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량 증가·골반 통증... 가임기 여성 절반이 겪는 ‘자궁근종’, 조기 발견이 중요

  • 등록 2025.05.20 09:19:03
크게보기

 

생리량이 갑자기 많아지거나 골반에 묵직한 통증이 느껴질 때, ‘자궁근종을 의심해볼 수 있다.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의 약 40~50%에서 발생할 만큼 흔한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자궁근종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9435147명에서 2023638683명으로 4년간 약 46% 증가했다.

 

자궁근종은 자궁의 근육층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같은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호르몬 의존성 질환이다. 평활근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생기고, 발생 위치에 따라 장막하 근종 근층내 근종 점막하 근종으로 구분된다. 드물게는 자궁경부에 생기는 경부 근종, 자궁 전체에 퍼지는 광범위성 근종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장막하 근종은 자궁의 바깥쪽으로 돌출돼 주변 장기를 압박한다. 이로 인해 복부 팽만감, 허리통증, 빈뇨, 변비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근층내 근종은 자궁의 근육층 안에 생겨 자궁 전체를 비대하게 만들고, 생리 과다, 생리통, 불임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특히 점막하 근종은 자궁 내막에 가까이 위치해 생리 주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작은 크기라도 생리 과다, 반복 유산 등 심각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자궁근종은 대부분 정기적인 산부인과 초음파 검진을 통해 발견된다.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검진을 통해 조기에 확인할 수 있고, 크기나 위치에 따라 치료 여부가 결정된다.

 

김우정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자궁근종은 30세 이후 발병률이 높아지고, 35세 이상 여성의 절반가량에서 발견된다증상이 없더라도 1년에 한 번 초음파 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치료는 증상 정도, 근종의 크기와 위치, 환자의 연령, 임신 계획 등을 고려해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증상이 없고 크기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초음파로 경과를 관찰하는 보존적 치료가 기본이다. 반면 생리 기간이 길어지거나 통증이 심해 일상에 지장을 준다면 약물, 비수술적, 수술적 치료 등이 필요하다.


먼저 약물 치료는 여성호르몬 분비를 억제해 일시적으로 근종의 크기를 줄이고 증상을 완화한다. 다만 장기 사용이 어렵고 부작용 가능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비수술적 치료는 자궁근종에 혈액을 공급하는 자궁동맥을 막아 근종을 괴사시키는 자궁동맥색전술이 있다. 절개나 마취 없이 자궁을 보존한 채 진행되기 때문에 시술 후 빠르게 일상 복귀가 가능하다.

 

수술적 치료는 근종만 제거하는 근종절제술과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자궁절제술이 있다. 근종절제술은 임신을 계획하는 여성에게 적합하고, 자궁절제술은 증상이 심하거나 재발 위험이 높은 경우에 고려된다. 최근에는 복부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통해 진행하는 복강경 수술, 정확도가 높고 수술 시간이 짧은 로봇수술 등 흉터와 통증을 최소화한 최소 침습 수술법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회복이 빠르고 미용적인 만족도가 높아 환자들의 선호도가 높다.


김우정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불임 여성의 약 3%가 자궁근종이 원인으로 작용한다임신을 계획 중일 경우 근종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가임력을 보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자궁근종은 특별한 예방법이 없다. 하지만 비만한 여성일수록 발병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채소 위주의 식단과 꾸준한 운동은 호르몬 균형 유지에 도움을 줘 자궁근종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김우정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자궁근종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 선택의 폭이 넓고, 불필요한 수술을 피할 수 있다생리량과 주기에 변화가 생길 경우 가볍게 넘기지 말고, 자신의 몸에 관심을 갖고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메디컴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6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