트라다®의 6개월간 장애 개선(SRD) 확진 환자수는 22%로, IFN-β 제제 치료군 9%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02).
오바지오® 임상연구 소개
Teri-PRO 4상 임상연구6, 7
Teriflunomide- Patient Reported Outcomes
Teri-PRO 4상 임상연구는 후향적 글로벌 다기관 single-arm, open-label 연구로, 오바지오® 치료 만족도를 ‘약물에 대한 치료 만족도 조사 문항’ TSQM(Treatm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r Medication) Version 1.4를 이용하여 평가했다. TSQM 1.4 설문지는 14개의 치료제 관련 문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반적인 만족도, 효과성, 부작용 그리고 편의성 네 가지 항목에 대하여 0점부터 100점까지 점수로 평가했다. 연구에는 미국, 캐나다, 유럽 그리고 중남미에서 1,000명의 환자가 참여했으며, 928명의 환자가 오바지오® 14mg, 72명의 환자가 7mg (미국 한정)로 치료를 받았다.
연구결과, 오바지오® 치료군은 네 가지 모든 항목에서 높은 치료만족도를 보였다. (4주차 / 48주차: global satisfaction 72.3 / 68.2; effectiveness 67.1 / 66.3; side effects 88.4 / 84.1; and convenience 92.3 / 90.4)
또한 다른 질환 조절 치료제(disease-modifying treatment)로 치료 중이던 환자가 오바지오®로 교체 투여시 환자 만족도가 모든 항목에서 기존 대비 4주 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모든 항목 p<0.0001), 증가한 점수는 48주 차까지 유지되었다. (baseline / 48주차: global satisfaction 53.4 / 69.7; effectiveness 58.4 / 68.5; side effects 65.2 / 84.8 and convenience 58.4 / 90.4)
오바지오®(Aubagio®)에 대하여
오바지오® (성분명: 테리플루노마이드)는 1일 1회 경구 복용하는 다발성경화증 치료제로, 한국을 비롯한 미국(FDA)과 유럽(EMA)에서 재발형 다발성경화증(Relapsing form of MS, RMS)의 재발 빈도 감소와 장애 지연을 목적으로 승인되었다.9
기존의 다발성경화증 치료제와는 달리, 말초면역계의 활성화된 림프구의 수를 감소시키는 세포억제(cytostatic)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어, 다발성경화증의 재발을 억제하는 동시에 정상적인 면역 작용은 유지할 수 있다.10세계 36개국에서 허가를 받아 시판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전문의약품 및 희귀의약품으로 2013년 7월에 허가를 받고 2014년 8월에 보험약가 등재되어 출시됐다.
렘트라다®(Lemtrada®)에 대하여
렘트라다®(성분명: 알렘투주맙, alemtuzumab)는 1년 간격의 2-코스에 걸친 정맥주사로 치료 과정이 완료되는 새로운 개념의 다발성경화증 치료제로, 면역계의 균형을 이루어 다발성경화증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CD52에 대한 유전자재조합 단일 클론 항체((anti-CD52 monoclonal antibody)다.11
렘트라다®는 다발성경화증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T세포와 B세포의 표면에 많은 당 단백질 CD52에 선택적으로 작용, 순환하는 T세포와 B세포를 고갈(depletion)과 재증식(repopulation) 시키는 기전을 바탕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투여 횟수에도 불구하고 치료 과정 완료 후에도 재발 감소 및 장애 지연 효과가 유지되는 지속가능한 효과(durable efficacy)를 나타낸다.12,13,14
렘트라다®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유럽, 호주, 남미 등 전세계 곳곳에서 허가를 받아 시판되고 있으며,15,16 국내에서는 지난 2014년 10월에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또는 영상적 특징으로 정의된 활성 상태의 재발완화형 다발성경화증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시판허가를 받았다. 이후 2015년 11월부터는 ‘재발완화형 다발성경화증 환자로서, 1차 치료제 투여 후 치료 실패 또는 불내성인 환자 중 통원치료가 가능한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보험급여가 적용되고 있다.17
사노피(Sanofi)그룹에 대하여
프랑스 파리에 본사를 두고 있는 사노피(Sanofi) 그룹은 인간 삶의 개선을 위한 치료 솔루션을 연구, 개발 및 제공하는 세계 선두의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서, 파리 (EURONEXT: SAN) 및 뉴욕 (NYSE: SNY)에 상장되어있다. 국내에서는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가 전문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세노비스)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백신(사노피 파스퇴르), 희귀질환치료제 (사노피 젠자임), 동물약품 (메리알 코리아)을 통해 예방에서 치료까지, 전문의약품에서 건강기능식품까지, 사람에서 동물까지, 환자들의 다양한 니즈에 부응하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사노피 젠자임은 진단과 치료가 쉽지 않고, 일상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질환을 위한 스페셜티케어를 목표로 치료제를 개발 및 제공하는 사업부로, 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 사노피 젠자임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www.sanofigenzym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Cohen JA, et al. Lancet 2012;380:1819-28.
2. Coles AJ, et al. Lancet 2012;380:1829-39.
3. Coles AJ, et al. Presented at the 32nd Congress of the European Committee for Treatment and Research in Multiple Sclerosis (ECTRIMS), September 2016. P213
4. Edward J Fox, et al. Presented at the 32nd Congress of the European Committee for Treatment and Research in Multiple Sclerosis (ECTRIMS), September 2016. P1150
5. Press Release,Treatment Effects Maintained Over Six Years in Patients with Relapsing Remitting Multiple Sclerosis who Received Sanofi Genzyme’s Lemtrada® (alemtuzumab) in clinical Trials, Sanofi Genzyme, 2016.9.16
6. Hober J, et al. Presented at the 32nd Congress of the European Committee for Treatment and Research in Multiple Sclerosis (ECTRIMS), September 2016. P351
7. Press Release, Results from 1,000-Patient, Global Real-World Patient-Reported Outcomes Study of Sanofi Genzyme’s Aubagio® (teriflunomide) in Patients with Relapsing Multiple Sclerosis Demonstrate High Levels of Treatment Satisfaction, Sanofi Gemgyme, 2016.09.15
8. O’Connor P, Wolinsky JS, Confavreux C, et al. Randomized Trial of Oral Teriflunomide for Relapsing Multiple Sclerosis. N Engl J Med 2011;365:1293-1303
9.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전자민원창구. 오바지오® 제품정보 (Accessed July 15, 2014, at http://ezdrug.mfds.go.kr/index.jsp)
10. Gold R, Wolinsky JS. Pathophysiology of multiple sclerosis and the place of teriflunomide. Acta Neurol Scand: 2011: 124: 75–84.
11. 렘트라다® 제품설명서 (2014.10.20 개정)
12. Hu Y, et al. Immunology. 2009;128:260-270.
13. Turner MJ, et al. J Neuroimmunol. 2013;261:29-36.
14. Freedman MS, et al. J Clin Cell Immunol. 2013;4.
15. FDA LEMTRADA® Label. Nov, 2014.
16. EMA. LEMTRADA®,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c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